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도면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강화군의 면(面) 단위 행정 구역 중 하나

화도면(華道面)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강화군의 면이다.
화도면 華道面 | |
---|---|
![]() | |
로마자 표기 | Hwado-myeon |
행정 |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인천광역시 강화군 |
행정 구역 | 17리, 68반 |
법정리 | 내리, 상방리, 문산리, 덕포리, 사기리, 동막리, 흥왕리, 여차리, 장화리 |
관청 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마니산로 703-14 |
지리 | |
면적 | 42.335 km2 |
인문 | |
인구 | 4,550명(2022년 2월) |
세대 | 2,155세대 |
인구 밀도 | 107.48명/km2 |
지역 부호 | |
웹사이트 | 강화군 화도면 주민센터 |
개요
편집화도면은 1706년 조선 숙종 때 강화유수 민진원의 간척사업으로 강화도에 연육되었고, 1938년 1월 1일 이름을 하도면(下道面)에서 화도면(華道面)으로 개칭하였다.[1]
면사무소는 1913년 사기리에 건립하였으나, 1923년 내리 산3번지로 이전하였으며, 1957년 상방리 1275번지에 다시 이전하였다가, 1988년 현재의 상방리 840번지에 신축, 이전하였다.[2]
법정리
편집- 내리(內里)
- 상방리(上坊里)
- 문산리(文山里)
- 덕포리(德浦里)
- 사기리(砂器里)
- 동막리(東幕里)
- 흥왕리(興旺里)
- 여차리(如此里)
- 장화리(長花里)
문화재
편집보물
편집- 강화 정수사 법당 - 보물 제161호
사적
편집- 강화 참성단 - 사적 제136호
천연기념물
편집- 강화 참성단 소사나무 - 천연기념물 제502호
인천광역시 문화재자료
편집- 선수돈대 - 인천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0호
- 무태돈대 - 인천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8호
- 분오리돈대 - 인천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6호
- 미루지돈대 - 인천광역시 문화재자료 제40호
- 북일곶돈대 - 인천광역시 문화재자료 제41호
인천광역시 기념물
편집강화군 향토유적
편집- 고려이궁지 - 강화군 향토유적 제13호
- 홍익한택지 - 강화군 향토유적 제17호
- 강화 분청사기 요지 - 강화군 향토유적 제18호
- 함허대사부도 - 강화군 향토유적 제19호
교육
편집명소
편집어항
편집출신 인물
편집- 영재 이건창(寧齋 李建昌) 생가 → 명미당(明美堂) - 조선후기 관료 지식인
각주
편집- ↑ 군청소재 면명을 군명에 따라 개정 동아일보, 1937.12.16.
- ↑ 화도면의 연혁 및 지역특성 보관됨 2013-12-31 - 웨이백 머신, 2012년 7월 5일 확인
외부 링크
편집- 강화군 화도면사무소 보관됨 2014-01-01 - 웨이백 머신
- 화도면의 9개 법정리의 지명 유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