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여객
합자회사 경남여객(合資會社 京南旅客)은 경기도 용인시에 본사를 두고 있는 버스 운수업체다. 회사명의 '경남'은 '경기도 남부권' (京畿道 南部圈)과 '경기도의 남씨(南氏) 집안'을 의미하는 단어이며, 경상남도(慶尙南道)와는 관련이 없다.
![]() | |
산업 분야 | 운수업 |
---|---|
창립 | 1959년 3월 15일 |
시장 정보 | 비상장 |
국가 | ![]() |
본사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신기로 170 (남동) |
핵심 인물 | 남경훈 (대표사원) |
제품 | 고속버스, 시외버스, 공항버스, 시내버스, 마을버스, 터미널 |
계열사 | 동백운수, 마북운수 |
웹사이트 | 경남여객 |
1959년에 남상학이 설립했으며, 그의 아들이자 전 신한국당 국회의원인 남평우 (작고)를 거쳐 현재는 3대인 남경훈이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현 대표이사 남경훈은 전 경기도지사인 남경필의 친동생이다.
본사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동으로 이전했으며, 기존 본사 부지(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우만1동)는 수원차고지다.
역사편집
1959년에 설립되어 1974년에 수원시내버스 운송사업을 취득한데 이어 1976년에는 용인시내버스 운송사업을 취득하였다. 1977년에 합자회사로 전환되었으며 1988년에는 백성운수가 분리 되었다. 2000년에는 경일여객의 용인시내 및 완행 노선을 인수, 성산교통을 설립하였으나 2003년에 통합되었으며[1], 2007년 상호명을 경남여객자동차공사에서 경남여객으로 변경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2017년 1월 1일부터 용인공용버스터미널을 운영하게 되었다.[2] 또한 2017년부터 마북운수를 인수하여 운영하게 되었다.
현황편집
2019년 1월 기준이다.[3]
- 시내버스
운행업체 | 보유 노선수 | 등록 대수 | ||||||||
---|---|---|---|---|---|---|---|---|---|---|
노선 합계 | 광역급행 | 직행좌석 | 일반좌석 | 시내일반 | 대수 합계 | 광역급행 | 직행좌석 | 일반좌석 | 시내일반 | |
경남여객 | 107 | - | 10 | - | 97 | 368 | - | 119 | - | 249 |
- 시외버스
운행업체 | 보유 노선수 | 등록 대수 | |||||
---|---|---|---|---|---|---|---|
노선 합계 | 시외버스 | 고속버스 | 대수 합계 | 시외버스 | 고속버스 | ||
경남여객 | 28 | 25 | 3 | 109 | 103 | 6 |
운행 노선편집
마을버스편집
시내버스편집
- ● 2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마성사거리
- ● 2-1번: 예원마을코아루 - 고진역
- ● 3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이천종합버스터미널 (1일 1회 목리, 각평리 경유)
- ● 6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남사초등학교 (1일 7회 운행)
- ● 6-1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화산1리 (20:00, 21:00 1일 2회 운행)
- ● 7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마성사거리 (1일 11회 운행)
- ● 8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둔전농협
- ● 9번: 마성3리 - 지장실
- ● 10번: 수원역 - 백암터미널
- ● 10-1번: 백암면 - 죽산
- ● 10-2번: 수원역 - 흥덕지구
- ● 10-4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상산 (한택식물원) (원삼면, 백암면 경유, 1일 12회 운행)
- ● 13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명지대학교 (엘펜하임 경유)
- ● 10-5번: 수원역 - 용인종합버스터미널 (한국민속촌 경유) <저상운행>
- ● 11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구봉말 (양지면 경유, 1일 14회 운행)
- ● 11-1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둥지박물관 (이동면, 원삼면 경유)(22번 노선과 장촌까지 동일 노선 운행)
- ● 12번: 금어2리 - 마성2리
- ● 14번 / 14-1번: 모현읍 - 모현읍
- ● 14-3번: 모현읍 - 오산리
- ● 16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원삼면 (법륜사 경유, 1일 9회 운행)
- ● 20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경기광주 (모현읍 경유) <저상운행>
- ● 22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장촌 (1일 23회 운행)
- ● 22-1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안성종합버스터미널 (송전, 한경대 경유)
- ● 24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오산역 (송전 경유)
- ● 24-1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오산역 (완장리 경유)
- ● 24-2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오산역 (완장리 경유, 직통, 남사면 및 방아리 미경유, 1일 4회 운행)
- ● 55번: 강남대역 - 상현역[4]
- ● 65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청덕지구 (동백지구 경유)
