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푸아뉴기니
이 문서의 일부는 오래된 정보를 가지고 있어 최신 정보로 교체하여야 합니다. 검토 후 최신 사건이 반영되도록 문서를 수정해 주세요. |
이 문서는 위키백과의 편집 지침에 맞춰 다듬어야 합니다. (2022년 10월 4일) |
파푸아뉴기니 독립국(영어: Independent State of Papua New Guinea, 톡 피신: Independen Stet bilong Papua Niugini 인데펜덴 스테트 빌롱 파푸아뉴기니, 히리 모투: Independen Stet bilong Papua Niu Gini), 약칭 파푸아뉴기니(영어: Papua New Guinea, 톡 피신: Papua Niugini, 히리 모투: Papua Niu Gini, 문화어: 파푸아뉴기니아)는 오세아니아의 나라이다.
파푸아뉴기니 독립국 | |||
---|---|---|---|
영어: Independent State of Papua New Guinea 톡 피신: Independen Stet bilong Papua Niugini 히리 모투: Independen Stet bilong Papua Niu Gini | |||
| |||
표어 | Unity in Diversity (영어: 다양성 속의 통일) | ||
국가 | 오, 모든 아들들아 일어나라 | ||
![]() | |||
수도 | 포트모르즈비 남위 9° 25′ 00″ 동경 147° 17′ 00″ / 남위 9.416667° 동경 147.283333° | ||
파푸아뉴기니(파푸아뉴기니) | |||
정치 | |||
정치체제 | 군주제(영연방), 입헌제 단일국가, 의원내각제 | ||
국왕 총독 총리 | 찰스 3세 밥 다다에 제임스 마라페 | ||
역사 | |||
독립 | 오스트레일리아로부터 | ||
• 독립 | 1975년 9월 16일 | ||
지리 | |||
면적 | 462,840 km2 (56 위) | ||
내수면 비율 | 2% | ||
시간대 | AEST (UTC+10, +11) | ||
DST | 없음 | ||
인문 | |||
공용어 | 영어, 톡 피신, 히리 모투 | ||
인구 | |||
2020년 어림 | 8,935,000명 | ||
2011년 조사 | 7,059,653명 (102위) | ||
인구 밀도 | 15명/km2 (201위) | ||
경제 | |||
GDP(PPP) | 2019년 어림값 | ||
• 전체 | $323.82억 (124위) | ||
• 일인당 | $3,764 | ||
GDP(명목) | 2019년 어림값 | ||
HDI | 0.543 (155위, 2018년 조사) | ||
통화 | 키나 (PGK) | ||
종교 | |||
국교 | 기독교 | ||
기타 | |||
ISO 3166-1 | 598, PG, PNG | ||
도메인 | .pg | ||
국제 전화 | +675 |
역사 편집
이 땅에 사람이 최초로 정착한 것은 5만 년 전으로 보인다. 이 최초의 정착민들은 동남아시아에서 이주해 온 것으로 생각된다. 약 9천 년 전에 뉴기니의 고원지역에서는 농업이 발달하며 이 지역은 자체적으로 작물화를 성공시킨 몇 안되는 지역 중 하나이다.
오스트로네시아계 민족들은 약 2500년 전에 도자기, 돼지, 그리고 몇몇 고기잡기 기술을 섬에 도입하며 이주해 왔다.
유럽인 선원이 최초로 섬을 방문한 것은 16세기였으나 19세기 초까지도 서구에는 이 섬에 대해 알려진 바가 거의 없었다.
"파푸아"라는 이름은 말레이어로 멜라네시아인들의 곱슬머리를 가리키는 말이며, 뉴기니라는 이름은 1545년 스페인의 선원인 이니고 오르티스 데 레테스(Yñigo Ortiz de Retez)가 섬의 주민들이 아프리카 기니만 연안의 주민들과 비슷하게 생겼다고 생각해 붙인 것이다.
파푸아뉴기니의 북쪽 절반은 19세기 말에 독일령 뉴기니가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도중에 이 지역은 다시 오스트레일리아 군대에 점령되었다. 파푸아뉴기니의 남쪽 절반은 영국령 뉴기니로 영국의 식민지였다가 오스트레일리아에 1905년 이양되어 파푸아 보호령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 연맹은 옛 독일령 뉴기니에는 대표를 허락한 반면 파푸아 보호령은 외부 영토로 간주되어 대표가 허락되지 않았다. 파푸아 보호령은 공식적으로 오스트레일리아의 외부 영토로 남아 있었으며, 이는 1975년 독립 이후의 사법제도에 큰 영향을 끼쳤다. 옛 독일령 뉴기니와 파푸아 보호령의 차별화된 법적 상태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식민 지배가 일원화된 것이 아니라 두 지역을 각각 별개로 간주했음을 보여준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두 영토는 파푸아 보호령으로 통일되었으며, 이후에 "파푸아뉴기니"로 불리며, 1975년 9월 16일에 오스트레일리아로부터 독립했다.
부건빌(북솔로몬) 문제 편집
북솔로몬이라고도 불리는 부건빌주는 1990년 파푸아뉴기니로부터 분리 독립을 주장하며 반란을 일으켜 1998년 종결되기까지 2만여 명의 사상자를 낸 뒤 자치주가 되었다. 현재 부건빌 자치주의 대통령은 조세프 카부이이다.
