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 축구 국가대표팀

태국 축구 국가대표팀태국을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태국 축구 협회에서 운영하고 있다. '전투 코끼리'라는 별칭으로 알려져 있는 동남아시아의 축구 강호이며 최대 라이벌은 베트남이다. 현재 라차망칼라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1956년 베트남과의 A매치 첫 경기에서 1-3으로 패했다.

태국
별칭창슥
(ช้างศึก, 전투 코끼리)
연맹태국 축구 협회
대륙AFC
감독브라질 독일 알렉산드레 푈킹
주장티라신 댕다
최다 출전자끼앗띠삭 세나므앙 (130)
최다 득점자끼앗띠삭 세나므앙 (70)
홈 구장라차망칼라 스타디움
FIFA 코드THA
FIFA 랭킹
현재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최고 순위43위 (1998년 9월)
최저 순위158위 (2014년 9월)
첫 국제 경기 출전
베트남 공화국 베트남 공화국 3 - 1 태국 Flag of Thailand.svg
(남베트남; 1956년)
최다 점수차 승리
Flag of Thailand.svg 태국 10 - 0 브루나이 Flag of Brunei.svg
(태국, 방콕; 1971년 5월 24일)
최다 점수차 패배
영국 잉글랜드 아마추어 9 - 0 태국 Flag of Thailand.svg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 1956년 11월 26일, 1956년 하계 올림픽)
AFC 아시안컵
출전 횟수7회 (1972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3위 (1972년)

국제 대회 경력편집

FIFA 월드컵편집

동남아시아의 축구 강호임에도 불구하고 여자대표팀과는 다르게 아직 월드컵 본선 무대를 밟아본 적이 없다. 다만 200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 1차 예선(5승 1무)과 최종 예선(4무 4패)을 포함해 14경기 5승 5무 4패를 기록하며 태국 축구 역사상 월드컵 지역 예선 최다 승점 기록을 경신했고 또한 14경기에서 25골을 터뜨리며 월드컵 지역 예선 최다 득점 기록까지 경신했다.

AFC 아시안컵편집

AFC 아시안컵 본선에는 7번 출전하여 1972년 대회에서 3위를 차지했고 그 이후 5번의 아시안컵 본선에서는 모두 조별리그 탈락만 거듭했다. 그러다가 2019년 대회 본선에서 개최국 아랍에미리트에 이어 A조 2위로 16강에 진출하면서 3위에 오른 1972년 대회 이후 47년만에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하는 기염을 토했다.

아시안 게임편집

아시안 게임 축구에는 U-23 대표팀까지 포함해 15번 출전하였고 이 가운데 4번의 대회에서 4강에 올라가며 동남아 축구 최강국다운 면모를 보였지만 모두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편집

AFF 스즈키컵에는 13번 참가하여 이 가운데 무려 6번의 우승으로 이 대회의 최다 우승국 타이틀을 보유하며 동남아시아 최강국다운 면모를 보이고 있다.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편집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에서도 금메달을 무려 9개 가져갔고 은메달 4개, 동메달 5개도 획득하며 AFF 스즈키컵과 마찬가지로 최다 우승팀 타이틀을 수성하고 있다.

기타 국제 대회 경력편집

자국에서 열린 킹스컵에서는 15번의 우승컵을 들어올렸는데 이 가운데 1976년1980년에 공동 우승을 차지했고 준우승도 11번 차지했다. 1994년 인도네시아 인디펜던스컵에서도 우승을 차지한 적 있고 코리아컵 국제축구대회에서는 1977년에 공동 3위, 1980년에는 4위를 기록했다. 아울러 2019년 차이나컵에도 출전하여 이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VFF컵에서도 2번의 우승컵을 들어올렸고 대만 3개국 대회, 인도차이나 4개국 대회, 브루나이 게임에서도 우승을 각각 한번씩 차지하는 등 아시아 내에서 열린 각종 국제 대회에서도 좋은 성과들을 거두었다.

FIFA 월드컵편집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1930년 불참 불참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
  1970년
  1974년 예선 탈락 4 0 0 4 0 13 0
  1978년 4 1 0 3 8 12 3
  1982년 3 0 1 2 3 13 1
  1986년 6 1 2 3 4 4 5
  1990년 6 1 0 5 2 4 3
  1994년 8 4 0 4 13 7 12
  1998년 4 1 1 2 5 6 4
   2002년 14 5 5 4 25 20 20
  2006년 6 2 1 3 9 10 7
  2010년 10 3 2 5 20 17 11
  2014년 8 2 2 4 7 10 8
  2018년 16 4 4 8 20 30 16
  2022년 8 2 3 3 9 9 9
    2026년 미정
합계 0회 진출(0/21) (0회) - - - - - - - 96 26 20 50 125 165 98
순위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35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87위 (아시아 17위)

AFC 아시안컵편집

AFC 아시안컵 본선 기록 AFC 아시안컵 예선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1956년 기권
  1960년
  1964년 예선 탈락 4 2 0 2 5 4 6
  1968년 4 2 0 2 5 4 6
  1972년[1] 4강 3위 5 0 3 2 6 9 3 5 3 1 1 16 4 10
  1976년 예선 통과 후 기권 4 3 0 1 8 2 9
  1980년 예선 탈락 5 3 0 2 11 3 9
  1984년 5 3 0 2 9 10 9
  1988년 5 1 2 2 5 12 5
  1992년 조별리그 7위 3 0 2 1 1 5 2 2 2 0 0 3 1 6
  1996년 조별리그 12위 3 0 0 3 2 13 0 6 4 2 0 31 5 14
  2000년 조별리그 9위 3 0 2 1 2 4 2 6 4 1 1 13 8 13
  2004년 조별리그 16위 3 0 0 3 1 9 0 6 3 0 3 10 7 9
     2007년 조별리그 10위 3 1 1 1 3 7 4 자동참가(개최국)
  2011년 예선 탈락 6 1 3 2 3 3 6
  2015년 6 0 0 6 7 21 0
  2019년 16강 14위 4 1 1 2 4 7 4 6 4 2 0 14 6 14
  2023년 본선 진출 8 2 3 3 9 9 9
합계 8회 진출(8/18) 4강(1회) 20 2 9 12 19 54 15 70 34 12 24 141 96 114
순위 AFC 아시안컵 본선 역대 순위 : 17위 AFC 아시안컵 예선 역대 순위 : 17위

