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외래어 표기법/기타 언어의 표기 일반 원칙

다음은 외래어 표기법 용례집에 수록된 외래어 표기 용례의 표기 원칙의 7장에 따른, 아직 표기법이 제정되지 않은 기타 언어를 표기할 때의 일반 원칙이다.[1] 공식적으로 외래어 표기법으로 고시되진 않았지만 외래어를 표기할 때 이 원칙을 함께 적용하고 있으므로, 외래어 표기법에 준하는 지위를 갖는다.

제1항

편집

철자 a, e, i, o, u는 각각 ‘아’, ‘에’, ‘이’, ‘오’, ‘우’로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2항

편집

ä[2]는 그 음가가 [æ]인 경우에도 ‘에’로 적는다.

Sodankylä[3] 소단퀼레

제3항

편집

(3) o(또는 ó 따위)[4]는 음가가 [u]이더라도 ‘오’로 적는다.

Kraków[5] 크라코프 (※1992년 폴란드어 표기법 제정으로 ‘크라쿠프’로 바뀜.)
Lwów[6] 르보프 (※1992년 폴란드어 표기법 제정으로 ‘르부프’로 바뀜.)

단, 포르투갈어에서는 음가에 따라 ‘오/우’로 적는다.[7]

Óbidos[8] 오비두스 Pedro 페드루

제4항

편집

i는 그 음가가 [j]인 경우에도 뒤의 모음과 합치지 않고 따로 ‘이’로 적는다.

Iași[9] 이아시 Ploiești[10] 플로이에슈티

제5항

편집

[j]의 음가를 가지는 j는 뒤의 모음과 합쳐 ‘야’, ‘예’ 등으로 적으며, 앞에 자음이 있을 경우, 그 자음까지 합쳐 적는다. 단, 뒤의 모음과 합쳐 적을 수 없는 경우에는 ‘이’로 적는다.

Cetinje 체티녜[11] Reykjavík[12] 레이캬비크 Björneborg[13] 비외르네보리

제6항

편집

y가 모음 사이 또는 어두에 있을 때에는 뒤의 모음과 합쳐 ‘야’, ‘예’ 등으로 적으며, 자음과 모음 사이에 있을 때에는 앞의 자음과만 합쳐서 적는다.

Yezd 예즈드 Jayapura 자야푸라 Akyab 아키아브 Konya 코니아

제7항

편집

u는 뒤의 모음과 합치지 않고 따로 ‘우’로 적는다. 단, 앞에 자음 [k], [ɡ], [h], [x]가 있으면 ‘콰’, ‘퀘’ 등으로 합쳐 적는데, 이때 뒤의 모음이 o이면 ‘쿠오’, ‘구오’ 등으로 적는다.

Suez 수에즈 Guardafui 과르다푸이 Mergui 메르귀 Kuopio 쿠오피오

제8항

편집

[w]의 음가를 가지는 w는 뒤의 모음과 합쳐 ‘와’, ‘웨’ 등으로 적는다. 앞에 자음이 있을 경우, 그 자음이 [k], [ɡ], [h], [x]이면 그 자음까지 합쳐 ‘콰’, ‘퀘’ 등으로 적으며, 그 밖의 자음이면 ‘으’를 붙여 따로 적는다.

Wewak 웨와크 Gwader 과데르 Gondwana 곤드와나 Rwanda 르완다

제9항

편집

파열음은 다음과 같이 적는다.

  • (가) 어말의 파열음은 유성음([b], [d], [ɡ]), 무성음([p], [t], [k]) 모두 ‘으’를 붙여 적는다.
Akyab 아키아브 Split 스플리트
  • (나) 모음과 자음 사이에서 유성 파열음은 ‘으’를 붙여 적으며, 무성 파열음은 받침으로 적되, 뒤의 자음이 [l], [r], [m], [n]이면 ‘으’를 붙여 적는다.
Nagpur 나그푸르
Ecbatana 엑바타나
Paknam 파크남 (※2004년 태국어 표기법 제정으로 ‘빡남’으로 바뀜.)

제10항

편집

th는 ‘ㅌ/트’로, ts는 ‘ㅊ/츠’로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Bothnia 보트니아 Amritsar 암리차르

제11항

편집

h는 자음 앞 또는 어말에서는 음가가 있더라도 표기하지 않는다.

Pahlavi 팔라비 Nineveh 니네베

제12항

편집

n은 그 음가가 [n]이 아닌 경우에도 ‘ㄴ’으로 적는다. 단, [ŋ]일 때만은 받침 ‘ㅇ’으로 적는다.

İstanbul[14] 이스탄불 Bengasi 벵가지

제13항

편집

모음 사이의 ng은 [g]음을 가지지 않더라도 ‘ㄱ’을 넣어 적는다.

Angaur 앙가우르 Groningen 그로닝겐[15]

제14항

편집

발음상 같은 자음이 겹치더라도 겹쳐 적지 않는다. 단, -mm-과 -nn-은 음가와 관계없이 겹쳐 적는다.

Philippus 필리푸스 Annam 안남

제15항

편집

어두의 M+자음, N+자음은 각각 ‘음-’, ‘은-’으로 적되, Ng-은 ‘응ㄱ’로 적는다.

Mbandaka 음반다카 Ndola 은돌라 Nkrumah 은크루마 Nguesso 응궤소

제16항

편집

포르투갈어에서,[16]

  • (가) ão[17]은 o를 무시하고 ‘앙’으로 적는다.
João[18] 주앙 São[19]
  • (나) 자음 앞 또는 어말의 m과 n도 각각 받침 ‘ㅁ’, ‘ㄴ’으로 적는다.
Campos 캄푸스 Henrique 엔리케 Belém[20] 벨렘
  • (다) s는 모두 ‘ㅅ/스’로, z는 모두 ‘ㅈ/즈’로 적는다.
Vasco 바스코 Cruz 크루즈

제17항

편집

인도 및 그 주변의 -ore형 지명은 ‘오르’로 적는다.

Bangalore 방갈로르 Serampore 세람포르

각주

편집
  1. 국립국어원
  2. 국립국어원 웹사이트에는 "a"로 잘못 표기
  3. 국립국어원 웹사이트에는 "Sodankyla"로 잘못 표기
  4. 국립국어원 웹사이트에는 "o(또는 o 따위)"로 잘못 표기
  5. 국립국어원 웹사이트에는 "Krakow"로 잘못 표기
  6. 국립국어원 웹사이트에는 "Lwow"로 잘못 표기
  7. 이 조항은 2005년 포르투갈어 표기법 제정으로 무효.
  8. 국립국어원 웹사이트에는 "Obidos"로 잘못 표기
  9. 국립국어원 웹사이트에는 "Ia?i"로 잘못 표기
  10. 국립국어원 웹사이트에는 "Ploie?ti"로 잘못 표기
  11. 백:외래어 표기법/세르보크로아트어에서 "체티네"로 변경
  12. 국립국어원 웹사이트에는 "Reykjavik"로 잘못 표기
  13. 국립국어원 웹사이트에는 "Bjorneborg"로 잘못 표기
  14. 국립국어원 웹사이트에는 "?stanbul"로 잘못 표기
  15. 백:네덜란드어에 따르면 "흐로닝언"
  16. 이 조항은 2005년 포르투갈어 표기법 제정으로 무효.
  17. 국립국어원 웹사이트에는 "ao"으로 잘못 표기
  18. 국립국어원 웹사이트에는 "Joao"으로 잘못 표기
  19. 국립국어원 웹사이트에는 "Sao"으로 잘못 표기
  20. 국립국어원 웹사이트에는 "Belem"으로 잘못 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