지리 편집
행정 구역 편집
파푸아뉴기니는 21개 주와 1개 수도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주는 독자적인 입법 체계를 갖고 있다. 각 주는 다시 지역구와 지역 정부로 나뉘는데 한 지역구 안에 몇 개의 지역 정부가 존재하는 것이 보통이다.
정치 편집
이 나라는 영국의 군주를 모시는 영연방 국가이면서 주권을 유지하고 있다. 내각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영국 군주의 대리자인 파푸아뉴기니 총독이 사실상 상징적인 국가원수이고 정부수반은 파푸아뉴기니 총리이다.
기후 편집
전형적인 몬순 기후로 무덥고 습하고 일 년 내내 비가 많이 내린다. 대부분 지역에서 우기는 12월~3월이고 건기는 5월~10월이다. 4월과 11월은 환절기로 날씨가 어떻게 변할지 예측할 수 없고 보통 끈적 끈적하고 불쾌한 기후를 보인다. 래(Lae)와 알로타우(Alotau)는 예외적으로 5월~10월이 우기이다. 해변 연안은 일 년 내내 비교적 일정(섭씨 25~30도)한 기온을 보이지만 습도 및 바람의 변화는 예측이 불가능하다.
인구와 주민 편집
파푸아뉴기니의 민족은 멜라네시아계의 파푸아인이 다수를 차지하며, 이외에 미크로네시아계, 폴리네시아계 인구를 비롯하여 중국, 유럽,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의 이민자도 소수 분포하고 있다. 파푸아뉴기니에서는 865여 종 이상의 지역 언어가 사용되고 있으며 언어 하나당 평균 사용자 수는 7천 정도이다. 이 언어들은 크게 파푸아 제어, 오스트로네시아어족으로 나뉜다.
언어 편집
헌법에는 공용어에 관한 명문규정은 없다. 단 세 언어를 사용할 수 있다고 했을 뿐이다. 실제로는 영어가 공용어이며, 영어, 톡피신어, 히리모투어는 세 국민어다. 영어는 전국적으로 널리 쓰이지는 않지만 포트 모스비를 비롯한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톡피신어는 파푸아뉴기니의 중북부 및 섬, 그리고 포트 모스비에서 널리 사용되며 전국적으로 가장 널리 통하는 공용어이다. 톡 피신은 의회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며 많은 신문들이 톡 피신으로 출간되고 있다. 히리모투어는 주로 남부에서 사용된다.
종교 편집
파푸아뉴기니는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다. 2000년 통계에 따르면 인구의 96%가 기독교를 믿는 것으로 드러났는데, 많은 주민들이 토착화된 기독교를 믿고 있어, 지역 및 문화마다 다른 예전을 보인다. 파푸아뉴기니의 주요 기독교 종파들은 다음과 같다.
- 로마 가톨릭교회 (인구의 약 30%)
- 파푸아뉴기니 루터교 선교회 (약 16%)
- 파푸아뉴기니 연합교회 (약 8%)
- 파푸아뉴기니 성공회 (5%)
현재 파푸아뉴기니에는 세계 성서번역 선교회(GBT)소속의 언어학과 신학을 공부한 성서번역선교사들이 활동 중이고, 자신들의 언어로 쓴 성서가 없는 부족을 위한 성서를 번역하거나 문해운동을 진행하고 있다.
오순절교회 및 소규모 다양한 기독교 계통의 컬트 역시 존재하는데, 심지어는 성적으로 문란한 사이비종교도 존재한다고 한다.
기독교 외의 종교로는 바하이(약 15000명)와 이슬람(2000명)을 들 수 있다. 비전통적인 기독교 교회와 다양한 종교집단이 공존하고 있으며 이슬람 및 유교의 선교사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제 편집
1인당 GDP는 1247달러(2009년 기준), 경제가 그리 좋지 못한 극빈국으로, 아이들은 제대로 된 교육도 받지 못하고 있다. 저개발에다 치안 상태도 열약하다.
문화 편집
파푸아뉴기니의 문화는 다원적이며 복잡하다. 파푸아뉴기니에는 1000여 개의 독자적인 문화집단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런 다양성을 기반으로 다양한 형태의 예술, 무용, 무기, 복식, 노래, 음악, 건축 등의 형태가 생겨났다.
이 문화 집단들의 대부분은 독자적인 언어를 갖고 있으며 마을 단위로 농업에 의지해서 살아가고 있다. 식생활의 균형을 위한 사냥 및 야생 식물의 채집이 현재까지도 이루어지고 있으며, 농사와 수렵에 재능이 있는 사람들은 전통적인 경제에서 중요시되고 있다.
엥가 주 고원 지역의 주민들은 고로카에서 "싱싱(singsing)"이라 불리는 축제를 여는데, 화려한 화장을 하고 깃털, 진주, 동물 가죽 등으로 토템으로 분장하여 음악과 함께 전설적인 전투와 같은 역사적, 신화적 사건들을 재현하기도 한다.
대외 관계 편집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와 분류가 있습니다. |
위키낱말사전에 관련된 항목이 있습니다. |
위키여행에 이 글과 관련된 기사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