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수 를 음이 아닌 정수 로 정의하자. 모노이드 범주
(
C
,
⊗
,
1
⊗
)
{\displaystyle ({\mathcal {C}},\otimes ,1_{\otimes })}
에서, 대상
C
∈
C
{\displaystyle C\in {\mathcal {C}}}
의 원소는 사상
1
⊗
→
C
{\displaystyle 1_{\otimes }\to C}
로 정의하자.
대칭 모노이드 범주
(
C
,
⊗
,
1
⊗
)
{\displaystyle ({\mathcal {C}},\otimes ,1_{\otimes })}
에서의 오퍼라드
(
P
,
∘
,
1
P
)
{\displaystyle (P,\circ ,1_{P})}
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구성된다.
(연산 집합) 모든 자연수
n
∈
N
{\displaystyle n\in \mathbb {N} }
에 대하여,
C
{\displaystyle {\mathcal {C}}}
의 대상
P
(
n
)
∈
C
{\displaystyle P(n)\in {\mathcal {C}}}
.
P
(
n
)
{\displaystyle P(n)}
의 원소를 각각
n
{\displaystyle n}
-항 연산 (영어 : n -ary operation )이라고 한다.
(항등 연산)
P
(
1
)
{\displaystyle P(1)}
의 원소
1
P
∈
P
(
1
)
{\displaystyle 1_{P}\in P(1)}
. 이를 항등 연산 (영어 : unit )이라고 한다.
(변수의 치환) 각 자연수
n
∈
N
{\displaystyle n\in \mathbb {N} }
에 대하여, 군 준동형
∗
:
Sym
(
n
)
→
Aut
C
(
P
(
n
)
,
P
(
n
)
)
{\displaystyle *\colon \operatorname {Sym} (n)\to \operatorname {Aut} _{\mathcal {C}}(P(n),P(n))}
. 여기서
Sym
(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Sym} (n)}
은 대칭군 이다.
(연산의 합성) 자연수
n
,
n
1
,
n
2
,
…
,
n
n
∈
N
{\displaystyle n,n_{1},n_{2},\dots ,n_{n}\in \mathbb {N} }
에 대해, 함수들
P
(
n
)
⊗
P
(
n
1
)
⊗
⋯
⊗
P
(
n
n
)
→
P
(
n
1
+
⋯
+
n
n
)
(
θ
,
θ
1
,
…
,
θ
n
)
↦
θ
∘
(
θ
1
,
…
,
θ
n
)
{\displaystyle {\begin{matrix}P(n)\otimes P(n_{1})\otimes \cdots \otimes P(n_{n})&\to &P(n_{1}+\cdots +n_{n})\\(\theta ,\theta _{1},\ldots ,\theta _{n})&\mapsto &\theta \circ (\theta _{1},\ldots ,\theta _{n})\end{matrix}}}
이 데이터는 다음의 성질들을 만족시켜야 한다.
(결합법칙 ) 모든
θ
∈
P
(
n
)
{\displaystyle \theta \in P(n)}
,
θ
i
∈
P
(
n
i
)
{\displaystyle \theta _{i}\in P(n_{i})}
,
θ
i
,
j
(
i
)
∈
P
(
n
i
,
j
(
i
)
)
{\displaystyle \theta _{i,j(i)}\in P(n_{i,j(i)})}
에 대하여 (
i
=
1
,
…
,
n
{\displaystyle i=1,\dots ,n}
,
j
(
i
)
:
1
,
…
,
n
i
{\displaystyle j(i)\colon 1,\dots ,n_{i}}
),
θ
∘
(
θ
1
∘
(
θ
1
,
1
,
…
,
θ
1
,
n
1
)
,
…
,
θ
n
∘
(
θ
n
,
1
,
…
,
θ
n
,
n
n
)
)
=
(
θ
∘
(
θ
1
,
…
,
θ
n
)
)
∘
(
θ
1
,
1
,
…
,
θ
1
,
n
1
,
…
,
θ
n
,
1
,
…
,
θ
n
,
n
n
)
{\displaystyle \theta \circ (\theta _{1}\circ (\theta _{1,1},\ldots ,\theta _{1,n_{1}}),\ldots ,\theta _{n}\circ (\theta _{n,1},\ldots ,\theta _{n,n_{n}}))=(\theta \circ (\theta _{1},\ldots ,\theta _{n}))\circ (\theta _{1,1},\ldots ,\theta _{1,n_{1}},\ldots ,\theta _{n,1},\ldots ,\theta _{n,n_{n}})}
(항등원의 성질) 모든
θ
∈
