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면직

일제강점기의 기자, 독립운동가
(양여주에서 넘어옴)

오면직(吳冕稙, 1894년 6월 15일 ~ 1938년 4월 14일[1] 또는 5월 16일[2])은 일제강점기의 기자, 독립운동가, 무정부주의자, 한국독립군 특무대장 비서, 맹혈단(猛血團) 단장이다.[3] 이명은 오면직(吳冕, 吳植), 양여주(楊汝舟), 마중량(馬仲良), 주효춘(朱曉春), 오철(吳哲) 등이다.[2]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생애 편집

생애 초반 (1894~1919) 편집

1894년 6월 15일 황해도 안악에서 태어났다.[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따르면 대성중학을 중퇴하였다.[3] 공훈전자사료관에 따르면 양산학교 중학부를 중퇴하였다.[4]

중퇴 후 경성측량강습소에 들어가 3개월 간 수학하였다. 이후 평양 대성중학에 들어갔지만 그 역시 중퇴하고, 1911년 6월 평양 사동광업소 고방(高坊)출장소에서 약 1년간 측량기술 견습으로 있었다.[4] 사동광업소에서 사직한 뒤 귀향하여 농업에 종사하는 한편, 구장(區長)에도 취임하였다.[4]

1917년경 다시 사동광업소에 취직할 의도로 평양으로 갔다가 1919년 1월경 귀향하였다.[4]

독립운동기 편집

3.1 운동 참가 (1919) 편집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이에 참가하였으며, 이후 독립운동에 종사하였다.[4]

조선일보》 안악지국 기자와 《동아일보》 안악지국 기자로서 활동하였다.[3][4] 민족주의자인 김동우, 한정교 등과 교류하는 한편, 해외로부터 들어온 《독립신문》을 탐독하였다.[4]

1920년 독립군자금을 모금하고 진남포경찰서에 폭탄을 투척하였다.[3][4]

1921년 11월 20일경 단둥, 펑텐, 톈진을 경유하여 상하이로 갔다. 오면직은 옛 스승인 김구를 만나 상하이에 있던 민족주의자들과 교류하였다.[4]

한국노병회 가입 (1922) 편집

1922년 한국노병회가 결성되자 김구와 조상섭의 권유로 이에 가입하고, 한국노병회의 파견원으로 하난성 군관학교에 입학하였다. 그 후 펑위샹이 경영하던 육군병공창(陸軍兵工廠) 좌도부(銼刀部)에 들어갔다.[4][3]

김립 암살 (1922) 편집

오면직은 독립운동자금을 횡령한 대한민국임시정부 비서장 김립김구의 지시로 사살하였다.[3] 1921년 9월 23일 베를린에서 코민테른한형권에게 '임정의 내부분열 타개'를 조건으로 20만 루블을 지원하였다. 그리고 한형권은 20만 루블을 상하이로 가지고 왔지만 임정에 거의 내지 않고 이동휘 계열끼리만 비밀리에 사용했다.[5][6][7] 이에 김구김립을 임정 공금 횡령범으로 단정하여 오면직, 노종균(盧種均)을 파견해 1922년 2월 6일 김립을 사살한 것이다.[8][9]

남화한인청년연맹 활동 (1930~1933) 편집

오면직은 1925년 1월경 육군병공창 좌도부를 사직하고, 광둥·청두를 경유하여 1929년 여름 상하이로 갔다.[4]

1930년 4월 20일 중국 상하이에서 무정부주의운동단체인 남화한인청년연맹이 조직되었다. 남화한인청년연맹재만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상하이로 철수하여 전투체제로 개편한 단체로, 맹원(盟員)은 유자명·유기석(柳基石, 일명 柳絮)·장도선(張道善)·정해리(鄭海理)·정화암·안공근·오면직·이현근(李炫謹) 등이었다.[10] 남화한인청년연맹김구한인애국단과 협력하여 친일부역자들의 처단을 위해 투쟁했다. 1933년 상해에서 일본군과 내통한 옥관빈의 처단과, 엄형순(嚴亨淳)·이규호(李圭虎)의 친일분자 이용노 처단 등이 그것이다. 그밖에도 친일주구에 대한 총살 처단이 있었다.[11]

연충열·이규서·이종홍 처단 (1932) 편집

윤봉길 의거 이후 상해의 일본군 헌병대와 총영사관이 독립운동자 탄압에 광분하자, 이에 편승한 밀정의 암약과 노골적 친일분자의 등장으로 상해 한인사회의 기류도 다소 혼탁해졌다. 그러나 남화한인청년연맹 등 몇몇 의열단체가 이를 좌시하지 않고, 밀정과 친일·부일배 숙청에 힘을 쏟았다.[12]

