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편
떡
증편(蒸片) 또는 기주떡은 한국의 떡이다. 재료로 술이 첨가되어서 술떡이라고도 한다.

조리법
편집쌀가루에 술을 넣어 발효시킨 뒤에 고명을 뿌리고 쪄낸다. 이때 술은 쌀로 만든 술로 막걸리 등이 사용된다. 고명으로는 밤, 대추, 잣, 깨, 석이버섯, 각종 꽃이 들어갈 수 있다.
술향기와 함께 새콤한 맛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새콤달콤한 풍미는 더운 여름에 시원한 느낌을 주고 소화가 잘 되며 빨리 쉬지도 않기 때문에, 여름에 주로 먹는 떡이다.
명칭과 역사
편집증편은 기증떡, 기지떡, 술떡, 벙거지떡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1]
증편을 언제부터 먹기 시작했는지는 분명하지 않았으나, 증편과 유사하게 발효시키는 방식으로 만드는 떡인 상화를 고려 시대에 먹었다는 기록이 있다.[2] 상화는 원나라에서 전해진 떡으로, 밀가루에 술과 팥소를 넣고 발효시킨 뒤 쪄낸다.
각주
편집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증편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이 글은 한국 요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