P
(
n
)
{\displaystyle \theta \in P(n)}
에 대하여,
θ
∘
(
1
,
…
,
1
⏞
n
)
=
θ
=
1
∘
θ
{\displaystyle \theta \circ (\overbrace {1,\ldots ,1} ^{n})=\theta =1\circ \theta }
(치환의 작용) 모든
θ
∈
P
(
n
)
{\displaystyle \theta \in P(n)}
및
θ
i
∈
P
(
n
i
)
{\displaystyle \theta _{i}\in P(n_{i})}
(
i
=
1
,
…
,
n
{\displaystyle i=1,\dots ,n}
) 및 순열
σ
∈
Sym
(
n
)
{\displaystyle \sigma \in \operatorname {Sym} (n)}
에 대하여,
(
θ
∘
(
θ
1
,
…
,
θ
n
)
)
∗
σ
=
θ
∘
(
θ
σ
(
1
)
,
…
,
θ
σ
(
n
)
)
{\displaystyle (\theta \circ (\theta _{1},\dots ,\theta _{n}))*\sigma =\theta \circ (\theta _{\sigma (1)},\dots ,\theta _{\sigma (n)})}
(치환의 작용) 모든
θ
∈
P
(
n
)
{\displaystyle \theta \in P(n)}
및
θ
i
∈
P
(
n
i
)
{\displaystyle \theta _{i}\in P(n_{i})}
및 순열
σ
1
∈
Sym
(
n
i
)
{\displaystyle \sigma _{1}\in \operatorname {Sym} (n_{i})}
(
i
=
1
,
…
,
n
{\displaystyle i=1,\dots ,n}
)에 대하여,
(
θ
∘
(
θ
1
∗
σ
1
,
…
,
θ
n
∗
σ
n
)
)
=
(
θ
∘
(
θ
1
,
…
,
θ
n
)
)
∗
ι
(
σ
1
,
…
,
σ
n
)
{\displaystyle (\theta \circ (\theta _{1}*\sigma _{1},\dots ,\theta _{n}*\sigma _{n}))=\left(\theta \circ (\theta _{1},\dots ,\theta _{n})\right)*\iota (\sigma _{1},\dots ,\sigma _{n})}
여기서
ι
:
∏
i
=
1
n
Sym
(
n
i
)
↪
Sym
(
∑
i
=
1
n
n
i
)
{\displaystyle \iota \colon \prod _{i=1}^{n}\operatorname {Sym} (n_{i})\hookrightarrow \operatorname {Sym} (\sum _{i=1}^{n}n_{i})}
는 군의 자연스러운 포함 관계이다.
같은 대칭 모노이드 범주
C
{\displaystyle {\mathcal {C}}}
속의 두 오퍼라드
(
P
,
∘
P
,
1
P
)
{\displaystyle (P,\circ _{P},1_{P})}
,
(
Q
,
∘
Q
,
1
Q
)
{\displaystyle (Q,\circ _{Q},1_{Q})}
사이의 사상
f
:
P
→
Q
{\displaystyle f\colon P\to Q}
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각 자연수
n
∈
N
{\displaystyle n\in \mathbb {N} }
에 대하여, 사상
f
(
n
)
:
P
(
n
)
→
Q
(
n
)
{\displaystyle f(n)\colon P(n)\to Q(n)}
.
이는 다음 성질들을 만족시켜야 한다.
(연산 합성의 보존) 모든
(
θ
,
θ
1
,
θ
2
,
…
,
θ
n
)
∈
P
(
n
)
×
P
(
n
1
)
×
P
(
n
2
)
×
⋯
×
P
(
k
n
)
{\displaystyle (\theta ,\theta _{1},\theta _{2},\dots ,\theta _{n})\in P(n)\times P(n_{1})\times P(n_{2})\times \cdots \times P(k_{n})}
에 대하여,
f
(
θ
∘
P
(
θ
1
,
…
,
θ
n
)
)
=
f
(
θ
)
∘
Q
(
f
(
θ
1
)
,
…
,
f
(
θ
n
)
)
{\displaystyle f(\theta \circ _{P}(\theta _{1},\ldots ,\theta _{n}))=f(\theta )\circ _{Q}(f(\theta _{1}),\ldots ,f(\theta _{n}))}
(항등원의 보존)
f
(
1
P
)
=
1
Q
{\displaystyle f(1_{P})=1_{Q}}
(대칭군의 작용의 보존)
이에 따라,
C
{\displaystyle {\mathcal {C}}}
에서의 오퍼라드들은 범주
C
-
O
p
e
r
a
d
{\displaystyle {\mathcal {C}}\operatorname {-Operad} }
를 이룬다.