- ● 66번: 에버랜드 - 수원역
- ● 66-4번: 에버랜드 - 수원역 (동백지구 경유)
- ● 68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수지구청 (동백지구 경유)
- ● 70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금어2리
- ● 71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지장실
- ● 72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남사
- ● 73번: 백암면 - 백암면 (백암순환노선, 시간대에 따라 경유지 다름)
- ● 74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배실, 온누리요양병원
- ● 75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진목리 (완장리, 남사면 경유)
- ● 76번: 원삼면 - 원삼면 (원삼순환노선, 시간대에 따라 경유지 다름)
- ● 77번: 상현역 - 구성역 - 어정마을
- ● 81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주북리 - 배실
- ● 82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아시아나 컨트리클럽
- ● 83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해실리 (1일 2회 원삼면 운행)
- ● 84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중간동 - 용인행정타운
- ● 84-1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은이성지 ~ 아시아CC
- ● 84-2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용인중 - 중간동(1일 1회 06:32분 운행)
- ● 87번: 에버랜드 - 모현읍
- ● 88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삼성반도체
- ● 88-1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삼성반도체 (영진골프장, 신창A 경유)
- ● 89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모현사거리
- ● 90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에버랜드 - 매산리 - 모현읍 주민자치센터
- ● 91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묘봉리
- ● 92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창3리
- ● 93번: 용인종합버스터미널 - 서리 - 상덕 - 용인종합버스터미널 (순환버스)
- ● 93-1번: 용인종합버스터미널 - 용인대 - 상덕 - 용인종합버스터미널 (순환버스)
- ● 94번: 기흥역 - 상갈역 - 보라동 - 공세동 - 기흥초등학교 - 동탄역 (2016-12-09일 신설)
- ● 95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추곡리 (1일 1회 곤지암읍 운행)
- ● 97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식금리
- ● 99번: 기흥구청 - 공세대주피오레 - 고매동[5]
- ● 100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평온의숲
- ● 101번: 백암면 - 죽산면 (고안리 경유, 1일 10회 운행)
- ● 102번: 백암면 - 박곡리
- ● 103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청강문화산업대학 (1일 8회 운행)
- ● 105번: 백암면 - MBC 드라마세트장
- ● 670번: 에버랜드 - 광교고등학교 (동백지구 경유) (구 67-1번)
- ● 690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수지구청
- ● 820번: 명지대학교 - 정자역[6] <저상운행>
- ● 970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용인시청 - 추계2리
직행좌석버스편집
- ● 5000A번: 초당초등학교 - 동백지구 -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오전 노선)
- ● 5000B번: 명지대학교 - 동백지구 -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오후 노선)
- ● 5001번: 명지대학교 -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강남역
- ● 5001-1번: 명지대학교 - 용인대학교 - 한국민속촌 - 상갈역 - 강남역
- ● 5002번: 명지대학교 - 송담대학교 -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에버랜드 - 강남역 (전 차량 2층버스 운행)
- ● 5003A번: 초당초등학교 - 동백지구 - 강남역 (오전 노선, 2층버스 운행)
- ● 5003B번: 명지대학교 - 동백지구 - 강남역 (오후 노선, 2층버스 운행)
- ● 5005번: 명지대학교 - 송담대학교 -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 ● 5600번: 명지대학교 -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판교테크노밸리 - 수서역 - 잠실역 - 강변역
- ● 5700번: 명지대학교 - 송담대학교 -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에버랜드 - 판교테크노밸리 - 수서역 - 잠실역 - 강변역(구 5800번)
고속버스, 시외버스, 공항버스편집
- 고속버스 노선
2019년 4월 기준이다.[7] 모든 노선이 시외버스에서 고속버스로 전환된 노선이다.
