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축년 대홍수

(을축년대홍수에서 넘어옴)

을축년 대홍수(乙丑年 大洪水)는 1925년 일제강점기 7월 초순부터 9월까지 네 차례에 걸쳐 조선을 덮친 홍수를 말한다. 한강낙동강 유역의 피해가 특히 심했으며, 홍수가 일어난 1925년, 을축년의 이름을 따서 을축년 대홍수라고 부른다. 평균 700~970mm의 강수량이 내려 1억 300만원의 피해액을 냈는데, 이는 당시 연간 강수량의 80%와 조선총독부 예산의 58%에 해당한다. 서울에서만 647명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가옥 6,792여채가 거센 물길에 휩쓸렸다. 붕괴된 가옥이 17,045채, 침수피해는 46,813채에 달하여 29,229의 이재민이생겼다.

을축년 대홍수 당시 서울 지역의 피해를 기록한 《경성부수재도京城府水災圖

1번째 홍수 편집

1925년 7월 7일 대만 부근에서 태풍(2559)이 생성되어 11일과 12일에 한국 중부를 지나갔다. 이로 인해 한강금강, 낙동강, 만경강 등의 한반도 중·남부 지역의 강들이 범람하였다. 황해도 이남 지역에 300~500mm의 호우가 내려 한강은 구룡산에서 10.57m의 수위를 나타내었고, 한강, 금강, 만경강, 낙동강 등이 범람하였다.[1][2]

2번째 홍수 편집

1차 홍수의 물이 채 빠져나가기도 전인 7월 14일, 타이완 부근에 다시 태풍(2560)이 생성되어 중부 지방을 지나갔는데 7월 15일부터 7월 18일까지 4일 동안 650mm 이상의 높은 강우량을 보였다. 연이은 홍수로 인해 한강의 수위는 최대를 기록했고, 제방이 무너지고 범람하여 용산 일대가 물에 잠겼으며 숭례문 앞까지 물이 차올랐다. 서울 시내의 교통과 통신 또한 마비되었다. 당시 익사자만 400여 명에 1만 2천여 호의 가옥이 유실되었다. 전곶교도 이때 파괴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이 홍수로 여러 가지 유적들이 발견되기도 하였는데 백제의 풍납토성암사동 선사주거지가 이때 발견되었다. 18일 한강은 뚝섬에서 13.59m, 한강대교에서 11.66m 그리고 구룡산에서 12.47m의 수위를 나타냈다. 당시 용산의 철도청 관사는 1층 천장까지 물이 찼고, 용산역의 열차도 물에 잠겼다. 또한 뚝섬에 샛강이 생겨 신천(新川)이라는 지명이 생겼고, 지금은 자취를 감춘 피수대(避水臺)의 느티나무 윗가지까지 물이 찼다.[2] 가장 피해가 심했던 곳은 제방이 설치되지 않았던 동부이촌동 · 뚝섬 · 송파 · 잠실리 · 신천리 · 풍납리 등이었다.[1]

낙동강의 피해도 막심했다. 대저도는 전멸하다싶이 했고, 200구의 시체가 섬 아래에서 발견되었다.[3] 12일에 밀양김제에서 제방이 무너져 2,000명이 행방불명되었고, 15일에는 창원에서 제방이 무너져 6,000명이 고립 또는 실종되었다.[4]

3번째 홍수 편집

장강에서 발달한 저기압이 일본 제국중화민국의 국경을 지나 간도로 빠져나가면서 8월 초에 관서 지방에 호우가 내렸고, 이로 인해 대동강, 청천강, 압록강이 범람하였다.

4번째 홍수 편집

마리아나 제도에서 열대성저기압이 발달하여 북상하였고 1925년 9월 6일에는 제주도목포·대구를 거쳐서 동해로 빠져나갔는데 남부 지방의 호우로 낙동강, 영산강, 섬진강 등이 범람하였다. 사망자와 실종자를 합쳐 63명을 기록하였다.

결과 편집

4차례의 홍수로 전국에서 사망자 647명, 6천여 호의 가옥이 유실되고 1만 7천여 호의 가옥이 붕괴되고 4만 6천호의 가옥은 침수되었다. 3만 2천단보의 논과 6만 7천 단보의 밭이 유실되었다. 홍수로 인한 피해액만 1억 300만원에 달하였는데 이는 당시 조선총독부의 1년 예산의 58%에 달하는 금액이었다.

복구를 위해 조선총독부는 군대까지 동원하였고 한강 본류와 안양천, 중랑천, 청계천 등의 지류에 대대적인 제방 공사를 벌였다. 한강 유역의 대부분을 물로 덮어버린 이 홍수로 송파동 일대가 침수되면서 풍납토성암사동 선사주거지가 발견되었다. 한편으로 조선총독부에 근무하던 일본인 가지야마는 이 홍수를 계기로, 경험적으로 얻은 단순 홍수량 공식인 가지야마 공식을 만들어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