집합의 데카르트 닫힌 범주
Set
{\displaystyle \operatorname {Set} }
속의 오퍼라드
(
P
,
∘
P
,
1
P
)
{\displaystyle (P,\circ _{P},1_{P})}
가 주어지면, 이로부터
Set
{\displaystyle \operatorname {Set} }
위의 모나드
P
^
:
Set
→
Set
{\displaystyle {\hat {P}}\colon \operatorname {Set} \to \operatorname {Set} }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집합
S
{\displaystyle S}
는 항상 0항 연산의 집합으로 취급할 수 있는데,
P
^
(
S
)
{\displaystyle {\hat {P}}(S)}
는
P
{\displaystyle P}
와
S
{\displaystyle S}
를 합성하여 정의할 수 있는 0항 연산들의 집합이다. 이 경우, 자연 변환
P
^
P
^
⟹
P
^
{\displaystyle {\hat {P}}{\hat {P}}\implies {\hat {P}}}
는
P
{\displaystyle P}
의 연산의 합성으로서 자연스럽게 정의된다.
오퍼라드는 어떤 대수 구조가 만족시킬 수 있는 일련의 공리들을 정의한다. 이에 따라, 주어진 대칭 모노이드 범주 속에서, 어떤 오퍼라드가 나타내는 공리들을 만족시키는 구조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으며, 이를 오퍼라드 대수 라고 한다.
(
C
,
⊗
,
1
)
{\displaystyle ({\mathcal {C}},\otimes ,1)}
가 국소적으로 작은 대칭 모노이드 범주 라고 하고, 그 속에 대상
X
∈
C
{\displaystyle X\in {\mathcal {C}}}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자기준동형 오퍼라드 (영어 : endomorphism operad )
End
C
(
X
)
{\displaystyle \operatorname {End} _{\mathcal {C}}(X)}
는 다음과 같은 (집합 값을 갖는) 오퍼라드이다.[ 1]
각 자연수
n
∈
N
{\displaystyle n\in \mathbb {N} }
에 대하여,
End
C
(
X
)
(
n
)
=
hom
C
(
X
n
,
X
)
{\displaystyle \operatorname {End} _{\mathcal {C}}(X)(n)=\hom _{\mathcal {C}}(X^{n},X)}
1
End
C
(
X
)
=
id
X
{\displaystyle 1_{\operatorname {End} _{\mathcal {C}}(X)}=\operatorname {id} _{X}}
각
θ
,
θ
1
,
…
,
θ
n
{\displaystyle \theta ,\theta _{1},\dots ,\theta _{n}}
에 대하여,
θ
∘
(
θ
1
,
…
,
θ
n
)
=
θ
∘
⊗
i
=
1
n
θ
i
{\displaystyle \theta \circ (\theta _{1},\dots ,\theta _{n})=\theta \circ \otimes _{i=1}^{n}\theta _{i}}
양의 정수
k
{\displaystyle k}
에 대하여,
k
{\displaystyle k}
차원 초입방체 오퍼라드 (영어 : n -cubes operad )
C
k
{\displaystyle C_{k}}
는 다음과 같다.[ 1]
C
k
(
n
)
{\displaystyle C_{k}(n)}
은
n
{\displaystyle n}
개의
k
{\displaystyle k}
차원 초입방체
◻
1
,
…
,
◻
n
{\displaystyle \square _{1},\dots ,\square _{n}}
를 하나의
k
{\displaystyle k}
차원 초입방체
◻
{\displaystyle \square }
에 서로 겹치지 않고,
◻
i
{\displaystyle \square _{i}}
의 면들이
◻
{\displaystyle \square }
의 면들과 서로 평행하게 매장 하는 방법들이다.
C
k
{\displaystyle C_{k}}
의 항등원은 초입방체
◻
{\displaystyle \square }
위의 항등 함수 이다.
