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군주
영국의 군주(영어: monarchy of the United Kingdom)는 영국의 국가원수이다. 호칭은 왕(남성의 경우 King, 여성의 경우 Queen)이다. 총리를 임명하거나 의회를 개회하는 등 그 권위도 크다. 현재 영국의 군주는 2022년 9월 8일 이후로 현재까지 재임중인 찰스 3세이다. 역사적으로 호국경을 지낸 올리버 크롬웰 정도를 제외하면 영국은 항상 국왕이 지도자였다.
영국 국왕 | |
---|---|
King of the United Kingdom | |
Federal | |
![]() | |
호칭 | 폐하 |
관저 | 버킹엄 궁전 |
초대 | 앤 |
설립 | 1707년 5월 1일 |
전신 | 잉글랜드 국왕 |
법정계승자 | 웨일스 공 윌리엄 (웨일스 공) |
웹사이트 | 왕실 홈페이지(영어) |
영국의 군주를 일정 횟수 이상 알현하면 로열 빅토리아 훈장이 수여된다.
지위 편집
영국의 군주 편집
불문 헌법인 영국의 헌법에 따르면 군주는[참고 1] 영국의 국가원수이다. 공무원들과 귀화자들은 국왕과 그의 후계자들에게 충성 선서를 한다.[1] 영국의 국가는 《신이여 폐하를 지켜주소서》이다.[2] 또한 군주의 얼굴은 우표와 지폐에 들어간다.[3]
영국의 군주는 직접 영국 정부 안에 극히 일부분의 왕권을 수행하며, 정치에도 관여한다. 주권의 행사권은 법률이나 법적 행동으로 통해 군주에서 대신들이나 군주의 사적인 공공기관에 위탁한다. 그러므로 국왕의 친임(영어: Crown Appointments)과[4] 같이 국왕이라는 단독법인의 이름으로 대신들을 임명하는 행위에도 불구하고 군주는 개회식의 개원연설을 통해서 개인적으로 임명하는 경우도 있다. 즉, 대변인 역할을 일부 수행한다.
영연방의 수장 편집
1867년에 캐나다가 자치령으로 승격된 이래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이 자치령이 되어 영국 국왕에 충성한다는 공동의 취지하에 영연방이 탄생했다. 1950년에 영연방 총회는 성명을 발표하고 '영국 국왕은 영연방의 수장(首長)이며 자유로운 결합의 상징'이라 하였다. 이리하여 영국 국왕에 대한 충성의 서약은 사실상 필요 없게 되었다.
현재 찰스 3세는 영연방 가입국 중 영국을 포함한 15개국에서 군주로 군림하고 있다. 다음은 영연방 회원국 중에서 영국의 군주를 국가원수로 하는 나라들의 목록이다.
잉글랜드 성공회의 최고 치리자 편집
영국의 군주는 신앙의 옹호자라고도 불리는 잉글랜드 성공회의 최고 치리자를 맡고 있다. 여기서 한 가지 오해하지 말아야 할 게 있는데, 영국의 국왕은 잉글랜드 성공회 이외의 세계 성공회 공동체 자치 관구 교회들과는 관련이 없다. 단지 잉글랜드의 국교인 잉글랜드 성공회에서만 상징적 지도자로서의 의미가 있을 뿐이다.
헨리 8세가 종교개혁을 단행하여 6세기 이래 로마 가톨릭의 지배를 받던 잉글랜드 교회를 잉글랜드 성공회로 독립시키고, 1534년 수장령(首長令)으로 '잉글랜드 국교회의 유일한 지상 수장'이 왕임을 선포한다. 이에 따라 로마 교황 대신 영국 국왕이 잉글랜드 성공회의 수장을 맡게되어 지금까지 내려오고 있다.
역대 영국의 군주 편집
1901년 이후에 즉위한 영국의 군주들은 다음과 같다.
왕위 계승 편집
영국과 영연방왕국의 왕실 |
---|
|
|
왕위 계승 조건은 다음과 같다.
- 2015년까지는 형제자매 가운데서 여자보다 남자가 우선권을 가졌으나, 그 이후에 태어난 경우 무조건 먼저 태어날수록 순위가 높다.
- 여자 직계가 남자 방계보다 우선권을 가진다.
이러한 조건에 따라, 현재 왕위 계승 서열 1위는 케임브리지 공작 윌리엄이다. 다음은 왕위 계승 서열 1위부터 10위까지의 명단이다.
