제1공화국 (드라마)

《제1공화국》(第一共和國)은 1981년 4월 2일부터 1982년 2월 11일까지 매주 목요일 밤에 방송된 드라마로, 문화방송이 제1공화국을 배경으로 다룬 국내 최초의 정치 드라마다.
![]() | |
장르 | 정치드라마 |
---|---|
방송 국가 | ![]() |
방송 채널 | MBC TV |
방송 기간 | 1981년 4월 2일 ~ 1982년 2월 11일 |
방송 횟수 | 39부작 |
기획 | 표재순 |
연출 | 고석만, 이연헌 |
조연출 | 황인뢰 |
각본 | 김기팔 |
출연자 | 최불암, 이영후, 박규채, 국정환 외 |
해설 | 김종성 |
음성 | 아날로그 제작 · 방송 |
HD 방송 여부 | 아날로그 제작 · 방송 |
후편 | 제2공화국 |
시대적 배경편집
1945년 8.15 해방의 어수선한 정국, 한반도 분단, 1948년 대한민국 정부수립, 1950년 한국 전쟁과 1960년 4·19 혁명, 그리고 1960년 제2공화국의 성립과 민주당 신구파 분쟁까지 다뤘다.
등장 인물편집
주요 인물편집
- 최불암 : 우남 이승만 역 -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 이영후 : 백범 김구 역
- 박규채 : 만송 이기붕 역
- 이계인 : 청년 이기붕 역
- 국정환 : 김일성 역 - 조선인민공화국 초대 주석
정부 인물편집
- 이대로 : 신성모 역 - 대한민국 2대 국방부 장관
- 손창호 : 채병덕 역
- 남성훈 : 최인규 역
- 임문수 : 곽영주 역
- 김애경 : 박마리아 역 - 이기붕의 부인
- 길용우 : 이강석 역
- 이도련 : 성재 이시영 역
- 전운 : 해공 신익희 역
- 정욱 : 인촌 김성수 역
- 박근형 : 고하 송진우 역
- 김길호 : 몽양 여운형 역
- 정혜선 : 승당 임영신 역
- 한인수 : 설산 장덕수 역
- 황일청 : 소앙 조용은 역
- 김무생 : 유석 조병옥 역
- 송기윤 : 죽산 조봉암 역
- 김현직 : 철기 이범석 역
- 변희봉 : 민세 안재홍 역
- 이정길 : 창랑 장택상 역
- 이종구 : 김상덕 역
- 박상조 : 김상돈 역
- 양택조 : 박흥식 역
- 김응수 : 이종형 역
- 서인석 : 방의석 역
- 박종관 : 최린 역
- 서학 : 김태석 역
- 노주현 : 이기용 역
- 장칠군 : 박종양 역
- 강민호 : 김연수 역
- 신구 : 유철 역
- 변희봉 : 김갑순 역
- 이일웅 : 문명기 역
- 박인환 : 육당 최남선 역
- 신충식 : 노덕술 역
- 강인덕 : 의송 김두한 역
- 한인수 : 운석 장면 역
- 강성욱 : 우제하 역
- 심양홍 : 옥계 유진산 역
- 박종관 : 고당 조만식 역
- 최명수 : 낭산 김준연 역
- 강계식 : 애산 이인 역
- 전무송 : 춘원 이광수 역
- 김용건 : 동산 윤치영 역
- 이묵원 : 우사 김규식 역
- 김인태 : 상산 김도연 역
북한 인물편집
- 홍성민 : 이정 박헌영 역
- 진유영 : 김영주 역
- 박영지 : 백연 김두봉 역
- 한태일 : 허가이 역
- 백인철 : 김책 역
- 김기현 : 석천 최용건 역
- 권성덕 : 이송운 역
- 박인환 : 이승엽 역
- 현석 : 이강국 역
- 문회원 : 임화 역
- 김동현 : 김형륙 역
- 이수나 : 허정숙 역
- 김수일 : 허헌 역
기타 인물편집
- 오승룡 : 우양 허정 역
- 전양자 : 박순천 역
- 박웅 : 삼연 곽상훈 역
- 박상조 : 김상돈 역
- 김주영 : 김삼룡 역
- 김상순 : 전진한 역
- 홍순창 : 김학규 역
- 조경환 : 이정재 역
- 오지명 : 임화수 역 - 정치깡패
- 정승현 : 장준하 역
- 정애리 : 김수임 역
- 김기일 : 김창룡 역
- 정대홍 : 조일명 역
- 권성덕 : 오제도 역
- 최은숙 : 이아주 역
- 이계인 : 요시다 시게루 역
- 이창환 : 유태하, 기자 역
- 신국 : 안두희 역
- 박일 : 박인수 역
- 이영달 : 김약수 역
- 이영달 : 이재학 역
- 전인택 : 이문원 역
- 고설봉 : 엔도 류사쿠 역
- 임채무 : 니시히로 다다오 역
- 임채무 : 김장흥 역
- 임현식 : 최현 역
- 나성균 : 윤공흠 역
- 김호영 : 최대교 역
- 정한헌 : 신동운 역
