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치 카사르

주치 카사르(몽골어: ᠵᠥᠴᠢ
ᠺᠠᠰᠠᠷ Jöči Qasar, 한국 한자: 拙赤合撒儿 졸적합살아: 1164년 ~ 1219년)는 예수게이와 호엘룬의 4남 1녀 중 둘째로, 칭기즈 칸의 바로 손아랫 남동생이다. 집사에 따르면 본명은 주치이고 카사르는 용맹하다는 뜻에서 붙은 별명이라고 한다.
![]() ᠵᠥᠴᠢ ᠺᠠᠰᠠᠷ | |
---|---|
지위 | |
이름 | |
휘 | 보르지긴 주치 (몽골어: ᠪᠣᠷᠵᠢᠭᠢᠨ ᠵᠥᠴᠢ, 한국 한자: 孛兒只斤 拙赤 패아지근 졸적) |
별호 | 카사르 (몽골어: ᠺᠠᠰᠠᠷ, 한국 한자: 合撒儿 합살아) |
신상정보 | |
출생일 | 1164년 |
사망일 | 1219년 |
왕조 | 몽골 제국 |
가문 | 보르지긴 |
부친 | 예수게이 |
모친 | 호엘룬 |
종교 | 텡그리 |
1171년 예수게이가 타타르에게 독살당하자 몽골부를 장악한 타이치우드 씨족의 타르구타이 쿠릴투크는 예수게이의 처자식을 부족에서 내쳤다. 1176년 예수게이 일가가 떠돌이 생활을 하는 와중, 예수게이의 서장자(즉 테무진과 카사르의 이복형) 벡테르가 식량을 빼돌렸다. 이 사실을 알게 된 테무진과 카사르가 벡테르의 앞뒤에서 활을 쏘아 죽여 버렸다.
1203년 칼라칼지드 사구 전투에서 테무진의 보르지긴 씨족이 자무카의 자다란 씨족에게 대패했을 때 카사르는 자기 아들들과 부하 몇과 함께 숲 속에 숨어 지냈다.
몽골 고원을 통일한 테무진, 칭기즈 칸은 동복형제인 카사르, 하치운, 테무게에게 좌익(오늘날의 내몽골 자치구 동쪽 끝 부분)을, 적자 주치, 차가타이, 우구데이에게 우익을 맡겼다. 우익은 서쪽으로 끝없는 정복전쟁을 벌였지만 좌익은 그에 비해 성과가 미미했다. 카사르는 훗날 만주라고 불리게 되는 중국 동북부의 땅과 한반도 접경을 정복했다.
1217년에 박수무당 텝 텡그리가 카사르가 불충하고 있다고 고발하자 호엘룬을 비롯한 친지들이 카사르를 변호했다. 샤머니즘 세력이 군주권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한 칭기즈 칸은 카사르와 테무게를 시켜 텝 텡그리를 씨름을 빙자하여 죽였다.
우익이 정복한 영토는 칭기즈 칸의 아들들에게 나름 공평하게 분배된 데 반해, 좌익의 경우 막내동생 테무게가 큰형 칭기즈 칸의 편애를 받았다. 그래서 카사르와 하치운의 울루스(영지)는 테무게의 울루스보다 훨씬 작았다. 카사르의 울루스는 대흥안령산맥과 아르군강으로 둘러싸인 지역에 위치했다. 이후 중국이 정복된 뒤 산동성과 강서성에 카사르의 후손들의 영지가 추가적으로 주어졌다.
![]() |
이 글은 몽골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