C
k
{\displaystyle C_{k}}
에서,
θ
:
◻
1
⊔
⋯
⊔
◻
n
↪
◻
{\displaystyle \theta \colon \square _{1}\sqcup \cdots \sqcup \square _{n}\hookrightarrow \square }
와
θ
i
:
◻
i
,
1
⊔
⋯
⊔
◻
i
,
n
i
↪
◻
i
{\displaystyle \theta _{i}\colon \square _{i,1}\sqcup \cdots \sqcup \square _{i,n_{i}}\hookrightarrow \square _{i}}
(
i
=
1
,
…
,
n
{\displaystyle i=1,\dots ,n}
)의 합성은 매장을 합성하여,
θ
i
,
j
{\displaystyle \theta _{i,j}}
를
θ
{\displaystyle \theta }
속에 겹치지 않고, 면들이 평행하게 매장시키는 사상이다.
벡터 공간의 닫힌 대칭 모노이드 범주
Vect
K
{\displaystyle \operatorname {Vect} _{K}}
위에서 다음과 같은 오퍼라드
Assoc
K
{\displaystyle \operatorname {Assoc} _{K}}
를 정의하자.
Assoc
K
{\displaystyle \operatorname {Assoc} _{K}}
의
n
{\displaystyle n}
항 연산은
n
!
{\displaystyle n!}
차원
K
{\displaystyle K}
-벡터 공간
Span
K
Sym
(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Span} _{K}\operatorname {Sym} (n)}
이다. 여기서
Sym
(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Sym} (n)}
은 크기가
n
!
{\displaystyle n!}
인 대칭군 이다.
Sym
(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Sym} (n)}
의 작용은 군
Sym
(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Sym} (n)}
의 왼쪽 곱셈의 선형 확장이다.
Assoc
K
{\displaystyle \operatorname {Assoc} _{K}}
의 연산의 합성은 군 준동형
Sym
(
n
1
)
×
⋯
×
Sym
(
n
k
)
→
Sym
(
n
1
+
⋯
+
n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Sym} (n_{1})\times \cdots \times \operatorname {Sym} (n_{k})\to \operatorname {Sym} (n_{1}+\cdots +n_{k})}
의 선형 확장이다.
이 경우,
Assoc
K
{\displaystyle \operatorname {Assoc} _{K}}
위의 대수는 결합
K
{\displaystyle K}
-대수 이다. 마찬가지로, 교환법칙 따위를 오퍼라드로 나타낼 수 있다.
존 피터 메이 (영어 : Jon Peter May )[ 4] 와 마이클 보드먼(영어 : J. Michael Boardman ), 라이너 폭트(독일어 : Rainer M. Vogt )[ 5] 가 호모토피 이론 에서 도입하였다. "오퍼라드"라는 이름은 메이가 작명하였고, 이 이름을 고르는 데 일주일을 소비했다고 한다.[ 2] 메이에 따르면, "오퍼라드"(영어 : operad 오퍼래드[* ] )는 영어 : operation 오퍼레이션[* ] (연산)과 영어 : monad 모내드[* ] (모나드 )의 합성어이다.
“
‘오퍼라드’라는 이름은 내가 일주일 동안 이것만을 생각하여 고안해 낸 용어이다. 이름이 근사하게 들리는 것 말고도, 이는 ‘연산’(영어 : operation 오퍼레이션[* ] )과 ‘모나드 ’가 연상되게 한 것이다. 덧붙이자면, 나는 매클레인 에게 […] ‘트리플’(영어 : triple ) 대신 ‘모나드 ’를 사용하도록 설득하였다. 나는 오퍼라드의 개념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신하였고, 용어들이 서로 호환되기를 바랐다.
The name “operad” is a word that I coined myself, spending a week thinking about nothing else. Besides having a nice ring to it, the name is meant to bring to mind both operations and monads. Incidentally, I persuaded MacLane to discard the term “triple” in favor of “monad” […]. I was convinced that the notion of an operad was an important one, and I wanted the names to mesh.
”
이후 막심 콘체비치 가 오퍼라드의 개념을 이론물리학 등에 응용하였다.
“Operad” . 《nLab》 (영어).
Zinbiel, Guillaume W. (2010). “Encyclopedia of types of algebras 2010” (영어). arXiv :1101.026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