- 박은수 : 배희범 역
- 길용우 : 박광옥 역
- 이대로 : 김석황 역
- 유인촌 : 김신 역 - 대한민국 5대 공군참모총장
- 정진 : 박중양 역
- 정진 : 김희갑 역
- 한영숙 : 배정자 역
- 정대홍 : 조완구 역
- 박광남 : 엄항섭 역
- 반효정 : 김해화 역 - 신익희의 둘째부인
- 송승환, 이금복 : 신탁통치반대 학생운동가 역
- 최명수 : 송암 함태영 역
- 한규희 : 백산 지청천 역
- 허기호 : 구마적 역
- 이성호 : 신마적 역
군정 인물편집
소련편집
미국편집
결방편집
- 1981년 7월 23일 〈대한민국 대 중국〉의 배구 경기 하이라이트 방송과 유니버시아드대회 남자 배구(〈대한민국 대 중국〉)의 위성중계로 인해 결방[1]
- 1981년 8월 13일 8.15특집 다큐멘터리 〈빼앗긴 36년, 되찾은 36년〉의 방송과 제10회 자카르타 국제축구대회 〈대한민국 대 불가리아〉의 실황 중계로 인해 결방[2]
- 1981년 8월 20일 제10회 자카르타 국제축구대회 준결승전 실황 중계로 인해 결방 텔레비전[2]
- 1981년 12월 3일 창사 20주년 특집 드라마 《이심의 비련기》의 방영으로 인해 결방[2]
- 1981년 12월 24일 성탄절 특선명화 《콘스탄틴 대제》의 방영으로 인해 결방[2]
- 1981년 12월 31일 MBC 10대 가수가요제의 방영으로 인해 결방[2]
회차별 부제편집
1981년 | ||
---|---|---|
회차 | 부제 | 본 방송일 |
제1회 | 4월 2일 | 이승만과 김구 |
제2회 | 4월 9일 | 암살, 암살, 암살 |
제3회 | 4월 16일 | 조만식과 김일성 |
제4회 | 4월 23일 | 테러 |
제5회 | 4월 30일 | 이승만 1946년 |
제6회 | 5월 7일 | 남로당 |
제7회 | 5월 14일 | 1947년 여름 삼영수 |
제8회 | 5월 21일 | 유엔 한국 임시 위원단 |
제9회 | 5월 28일 | 김구와 남북협상 (上) |
제10회 | 6월 4일 | 김구와 남북협상 (下) |
제11회 | 6월 11일 | 초대 대통령 이승만 |
제12회 | 6월 18일 | 여간첩 김수임 |
제13회 | 6월 25일 | 오판 |
제14회 | 7월 2일 | 이화장의 조각당 |
제15회 | 7월 9일 | 국회 프락치 사건 |
제16회 | 7월 16일 | 반민특위 사건 (上) |
제17회 | 7월 30일 | 반민특위 사건 (下) |
제18회 | 8월 6일 | 대통령의 사람들 |
제19회 | 8월 27일 | 아, 백범 (上) |
제20회 | 9월 3일 | 아, 백범 (下) |
제21회 | 9월 10일 | 5·30 선거 |
제22회 | 9월 17일 | 적치하 90일 |
제23회 | 9월 24일 | 전시하의 경무대 |
제24회 | 10월 1일 | 부산 정치파동 |
제25회 | 10월 8일 | 우남의 재출발 |
제26회 | 10월 15일 | 평화선 |
제27회 | 10월 29일 | 전시하의 상인들 |
제28회 | 11월 5일 | 반공포로 석방과 휴전 |
제29회 | 11월 12일 | 족청계 거세와 이기붕 |
제30회 | 11월 19일 | 박인수 사건 |
제31회 | 11월 26일 | 자유당 압승 (上) |
제32회 | 12월 10일 | 자유당 압승 (下) |
제33회 | 12월 17일 | 이기붕과 자유당 |
1982년 | ||
제34회 | 1월 7일 | 김일성과 숙청극 |
제35회 | 1월 14일 | 한글파동 |
제36회 | 1월 21일 | 김두한과 이정재 |
제37회 | 1월 28일 | 양자 이강석 |
제38회 | 2월 4일 | 예술인단과 임화수 |
제39회(終) | 2월 11일 | 민주당 신구파 분쟁과 제1공화국의 종식 |
수상편집
각주편집
- ↑ 텔레비전 프로그램 편성표 참고.
- ↑ 가 나 다 라 마 프로그램 편성표 참고.
문화방송 목금드라마 | ||
---|---|---|
이전 작품 | 작품명 | 다음 작품 |
-
|
제1공화국
(1981년 4월 2일 ~ 1982년 2월 11일) |
장희빈
(1982년 2월 18일 ~ 1982년 4월 30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