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항운동

(저항군에서 넘어옴)

저항운동(抵抗運動, resistance movement)이란 어떤 국가의 시민 인구 일부가 그 국가의 정권 또는 현재 권력을 잡은 세력에게 저항하고 사회질서와 안정성을 무너뜨리기 위해 행하는 조직적 행위이다. 비폭력 저항을 할 수도 있고, 무력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무력이 사용될 때 무기도 사용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많은 경우 저항운동은 한 국가 안의 서로 다른 층위 서로 다른 지역에서 서로 다른 조직들에 의해 폭력적인 방법과 비폭력적인 방법을 모두 사용한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노르웨이가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1] "저항"이라는 말은 대개 그 행위가 (말하는 사람 입장에서) 정통성을 가지고 있다는 뜻을 내포한다. 그리고 그 저항운동에 폭력이 사용된다면 "자유투사(freedom fighter)"라고도 자칭한다.

무장저항운동의 국제법상 합법성 여부는 오랫동안 논쟁의 주제가 되어 왔으며, 그 역사는 최소 1899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1899년 마르텐즈 클라우스는 〈육전에 관한 제2차 헤이그 협약〉 전문(前文)에서 프랑티뢰르불법 교전단체이며 포로로 잡힐 시 사형시켜야 한다는 강대국들의 입장과 그들은 합법적 교전단체라는 약소국들의 입장을 절충시켰다.[2][3] 보다 최근에는 1977년 〈제네바 협약 제1추가의정서〉의 1조 4항에서 “식민지배 및 외세의 점령 및 인종차별적 정권에 대항하여 투쟁하는 사람들”이 참여하는 것을 무장분쟁으로 일컬어 주고 있다. 그러나 이 구절은 누가 또는 무엇이 합법적 교전단체가 맞고 아닌지 가리는 기준에 대해서는 얼버무리고 있다.[4] 하여, 저항운동의 가담자들이 합법적이라고 평가받든 불법적이라고 평가받든, 그들에게 지배에 저항할 권리가 있다고 인정되든 그런 것과는 무관하게 순전히 국가 정부의 의지에 따라 저항운동 및 저항운동가는 테러리즘 및 테러리스트로 규정될 수 있는 것이다.[5] 말인즉슨 저항운동과 테러리즘을 구분하는 것은 결국 정치적 판단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저항운동의 예 편집

20세기 이전 편집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편집

제2차 세계 대전 편집

계획된 저항 운동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편집

아프리카 편집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오세아니아 편집

유럽 편집

중동 편집

인도아대륙 편집

서반구 편집

저항 운동의 저명한 인물 편집

제2차 세계 대전 (반나치, 반파시스트 등) 편집

그 밖의 저항 운동 및 관련 인물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On the relation between military and civil resistance in occupied Norway 1940–45, see Magne Skodvin, "Norwegian Non-violent Resistance during the German Occupation", in Adam Roberts (ed.), The Strategy of Civilian Defence: Non-violent Resistance to Aggression, Faber, London, 1967, pp. 136–53. (Also published as Civilian Resistance as a National Defense, Harrisburg, USA: Stackpole Books, 1968; and, with a new Introduction on "Czechoslovakia and Civilian Defence", as Civilian Resistance as a National Defence, Harmondsworth, UK/Baltimore, USA: Penguin Books, 1969. ISBN 0-14-021080-6.)
  2. Rupert Ticehurst (1997) in his footnote 1 cites The life and works of Martens as detailed by V. Pustogarov, "Fyodor Fyodorovich Martens (1845–1909) – A Humanist of Modern Times", International Review of the Red Cross (IRRC), No. 312, May–June 1996, pp. 300–314.
  3. Ticehurst (1997) in his footnote 2 cites F. Kalshoven, Constraints on the Waging of War, Dordrecht: Martinus Nijhoff, 1987, p. 14.
  4. Gardam (1993), p. 91.
  5. Khan, Ali (Washburn University – School of Law). "A Theory of International Terrorism", Connecticut Law Review, Vol. 19, p. 945,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