운행 노선 |
공동 운행사 |
운행구간 | 경유지 | 운행 대수 | 비고 | |||
---|---|---|---|---|---|---|---|---|
일반 | 우등 | |||||||
용인 ↔ 군산 | 중앙고속 | 용인 | ↔ | 군산 | 신갈, 정안휴게소 | 1 | 1 | 2015년 9월 23일 신설 인가 2015년 12월 11일 신설 |
용인 ↔ 부산 | 대원고속 | 용인 | ↔ | 부산 | 신갈, 낙동강휴게소 | 1 | 2 | 2019년 4월 10일 중간경유지 변경 |
용인 ↔ 서부산 | 대원고속 | 용인 | ↔ | 부산서부 | 신갈, 선산휴게소 | 1 | - |
- 수원발 노선
- ● R8210번: 수원 - 강릉 (우만동 경유)
- ● R8218번: 수원 - 원주 (문막, 우만동 경유)
- ● R8423번: 수원 - 여주 (아주대 · 영통 · 수원 나들목 · 여주대학교 경유)
- ● R8424번: 수원 - 이천 (아주대 · 영통 · 수원 나들목 · 오천 경유)
- 용인발 노선
- ● A8165번: 용인 - 김포국제공항 (동백 · 죽전 · 수지 · 광교 · 부천 경유)
- ● R8201번: 용인 - 강릉 (무정차)
- ● R8211번: 용인 - 원주 (문막 경유)
- ● R8219번: 용인 - 속초 (낙산, 양양, 이천 경유)
- ● R8221번: 용인 - 태백 (영월 · 고한 경유)
- ● R8342번: 용인 - 천안 - 아산 (일 3회, 신갈 경유)
- ● R8343번: 용인 - 천안 (신갈 경유)
- ● R8366번: 용인 - 대전 (신갈 경유)
- ● R8432번: 용인 - 이천 - 여주
- ● R8443번: 용인 - 안산 (신갈, 광교중앙역 경유)
- ● R8478번: 에버랜드 - 고양 (백석 / 화정) (무정차)[8]
- ● R8839번: 에버랜드 - 인천 (신갈 · 범계 경유)[8]
- ● A8852번: 용인 - 인천국제공항 (동백 · 죽전 · 수지 · 광교 경유)
- ● R8862번: 에버랜드 - 인천 (신갈] · 광교 경유)[8]
- ● A8877번: 한국민속촌 - 인천국제공항 (신갈, 광교중앙역 경유)
- ● R8326번: 용인 - 유성 (신갈, 정부세종청사, 세종시 경유)
- ● 용인 - 포항 (신갈시외버스정류장, 경주 경유, 코리아와이드경북, 대원고속과 공동 운행)
과거 노선 (변경, 통폐합, 매각, 폐선 등)편집
- ● 1번: 초당역 ↔ 동백죽전대로 ↔ 보정역
- ● 1-1번: 용인터미널 - 경찰대 - 풍덕천동
- ● 2-2번: 예원마을코아루 - 용인실내체육관 (2013년 6월 2-1번에 통합 폐선)
- ● 10-1번: 죽산터미널 - 광혜원 (2006년 백성운수에 노선 매각, 17번으로 노선번호 변경)
- ● 10-3번: 수원역 - 청강문화산업대학교 (2008년 103번과 노선분리 후 폐선)
- ● 13번 / 13-1번: 용인 - 영진골프장 / 서4리, 상반 (2014년 2월 서리 상반-75번에 통합 폐선 / 영진골프장 - 88-1번 신설)
- ● 14-2번: 모현 ↔ 광주 (2013년 4월 27일 20번에 통합)
- ● 22번: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용인공용버스터미널 (2006년 9월 폐선. 현재의 22번과는 별개의 노선이다.)
- ● 65번: 수원연화장 - 안양역 (1995년 대원고속에 매각. 현재의 65번과는 별개의 노선이다.)
