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개국공신

조선의 개국공신(開國功臣)은 1392년 조선의 개국에 공을 세운 사람에게 녹훈(錄勳)된 작위이다.

목록편집

다음 목록 및 그 등급은 1392년 8월 20일 태조에 의해 정해진 것이다.

1등 공신편집

좌명개국공신(佐命開國功臣)으로도 불린다. 모두 20명이다.

변동 사항편집

  • 정안군, 익안군, 회안군은 1398년 2월 15일에 정종에 의해 추가되었다.

2등 공신편집

협찬개국공신(協贊開國功臣)으로도 불린다. 모두 13명이다.

변동 사항편집

  • 조견은 1392년 9월 27일에 추가되었다.
  • 황희석은 원래 원종공신이었으나, 같은 해 11월 19일 승격되었다.

3등 공신편집

익대개국공신(翊戴開國功臣)으로도 불린다. 모두 22명이다.

변동 사항편집

  • 민여익, 임언충, 장사정, 한상경, 한충, 황거정은 1392년 9월 27일에 추가되었다.

이외에 원종공신(原從功臣) 몇백 명이 책록되었다.

포상편집

다음은 1392년 9월 16일에 공신도감(功臣都監)에 의하여 정해진 포상이다.

  • 모습을 기록하기 위한 기념전각
  • 공을 기록하기 위한 기념비
  • 장자의 공신 계승권
  • 자손의 범죄 사면권

1등 공신편집

  • 아버지, 어머니, 아내의 작위 3등급 상승 및 봉작 제공
  • 직계 아들의 작위 3등급 상승 및 음직 제공
    • 아들이 없을 경우 조카, 사위의 작위 2등급 상승 및 음직 제공
  • 구사(丘史) 7명, 진배파령(眞拜把領) 10명
  • 전지, 봉작: 사람에 따라 다르다.

2등 공신편집

  • 아버지, 어머니, 아내의 작위 2등급 상승 및 봉작 제공
  • 직계 아들의 작위 2등급 상승 및 음직 제공
    • 아들이 없을 경우 조카, 사위의 작위 1등급 상승 및 음직 제공
  • 구사 5명, 진배파령 8명
  • 전지 100결, 노비 10구

3등 공신편집

  • 아버지, 어머니, 아내의 작위 1등급 상승 및 봉작 제공
  • 직계 아들의 작위 1등급 상승 및 음직 제공
    • 아들이 없을 경우 조카, 사위의 음직 제공
  • 구사 3명, 진배파령 6명
  • 전지 70결, 노비 7구

이외에, 1411년 개국공신의 영정을 장생전(長生殿)에 두었다가 1418년 거두었다.

개국공신도감편집

1392년 윤12월 13일에 개국공신도감(開國功臣都監)을 판관(判官) 2명과 녹사(錄事) 2명의 직제로 두었는데, 1417년 1월 25일에 태종에 의해 공신도감과 통합되었다.

제명자편집

문화재 지정편집

국보편집

보물편집

참고 자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