하계 올림픽편집

올림픽 축구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1900년 불참
  1904년
  1908년
  1912년
  1920년
  1924년
  1928년
  1936년
  1948년
  1952년
  1956년 1라운드 11위 1 0 0 1 0 9 0
  1960년 진출 실패
  1964년
  1968년 조별리그 16위 1 0 0 3 1 19 0
  1972년 진출 실패
  1976년
  1980년
  1984년
  1988년
  1992년[2]
  1996년[3]
  2000년[4]
  2004년[5]
  2008년[6]
  2012년[7]
  2016년[8]
합계 2회 진출(2/26) 1라운드(2회) 4 0 0 4 1 28 0

아시안 게임편집

아시안 게임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1951년 불참
  1954년
  1958년
  1962년 조별리그 7위 3 0 0 3 4 10 0
  1966년 2라운드 6위 4 1 1 2 5 8 4
  1970년 2라운드 5위 4 1 2 1 6 6 5
  1974년 조별리그 12위 2 0 0 2 2 4 0
  1978년 8강 6위 5 2 0 3 6 12 6
  1982년 조별리그 10위 3 1 0 2 3 5 3
  1986년 조별리그 11위 4 1 1 2 8 4 4
  1990년 4강 4위 6 3 1 2 5 3 10
  1994년 조별리그 15위 4 0 1 3 8 12 1
  1998년 4강 4위 8 4 1 3 12 10 13
  2002년[9] 4강 4위 6 4 0 2 10 7 12
  2006년[10] 8강 7위 4 3 0 1 4 3 9
  2010년[11] 8강 7위 5 2 2 1 8 2 8
  2014년[12] 4강 4위 7 5 0 2 15 3 15
합계 14회 출전(14/17) 4위(4회) 65 27 9 29 96 89 90

동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편집

AFF 스즈키컵 기록
년도 순위 결과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1996년 우승 1위 6 5 1 0 18 3 16
  1998년 4강 4위 5 2 2 1 10 10 8
  2000년 우승 1위 5 5 0 0 15 3 15
    2002년 우승 1위 5 2 2 1 13 7 8
    2004년 조별리그 5위 4 2 1 1 13 4 7
    2007년 준우승 2위 7 3 3 1 10 4 12
    2008년 준우승 2위 7 5 1 1 16 4 16
    2010년 조별리그 6위 3 0 2 1 3 4 2
    2012년 준우승 2위 7 5 1 1 14 6 16
    2014년 우승 1위 7 5 1 1 14 6 16
    2016년 우승 1위 7 6 0 1 15 4 18
합계 11회 진출(11/11) 우승(5회) 63 40 14 9 141 55 134

유니폼편집

태국 축구 국가대표팀 유니폼
연도 킷 스폰서 비고
2002–2007   FBT
  • 2002 (홈 - 원정)
  • 2003–04 (홈 - 원정)
  • 2004–05 (홈 - 원정)
  • 2006–07 (홈 - 원정)
2007–2012   나이키
  • 2007 (홈)
  • 2007 Asian Cup (홈 - 원정)
  • 2007–08 (써드)
  • 2008–10 (홈 - 원정)
  • 2010–12 (홈 - 원정)
2012–2016   Grand Sport
  • 2012–14 (홈 - 원정)
  • 2014–16 (홈 - 원정)
  • 2016 킹스컵
  • 2016 (홈 - 원정)
2017–현재   와릭스
  • 2017–현재 (홈 - 원정)
 
 
 
 
 
 
 
 
2002
 
 
 
 
 
 
 
 
 
2003–04
 
 
 
 
 
 
 
2004–05
 
 
 
 
 
 
 
 
2006–07
 
 
 
 
 
 
 
 
2007
 
 
 
 
 
 
 
 
 
 
 
2007–08
 
 
 
 
 
 
2008–10
 
 
 
 
 
 
 
 
 
2010–12
 
 
 
 
 
 
 
 
 
2010
(vs 말레이시아)
 
 
 
 
 
 
 
2012–14
 
 
 
 
 
 
 
2014–16
 
 
 
 
 
 
 
 
 
2016
 
 
 
 
 
 
 
2017–현재
원정
 
 
 
 
 
 
 
 
2002
 
 
 
 
 
 
 
 
 
2003–04
 
 
 
 
 
 
 
2004–05
 
 
 
 
 
 
 
 
2006–07
 
 
 
 
 
 
 
 
 
 
 
 
 
2008–10
 
 
 
 
 
 
 
 
 
2010–12
 
 
 
 
 
 
 
 
 
2010
(vs 인도네시아)
 
 
 
 
 
 
 
2012–14
 
 
 
 
 
 
 
2014–16
 
 
 
 
 
 
 
 
 
2016
 
 
 
 
 
 
 
2017–현재
써드
 
 
 
 
 
 
2006–07
 
 
 
 
 

주목할 만한 선수편집

각주편집

  1. 태국은 이 대회의 개최국이었으나 예선에 참가하였다.
  2.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3.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4.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5.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6.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7.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8.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9.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10.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11.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12.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틀:AFC 아시안컵 개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