- ● 66-1번: 에버랜드 - 만석공원 (2009년 10월 66-4번에 통합 폐선)
- ● 66-2번: 수원역 - 동백지구 (2006년 폐선)
- ● 66-3번: 에버랜드 - 만석공원 (2009년 10월 66번에 통합 폐선)
- ● 67번: 미금역 - 에버랜드
- ● 67-1번: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성복동 (670번으로 번호 변경후 폐선)
- ● 69번: 용인 - 동천동 물류센터 (2011년 3월 690번에 통합 폐선)
- ● 77-1번: 상현동성당 - 구성역
- ● 85번(85-1, 85-2): 2013년 4월 27일 89번으로 통합
- ● 86번: 용인 - 신기마을 / 반정마을 (2014년 2월 폐선)
- ● 87번: 2013년 4월 27일 90번에 통합
- ● 87번: 용인 - 상촌 (2013년 4월 27일 20-1번 번호 변경. 2013년 6월 89번에 통합 폐선)
- ● 94번: 용인종합버스터미널 - 백암면 (원삼면 경유, 1일 4회 아송(94-1) 운행, 2013년 1월 17일 10-4번에 통합 폐선)
- ● 96번: 2013년 4월 27일 95번에 통합
- ● 98번: 2013년 4월 27일 82번에 통합
- ● 550번: 경희대학교 ↔ 양재역 (1997년 12월 폐선)<이 노선은 대원고속과 공동 배차 운행 한다>
- ● 600번: 에버랜드 - 수원역 (2002년 12월 폐선)
- ● 670번: 에버랜드 - 모란역 (1999년 1월 폐선, 현재의 670번과는 별개의 노선이다.)
- ● 1001번: 초당고등학교 - 잠실역 (2008년 8월 대원버스에 매각, 2011년 6월 20일 도시형버스 101번으로 형간 전환, 경기교통 출신 노선)
- ● 2002번: 백현마을 - 신논현역 (2008년 8월 대원버스에 매각, 2010년 2월 3일 최종 폐선됨, 경기교통 출신 노선)
- ● 2002-1번: 백현마을 - 신논현역 (2008년 8월 대원버스에 매각, 경기교통 출신 노선, 2011년 말 노선폐지이후 간선급행 8241번으로 변경했으나 1241번으로 변경)
- ● 5006번: 흥덕지구 - 신논현역 (2010년 5월 KD운송그룹에 매각)
- ● 5007번: 흥덕지구 -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2010년 5월 KD운송그룹에 매각)
- ● 5100번: 경희대학교 - 신논현역 (2002년 10월 용남고속에 매각)
- ● 5100-1번: 경희대학교 - 양재역 (2002년 10월 용남고속에 매각, 2005년 2월 3001번에 통폐합 된 이후 2011년 6월 3일 폐선)
- ● 5800번: 명지대학교 - 에버랜드 - 장지역 - 잠실역 (2012년 6월 8일 일부구간 변경 및 5700번으로 노선 번호 변경.)
- ● 6000번: 에버랜드 - 수원역 (2009년 5월 30일 66번, 66-4번으로 분리 통폐합)
- ● 8211번: 명지대학교 - 신논현역 (간선급행 노선, 2010년 5월 21일 5002번에 통합 폐선)
- ● 8231번: 명지대학교 - 신논현역 (간선급행 노선, 2010년 2월 24일 5003번에 통합 폐선)
보유차량편집
사진편집
이천종합버스터미널에서 정차중인 모습
각주편집
- ↑ 성산교통 주면허는 2003년 경남여객에 통폐합됨과 동시에 말소되었다.
- ↑ 용인터미널 홈페이지이전 안내 Archived 2017년 9월 3일 - 웨이백 머신, 경남여객 공지사항, 2017년 2월 10일 작성.
- ↑ 버스 등록 현황, 경기도청, 2019년 3월 12일 작성.
- ↑ 상현1동 추가 택지개발로 신규 입주 및 신분당선 상현역 개통에 맞추어 2016년 1월 22일 개통하였다. 2016년 8월 1일 용인시청에서 강남대역으로 노선을 단축하였다.
- ↑ 2016년 2월 1일 수원여객으로부터 양도받았다.
- ↑ 2010년 2월 13일 모란역에서 미금역으로 단축운행하였으며 2011년 10월 28일 신분당선 개통으로 인하여 종점을 정자역으로 연장하였다.
- ↑ 고속버스 운행계통표, 국토교통부, 2019년 4월 12일.
- ↑ 가 나 다 이 노선은 에버랜드에서 출발하는 노선이다. 또한 8839번과 8862번은 공동배차한다.
- ↑ 2014년 2월 24일 신설, 2018년 6월 1일 노선 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