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우 (고려 왕족)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6년 6월) |
정양군 왕우(定陽君 王瑀, ? ~ 1397년 3월 23일/음력 2월 24일)[1]는 고려 말기의 왕족이자 조선 초기의 문신이다.
![]() 王瑀 | |
---|---|
지위 | |
고려의 태자 | |
재위 | ? |
대관식 | 없음 |
부왕 | 정원부원군(定原府院君) |
이름 | |
휘 | 왕우(王瑀) |
이칭 | 없음 |
별호 | 정양군(定陽君) 정양부원군(定陽府院君) 마전군(麻田郡) 귀의군(歸義君) |
연호 | 없음 |
묘호 | 없음 |
시호 | 경희(景禧) |
신상정보 | |
출생일 | 생년 미상(生年 未詳) |
출생지 | 고려(高麗) 개경(開京) |
사망일 | 1397년 3월 23일/음력 2월 24일 |
사망지 | 조선(朝鮮) 한성부(漢城府) |
매장지 | 없음 |
왕조 | 고려(高麗) 조선(朝鮮) |
가문 | 개성(開城) |
부친 | 정원부원군(定原府院君) |
모친 | 국대비 왕씨(國大妃 王氏) |
배우자 | 교하 노씨(交河 盧氏) |
자녀 | 정강군(定康君) 왕관(王琯) 개성 왕씨(開城 王氏)개성 왕씨(開城 王氏) 개성 왕씨(開城 王氏)개성 왕씨(開城 王氏) |
종교 | 불교(佛敎) 유교(儒敎) 성리학(性理學) |
약력편집
본래 그는 고려 신종의 7대손이다.[2]정원부원군 왕균의 아들이며 공양왕 왕요에게는 친형이자 고려 보위 추정상속자였다. 공양왕이 4조를 추증하고 그에게 제사를 받들게 하였으며, 1392년(공양왕 4) 조선 건국 후에도 그의 딸이 이성계의 며느리인 탓에 화를 면할 수 있었다.[3] 본관은 개성(開城), 시호는 경희(景禧)이다.
생애편집
처음에 창원부원대군이 되었다가 다시 정양군(定陽君)에 개봉되었으며, 1389년 동생 공양왕이 즉위하면서 진봉되어 정양부원군(定陽府院君)이 되었다. 이후 판문하성사(判門下省事)가 되었으며, 영삼사사(領三司事) 겸 종부시사(宗簿寺事)가 됐다.
공양왕이 즉위하여 우왕·창왕을 낮추어 서인(庶人)으로 삼고, 이림(李琳)·이귀생(李貴生)·유염(柳琰)·최렴(崔濂)·노귀산(盧貴山)·이근(李懃) 등을 유배시킬 때 왕명으로 장단에서 진을 치고 비상사태에 대비하기도 하였다. 1392년 고려 공양왕이 사대 조상과 외증, 외고조를 추존하고 그 제사를 맡겼으며, 1391년 영문하부사(領門下府事)에 임명됐다.
1392년 7월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였으나 그의 딸이 이성계의 아들 이방번과 결혼하였으므로 화를 면하였고 마전군(麻田君)·귀의군(歸義君)에 봉해졌으며 왕실 선조들의 제사를 맡게 되었다.
1392년 12월 두 아들인 왕조(王珇), 왕관(王琯)은 외가의 성인 노(盧)로 환성당했으며, 노조(盧珇)를 상장군(上將軍)으로 삼고, 노관(盧琯)을 대장군으로 삼았다.[4]
1397년 10월 장남 노조(盧珇)가 왕씨로 복성되었고, 마전군(麻田郡), 귀의군(歸義君)으로 습봉하게 되었다.
가족 관계편집
- 조부 : 마한국인혜공 순화후 왕유(馬韓國仁惠公 淳化侯 王瑈, ? ~1360)
- 조모 : 마한국명예비 신씨(馬韓國明睿妃 申氏)
- 외조부 : 연덕부원대군 왕훈(延德府院大君 王塤, 생몰년 미상)
- 어머니 : 삼한국대비 왕씨(三韓國大妃 王氏) - 강양공(江陽公, 제25대 충렬왕의 장남)의 손녀
- 동생 : 고려 제34대 공양왕(恭讓王, 1345~1394, 재위: 1389~1392)
- 부인 : 교하 노씨(交河盧氏) - 신양군 노영(信陽君 盧瑛)의 딸
- 장남 : 정강군 귀의군 왕조(定康君/歸義君 王珇, ? ~1398) - 상장군
- 차남 : 원윤 왕관(元尹 王琯, ? ~1398) - 대장군
- 장녀 : 삼한국대부인 개성 왕씨(三韓國大夫人 開城 王氏)
- 사위 : 조선 태조(太祖)의 7남 무안대군 이방번(撫安大君 李芳蕃, 1381~1398)
- 차녀 : 개성 왕씨(開城 王氏)
- 사위 : 심덕부(沈德符, 1328~1401)의 7남이며 영의정 심온(領議政 沈溫, 1375~1419) · 청원군 심종(靑原君 沈悰)의 동생인 의흥삼군부 동지총제 심정(義興三軍府 同知摠制 沈泟, ? ~1418)
- 3녀 : 개성 왕씨(開城 王氏)
- 사위 : 신자근(申自謹)
- 4녀 : 개성 왕씨(開城 王氏)
- 사위 : 순녕군 이덕근(順寧君 李德根, ? ~ 1412년 음력 4월 25일) - 조선 태조(太祖)의 장남 진안대군의 서자
- 어머니 : 삼한국대비 왕씨(三韓國大妃 王氏) - 강양공(江陽公, 제25대 충렬왕의 장남)의 손녀
기타편집
그의 딸들이 조선 태조 이성계의 아들 무안대군 이방번, 진안대군 이방우의 서자 순녕군 이덕근과 결혼하였으므로 그는 조선의 왕족도 된다.
각주편집
전임 공양왕 |
제35대 고려의 왕실 수장 1394년 ~ 1397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