남화한인청년연맹정화암이 주도하고 오면직·이달(李達) 등이 행동하여, 1932년 7월 연충열(延忠烈)과 이규서(李圭瑞)를, 1933년 5월 이종홍(李鍾洪)을 교살 처단했다.[12]

옥관빈 처단 (1933) 편집

남화한인청년연맹엄순봉(嚴亨淳, 嚴舜奉)의 주도로 1933년 8월 친일거부 옥관빈을, 12월 상하이 프랑스 조계 공부국 형사의 지위를 악용해 온 옥성빈(玉成彬)을, 1935년 3월 조선인거류민회 부회장인 주구 이용로(李容魯)를 사살 처단했다.[12]

오면직은 일제의 밀정 노릇을 한 옥관빈을 사살하는 데 참가하였다.[4] 1933년 7월 22~23일경 옥관빈이 일본 군대를 위하여 약 2만 원어치의 재목을 제공하고 일본 관헌에게 혁명운동에 관한 밀정 행위를 한 사실이 포착되었다.[11][4] 이에 오면직과 엄형순정화암과 연락을 취하면서 옥성빈(옥관빈의 형)의 집 맞은 편 중국인의 집 2층에 수일간 잠복하여 사살할 기회를 엿보았다. 1933년 8월 1일엄형순옥성빈의 집 앞으로 오던 옥관빈을 사살하였다. 8월 9일 상해연맹에서는 한인제간단의 명의로 '역도 옥관빈의 죄상을 선포한다'라는 제목의 참간장을 각 방면에 살포하여 옥관빈의 주구적 죄상을 6개조의 죄목으로 만천하에 폭로하였다.[4]

한국독립군 특무대장 비서 활동 (1934~1935) 편집

1934년 김구한국독립군 특무대를 조직하고 대장이 되자 그의 비서가 되었다.[3]

1935년 김구의 휘하를 떠났다.[3]

맹혈단 조직 및 활동 (1936) 편집

맹혈단 조직 (1936) 편집

1936년 초 오면직은 중국 난징(南京)에서 맹혈단을 조직하여 단장이 되었다.[1][3] 오면직은 김구와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부일파 밀정 등을 처단한 것이 인적 배경이 되어 김창근(金昌根)·한도원(韓道源)·유형석(柳瀅錫)·김동우(金東宇) 등과 같이 무력적이고 적극적인 투쟁을 전개할 목적으로 이 단체를 조직하였다.[1] 맹혈단에는 단장 오면직, 부단장 김창근, 그리고 주요 파괴 실행위원에는 한도원·유형석·김동우가 임명되었다.[1]

일본영사관 습격 미수 및 체포 (1936) 편집

1936년 3월 오면직은 맹혈단 단원 10여 명을 데리고 상해 홍커우구(虹口區)에 있는 일본영사관의 아리요시 아키라(有吉明) 공사를 습격하고자 하였다.[1][3] 일본영사관은 황푸강(黃浦江)과 쑤저우하(蘇州河)가 맞닿는 바이투교(白渡橋) 근처로, 미국·영국 영사관 등 4개국 영사관이 있었던 공동조계(共同租界) 안에 있었다. 그러나 오면직은 일본영사관을 폭파하기 위하여 바이투교를 건너 접근하다가 붙잡혔다. 한도원·유형석·김승은(金勝恩)과 같이 투옥되었다.[1]

생애 후반 편집

사형 언도 및 사망 (1937~1938) 편집

체포된 뒤 국내로 압송당하여 1937년 4월 16일 황해도 해주지방법원에서 사형언도를 받았다.[1][3] 이에 오면직은 공소를 하였으나, 평양복심법원에서 사형이 확정되었다.[1]

1938년 4월 14일 평양감옥 사형장에서 오면직에 대한 교수형이 집행되었다.[1]

상훈 편집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각주 편집

  1. “맹혈단(猛血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독립유공자 공적조서 - 오면직”. 《공훈전자사료관》. 
  3. “오면직(吳冕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2014년 12월 이달의 독립운동가 - 오면직”. 《공훈전자사료관》. 
  5. “국제공산당자금사건(國際共産黨資金事件)”.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6.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43 43권 서한집Ⅱ > 해제”. 《한국사데이터베이스》. 
  7. “143. (번역F) 이희경이 임시정부 재무차장 이유필에게 보낸 서한”. 《한국사데이터베이스》. 
  8. “한국독립운동사, 비극과 갈등의 기록”. 독립기념관. 
  9. “‘정당한 폭력’은 정당한가”. 한겨레21. 2007년 4월 12일. 
  10. “남화한인청년연맹(南華韓人靑年聯盟)”.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11. “6) 남화한인청년동맹과 육삼정 의거”. 《한국사데이터베이스》. 
  12. “4) 상해와 북경에서의 밀정·친일배 처단 활동”. 《한국사데이터베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