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은 2010년 FIFA 월드컵 예선의 아시아 지역 3차 예선이다. 2008년 2월 6일부터 6월 22일까지 20개 팀이 4개 팀씩 5개 조로 나뉘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조의 1, 2위를 기록한 10개 팀은 최종 예선에 진출한다.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 |
---|---|
개최기간 | 2008년 2월 6일 ~ 2008년 6월 22일 |
참가국 | 20개국 |
총 경기 | 60 |
« 2006 2014 » |
참가국 및 시드 배정편집
조 추첨은 2007년 11월 25일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무작위 추첨으로 결정되었다. 3차 예선으로 직행한 5개 팀, 1차 예선에서 올라온 상위 11개 팀, 그리고 2차 예선에서 올라온 4개 팀, 이렇게 20개 팀이 4개의 포트, 5개 팀으로 나뉘어 추첨을 하였다.
보기 |
---|
3차 예선부터 시작하는 팀 |
1차 예선에서 바로 올라온 팀 |
2차 예선을 거쳐 올라온 팀 |
그룹 A | 그룹 B | 그룹 C | 그룹 D |
---|---|---|---|
1 FIFA는 2007년 10월 30일에 쿠웨이트의 모든 국가대표팀과 클럽팀의 국제 대회 참가를 금지했다. 이는 그해 10월 9일에 있었던 쿠웨이트 축구 협회장 선거에서 정부의 개입이 있었기 때문인데, FIFA에서는 정부의 축구 협회에 대한 개입을 용인하지 않기 때문에 이 선거 결과를 인정하지 않고 재선거를 치를 것을 요청했으나 쿠웨이트 측에서 이를 거부함에 따라서 이루어진 제재였다. 그러나 FIFA는 부적절한 절차로 이사진에 오른 쿠웨이트 축구 협회 유력 인사들이 자진 사임하면서 해당 징계를 11월 9일에 모두 철회했다. 해당 징계 철회로 인해 쿠웨이트는 다시 모든 국가대표팀과 클럽팀 국제 대회에 참가가 가능하게 되었다.
경기 결과편집
1조편집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
오스트레일리아 | 6 | 3 | 1 | 2 | 7 | 3 | +4 | 10 |
카타르 | 6 | 3 | 1 | 2 | 5 | 6 | −1 | 10 |
이라크 | 6 | 2 | 1 | 3 | 4 | 6 | −2 | 7 |
중화인민공화국 | 6 | 1 | 3 | 2 | 3 | 4 | −1 | 6 |
2008년 2월 6일 19:30 UTC+11 | ||||||
오스트레일리아 | 3 – 0 | 카타르 | 멜버른, 텔스트라 돔 관중수: 50,969 | |||
케네디 11' 케이힐 17' 브레시아노 33' |
리포트 | |||||
2008년 2월 6일 16:30 UTC+4 | ||||||
이라크 | 1 – 1 | 중화인민공화국 | 두바이, 알라시드 스타디움 (아랍에미리트)[1] 관중수: 11,000 | |||
하와르 물라 51' (페널티킥) | 리포트 | 정즈 75' | ||||
2008년 3월 26일 14:00 UTC+8 | ||||||
중화인민공화국 | 0 – 0 | 오스트레일리아 | 쿤밍, 쿤밍 투오동 스포츠 센터 경기장 관중수: 32,000 | |||
리포트 | ||||||
2008년 3월 26일 18:30 UTC+3 | ||||||
카타르 | 2 – 0 | 이라크 | 도하,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관중수: 13,000 | |||
몬테지니 1', 62' | 리포트 | |||||
2008년 6월 1일 17:00 UTC+10 | ||||||
오스트레일리아 | 1 – 0 | 이라크 | 브리즈번, 선콥 스타디움 관중수: 48,678 | |||
큐얼 47' | 리포트 | |||||
2008년 6월 2일 19:00 UTC+3 | ||||||
카타르 | 0 – 0 | 중화인민공화국 | 도하,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관중수: 9,000 | |||
리포트 | ||||||
2008년 6월 7일 20:00 UTC+8 | ||||||
중화인민공화국 | 0 – 1 | 카타르 | 톈진, 톈진 올림픽 센터 관중수: 50,000 | |||
리포트 | 소리아 14' (페널티킥) | |||||
