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선왕후
인선왕후 장씨(仁宣王后 張氏, 1619년 2월 9일(1618년 음력 12월 25일) ~ 1674년 3월 19일(음력 2월 23일))는 조선의 왕후로, 효종의 정비(正妃)이자 현종의 어머니이다. 신풍부원군 우의정 장유의 딸로, 본관은 덕수이다. 정식 시호는 효숙정범경렬명헌인선왕후(孝肅貞範敬烈明獻仁宣王后)이다.
![]() 仁宣王后 | |
---|---|
지위 | |
세자빈 | |
재위 | 1645년 ~ 1649년 |
전임 | 빈궁 강씨(민회빈) |
후임 | 빈궁 김씨(명성왕후) |
왕비 | |
재위 | 1649년 ~ 1659년 |
전임 | 장렬왕후 |
후임 | 명성왕후 |
왕대비 | |
재위 | 1659년 ~ 1674년 |
전임 | 장렬왕후(자의왕대비) |
후임 | 명성왕후(현렬왕대비) |
이름 | |
별호 | 풍안부부인, 왕세자빈, 효숙왕대비 |
존호 | 효숙(孝肅), 정범(貞範) |
휘호 | 경렬명헌(敬烈明獻) |
시호 | 인선(仁宣) |
전호 | 경사전(敬思殿) |
신상정보 | |
출생일 | 광해 10년(1618) 12월 25일 |
출생지 | 경기도 안산(安山) |
사망일 | 현종 15년(1674) 2월 23일 |
사망지 | 경덕궁(경희궁) 회상전(會祥殿) |
능묘 | 영릉 |
배우자 | 효종 |
자녀 | 현종 조졸 대군(大君) 2명 숙신공주 숙안공주 숙명공주 숙휘공주 숙정공주 숙경공주 |
생애편집
1619년 2월 9일(1618년 음력 12월 25일) 태어났다. 인조의 차남인 봉림대군(뒷날의 효종)과 가례를 올리고 풍안부부인(豊安府夫人)의 작호를 받았으며 남편인 봉림대군과 함께 선양에서 8년간의 볼모생활을 하고 돌아왔다. 1645년, 소현세자가 죽고 남편인 봉림대군이 왕세자로 책봉되자 왕세자빈에 책봉되었고 1649년, 인조가 승하하고 세자인 봉림대군의 즉위로 왕비에 진봉되었다. 1659년, 효종이 승하하고 아들인 현종이 즉위하자 왕대비가 되었고 1662년, 효숙(孝肅)의 존호를 받아 효숙왕대비(孝肅王大妃)가 되었으며 12년 뒤인 1674년에 56살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그러나 당시 인조의 계비로써 자신보다 6살 어린 새시어머니었던 자의대비가 생존해 있던 상황이라 남편인 효종의 사망 이후 문제되었던 예론이 또다시 불거졌고 결국 인선왕후의 사망은 현종 말~숙종 즉위 초반의 제2차 예송논쟁의 시발점이 되었다. 능은 경기도 여주의 영릉(寧陵)으로 남편인 효종과 함께 동원상하릉(同原上下陵)릉의 방식으로 묻혀있다.
소생으로는 현종과 일찍 죽은 두 아들(대군), 숙신, 숙안, 숙명, 숙휘, 숙정, 숙경공주 등 3남 6녀가 있다. 그러나 조선왕조실록에는 1남 6녀로 기록되어 있다. 생전 딸들에게 언문으로 된 편지를 보내고 주고받았는데, 그가 딸들 중 숙신공주, 숙명공주 등에게 보낸 한글편지의 일부인 53장이 현재 전한다.
가족 관계편집
조선의 왕비 | 인선왕후 장씨 仁宣王后 張氏 |
출생 | 사망 |
---|---|---|---|
1619년 2월 9일 (1618년 음력 12월 25일) 조선 한성부 |
1674년 3월 19일 (음력 2월 23일) (55세) 조선 한성부 경희궁 회상전 |
부모편집
본관 | 생몰년 | 부모 | 비고 | ||
---|---|---|---|---|---|
부 | 신풍부원군 新豊府院君 장유 張維 |
덕수 | 1587년 - 1638년 | 장운익 張雲翼 밀양 박씨 密陽 朴氏 |
|
모 | 영가부부인 永嘉府夫人 김씨 金氏 |
안동 | ? - 1654년 | 김상용 金尙容 안동 권씨 安東 權氏 |
부군편집
조선 제17대 국왕 | 효종 孝宗 | 출생 | 사망 |
---|---|---|---|
1619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조선 한성부 경행방 본궁 |
1659년 6월 23일 (음력 5월 4일) (39세) 조선 한성부 창덕궁 대조전 |
자녀편집
작호 | 이름 | 생몰년 | 배우자 | 비고 | |
---|---|---|---|---|---|
장녀 | 숙신공주 淑愼公主 | 1635년 - 1637년 | |||
차녀 | 숙안공주 淑安公主 | 1636년 - 1697년 | 익평위 益平尉 홍득기 洪得箕 | ||
- | 대군 | ?[1] - 1642년 | |||
3녀 | 숙명공주 淑明公主 | 1640년 - 1699년 | 청평위 靑平尉 심익현 沈益顯 | ||
장남 | 현종대왕 顯宗大王 | 연 棩 | 1641년 - 1674년 | 명성왕후 김씨 明聖王后 金氏 | 제18대 국왕 |
4녀 | 숙휘공주 淑徽公主 | 1642년 - 1696년 | 인평위 寅平尉 정제현 鄭齊賢 | ||
- | 대군[2] | 1645년 - 1645년 | |||
5녀 | 숙정공주 淑靜公主 | 1646년 - 1668년 | 동평위 東平尉 정재륜 鄭載崙 | ||
6녀 | 숙경공주 淑敬公主 | 1648년 - 1671년 | 흥평위 興平尉 원몽린 元夢鱗 | ||
양녀 | 의순공주 義順公主[3] | 1635년 - 1662년 | 예친왕 睿親王 도르곤 多爾袞[4] |
손자녀편집
숙안공주 | 숙명공주 | 현종대왕 | ||
---|---|---|---|---|
홍치상 洪致祥[5] | 심정보 沈廷輔 심정협 沈廷協 |
숙종대왕 肅宗大王 | 명선공주 明善公主 명혜공주 明惠公主 명안공주 明安公主 | |
숙휘공주 | 숙정공주 | 숙경공주 | ||
정태일 鄭台一 | 정효선 鄭孝先 | 정씨 鄭氏 | 원명구 元命龜 | 원숙희 元淑喜 |
등장 작품편집
같이 보기편집
- 숙명신한첩 - 보물 제1945호
관련 항목편집
전임 장렬왕후 |
조선 역대 왕후 1645년 ~ 1649년 |
후임 명성왕후 |
이 글은 조선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