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일렌베르크-질버 사상

호몰로지 대수학에서 에일렌베르크-질버 사상(Eilenberg-Zilber寫像, 영어: Eilenberg–Zilber map)과 알렉산더-휘트니 사상(Alexander-Whitney寫像, 영어: Alexander–Whitney map)은 아벨 범주 위의 단체 대상의 텐서곱과 사슬 복합체의 텐서곱을 비교하는, 서로 반대 방향의 두 사슬 복합체 사상이다.[1] 이들의 합성은 사슬 복합체의 호모토피를 이루어, 호몰로지 군의 동형을 유도한다. 즉, 단체 대상의 텐서곱과 사슬 복합체의 텐서곱은 같은 호몰로지 군을 정의한다.

정의

편집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 아벨 범주  
  •   위의 두 단체 대상  

그렇다면, 다음을 정의할 수 있다.

  •    위의, 자연수 등급의 사슬 복합체범주이다.
  • 단체 대상  에 대하여, 무어 사슬 복합체  정규화 사슬 복합체  를 정의할 수 있다. 후자는 전자의 몫 사슬 복합체이다.

에일렌베르크-질버 사상

편집

아벨 범주   위의 두 단체 대상  ,  에 대한 에일렌베르크-질버 사상은 다음과 같은 사슬 복합체 사상이다.

 
 

여기서

  •  은 모든  -셔플 순열  들의 집합이다. 셔플 순열  의 성분은   이다.
  •  이며   역시 마찬가지로 정의된다.
  •  순열의 부호  를 셔플 순열  에 적용한 것이다.

이 사상은 무어 사슬 복합체에 대하여 정의되지만, 그 몫인 정규화 사슬 복합체 위에서도 잘 정의된다. 즉, 다음과 같은 에일렌베르크-질버 사상이 존재한다.

 

알렉산더-휘트니 사상

편집

아벨 범주   위의 두 단체 대상  ,  에 대한 알렉산더-휘트니 사상은 다음과 같은 사슬 복합체 사상이다.

 
 

여기서

  •  앞면 사상(영어: 앞面寫像, 영어: front-face map)이라고 하며, 단체 범주의 다음과 같은 사상  에서 유도된 것이다.
     
     
  •  뒷면 사상(영어: 뒷面寫像, 영어: back-face map)이라고 하며, 단체 범주의 다음과 같은 사상  에서 유도된 것이다.
     
     

성질

편집

호모토피

편집

에일렌베르크-질버 사상은 알렉산더-휘트니 사상의 오른쪽 역사상이지만, 일반적으로 왼쪽 역사상이 아니다. 즉, 다음과 같은 합성은 항등 사상이다.

 

그 반대 합성은 항등 사상이 아닐 수 있지만, 항상 사슬 호모토피이다. 즉, 모형 범주  의 약한 동치이며, 특히 같은 호몰로지를 정의한다.

 

이 사실을 에일렌베르크-질버 정리(영어: Eilenberg–Zilber theorem)라고 한다.

대칭성

편집

에일렌베르크-질버 사상은 (텐서곱의 순서를 뒤바꾸었을 때) 대칭 사상이지만, 알렉산더-휘트니 사상은 그렇지 않다.

모노이드 돌트-칸 대응

편집

가환환  가 주어졌을 때, 다음과 같은 범주들을 정의할 수 있다.

  •  -결합 대수들의 범주   (즉, 가환환의 범주의 조각 범주)의 단체 대상의 범주  . 이는   속의 모노이드 대상들의 범주이다.
  •  -미분 등급 대수의 범주  . 이는  -사슬 복합체모노이드 범주   속의 모노이드 대상이다.

그렇다면, 돌트-칸 대응으로부터, 이 두 범주 사이에 서로 다른 두 쌍의 수반 함자들이 존재한다. 이들은 각각 퀼런 동치를 정의하며, 이를 모노이드 돌트-칸 대응(영어: monoidal Dold–Kan correspondence)이라고 한다. (그러나 일반 돌트-칸 대응과 달리, 이는 범주의 동치가 아니다.)

구체적으로, 돌트-칸 대응의 함자

 

에서, 둘 중 하나를 취하면, 다음과 같은 두 수반 함자를 얻는다.

 
 
 
 

여기서 등장하는 자연 변환의 성분은 각각 알렉산더-휘트니 사상

 

과 에일렌베르크-질버 사상

 

이다.

가환 모노이드 돌트-칸 대응

편집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범주들을 정의할 수 있다.

그렇다면, 다음 두 모형 범주 사이에 퀼런 동치가 존재하며, 이를 가환 모노이드 돌트-칸 대응(영어: commutative-monoidal Dold–Kan correspondence)이라고 한다.

 

이는 에일렌베르크-질버 사상에 의하여 정의된다 (알렉산더-휘트니 사상은 비대칭이어서 사용될 수 없다).

(여기서,  표수 0로 가정하는 것은, 아닐 경우  모형 범주 구조가 자연스럽게 주어지지 못하기 때문이다.)

역사

편집

에일렌베르크-질버 사상은 사무엘 에일렌베르크와 조지프 에이브러햄 질버(영어: Joseph Abraham Zilber, 1923~2009)의 이름을 땄다. 알렉산더-휘트니 사상은 제임스 워델 알렉산더해슬러 휘트니의 이름을 땄다.

각주

편집
  1. Goerss, Paul G.; Jardine, John Frederick (1999). 《Simplicial homotopy theory》. Progress in Mathematics (영어) 174. Birkhäuser. ISBN 978-3-7643-6064-1.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