왕위계승서열 | 이름 | 사진 | 탄생 | 배우자 | 계승권리남 |
---|---|---|---|---|---|
1위 | 웨일스 공 윌리엄 Prince William, 윌리엄 아서 필립 루이스 |
1982년 6월 21일 세인트 메리 병원 찰스 3세와 다이애나 스펜서의 아들 |
웨일스 공작부인 캐서린 웨스트민스터 사원 2011년 4월 29일 1남 |
엘리자베스 2세의 손자 | |
2위 | 웨일스 공자 조지 Prince George of Wales 조지 알렉산더 루이스 |
2013년 7월 22일 세인트 메리 병원 웨일스 공 윌리엄과 웨일스 공작부인 캐서린의 아들 |
엘리자베스 2세의 증손자 | ||
3위 | 웨일스 공녀 샬럿 Princess Charlotte of Wales 샬럿 엘리자베스 다이애나 |
2015년 5월 2일 세인트 메리 병원 웨일스 공 윌리엄과 웨일스 공작부인 캐서린의 딸 |
엘리자베스 2세의 증손녀 | ||
4위 | 서식스 공작 해리 Prince Henry of Sussex 헨리 찰스 앨버트 데이비드 |
1984년 9월 15일 세인트 메리 병원 찰스 3세와 다이애나 스펜서의 아들 |
메건 마클 세인트 조지 예배당 2018년 5월 19일 1남 |
엘리자베스 2세의 손자 | |
5위 | 요크 공작 앤드루 Prince Andrew, Duke of York 앤드루 앨버트 크리스찬 에드워드 |
1960년 2월 19일 버킹엄 궁전 엘리자베스 2세와 필립 마운트배튼의 아들 |
사라 퍼거슨 웨스트민스터 사원 1986년 7월 23일 2녀 |
엘리자베스 2세의 차남 | |
6위 | 요크 공녀 베아트리스 Princess Beatrice of York 베아트리스 엘리자베스 메리 |
1988년 8월 8일 포틀랜드 병원 요크 공작 앤드루와 사라 퍼거슨의 딸 |
엘리자베스 2세의 손녀 | ||
7위 | 요크 공녀 유제니 Princess Eugenie of York 유제니 빅토리아 헬레나 |
1990년 3월 23일 포틀랜드 병원 요크 공작 앤드루와 사라 퍼거슨의 딸 |
엘리자베스 2세의 손녀 | ||
8위 | 웨식스 백작 에드워드 Prince Edward, Earl of Wessex 에드워드 앤서니 리처드 루이스 |
1964년 3월 10일 버킹엄 궁전 엘리자베스 2세와 필립 마운트배튼의 아들 |
소피 리스 존스 세인트 조지 성당 1999년 6월 19일 1남 1녀 |
엘리자베스 2세의 삼남 | |
9위 | 세번 자작 제임스 James, Viscount Severn 제임스 알렉산더 필립 테오 |
2007년 12월 17일 프림리 파크 병원 웨식스 백작 에드워드와 소피 리스 존스의 아들 |
엘리자베스 2세의 손자 | ||
10위 | 레이디 루이즈 윈저 Lady Louise Windsor 루이즈 앨리스 엘리자베스 메리 |
2003년 11월 8일 프림리 파크 병원 웨식스 백작 에드워드와 소피 리스 존스의 딸 |
엘리자베스 2세의 손녀 |
같이 보기 편집
주해 편집
- ↑ 영어로 Monarch라고 부르며 Sovereign 또는 His/Her Majesty 또는 약자로 H.M.라고도 불린다.
각주 편집
- ↑ “UK Border Agency : Citizenship ceremonies” (영어).
- ↑ “The Queen and the UK > Symbols of the Monarchy > National Anthem” (영어). 영국 왕가. 2014년 9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9일에 확인함.
- ↑ “The Queen and the UK > Symbols of the Monarchy > Coinage and bank notes” (영어). 영국 왕가.
- ↑ 1661년 국왕의 침임법(Crown Appointments Act 1661) c.6
- ↑ “Edward VII”. Official website of the British Monarchy. 2010년 8월 3일에 확인함.
- ↑ “George V”. Official website of the British Monarchy. 2010년 8월 3일에 확인함.
- ↑ “Edward VIII”. Official website of the British Monarchy. 2010년 8월 3일에 확인함.
- ↑ “George VI”. Official website of the British Monarchy. 2010년 8월 3일에 확인함.
- ↑ “Her Majesty The Queen”. Official website of the British Monarchy. 2010년 8월 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 (영어) 영국의 군주 공식 웹사이트
- 공식 유튜브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