2008년 6월 7일 20:00 UTC+4 | ||||||
이라크 | 1 – 0 | 오스트레일리아 | 두바이, 알라시드 스타디움 (아랍에미리트)[1] 관중수: 8,000 | |||
모함메드 28' | 리포트 | |||||
2008년 6월 14일 20:00 UTC+8 | ||||||
중화인민공화국 | 1 – 2 | 이라크 | 톈진, 톈진 올림픽 센터 관중수: 39,000 | |||
저우하이빈 33' | 리포트 | 모함메드 41' 아크람 65' | ||||
2008년 6월 14일 19:00 UTC+3 | ||||||
카타르 | 1 – 3 | 오스트레일리아 | 도하,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관중수: 12,000 | |||
이브라힘 89' | 리포트 | 에머턴 17', 56' 큐얼 74' | ||||
2008년 6월 22일 18:00 UTC+10 | ||||||
오스트레일리아 | 0 – 1 | 중화인민공화국 | 시드니, ANZ 경기장 관중수: 70,054 | |||
리포트 | 쑨샹 12' | |||||
2008년 6월 22일 20:00 UTC+4 | ||||||
이라크 | 0 – 1 | 카타르 | 두바이, 알라시드 스타디움 (아랍에미리트)[1] 관중수: 10,000 | |||
리포트 | 베치르 77' | |||||
2조편집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
일본 | 6 | 4 | 1 | 1 | 12 | 3 | +9 | 13 |
바레인 | 6 | 3 | 2 | 1 | 7 | 5 | +2 | 11 |
오만 | 6 | 2 | 2 | 2 | 5 | 7 | −2 | 8 |
태국 | 6 | 0 | 1 | 5 | 5 | 14 | −9 | 1 |
2008년 2월 6일 19:20 UTC+9 | ||||||
일본 | 4 – 1 | 태국 | 사이타마,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관중수: 35,130 | |||
엔도 21' 오쿠보 54' 나카자와 66' 마키 90+1' |
리포트 | 위노타이 22' | ||||
2008년 2월 6일 18:30 UTC+4 | ||||||
오만 | 0 – 1 | 바레인 | 무스카트, 술탄 카부스 종합운동장 관중수: 28,000 | |||
리포트 | 후바일 14' | |||||
2008년 3월 26일 18:30 UTC+7 | ||||||
태국 | 0 – 1 | 오만 | 방콕, 라차망칼라 국립 경기장 관중수: 40,000 | |||
리포트 | 술레이만 1' | |||||
2008년 3월 26일 17:20 UTC+3 | ||||||
바레인 | 1 – 0 | 일본 | 리파, 바레인 국립경기장 관중수: 26,000 | |||
후바일 77' | 리포트 | |||||
2008년 6월 2일 19:20 UTC+9 | ||||||
일본 | 3 – 0 | 오만 | 요코하마, 닛산 경기장 관중수: 46,764 | |||
나카자와 10' 오쿠보 22' 슌스케 49' |
리포트 | |||||
2008년 6월 2일 18:30 UTC+7 | ||||||
태국 | 2 – 3 | 바레인 | 방콕, 라차망칼라 국립 경기장 관중수: 15,000 | |||
차이캄디 25' 위노타이 45' |
리포트 | 이사 22' 라티프 34' 아드난 57' | ||||
2008년 6월 7일 17:15 UTC+4 | ||||||
오만 | 1 – 1 | 일본 | 무스카트, 왕립 오만 경찰 경기장 관중수: 6,500 | |||
무바라크 11' | 리포트 | 엔도 53' (페널티킥) | ||||
2008년 6월 7일 19:30 UTC+3 | ||||||
바레인 | 1 – 1 | 태국 | 리파, 바레인 국립경기장 관중수: 21,000 | |||
이사 67' | 리포트 | 통글라오 65' | ||||
2008년 6월 14일 17:30 UTC+7 | ||||||
태국 | 0 – 3 | 일본 | 방콕, 라차망칼라 국립 경기장 관중수: 25,000 | |||
리포트 | 툴리오 23' 나카자와 39' 겐고 89' | |||||
2008년 6월 14일 19:30 UTC+3 | ||||||
바레인 | 1 – 1 | 오만 | 리파, 바레인 국립경기장 관중수: 25,000 | |||
아이쉬 41' | 리포트 | 술레이만 72' | ||||
2008년 6월 22일 19:20 UTC+9 | ||||||
일본 | 1 – 0 | 바레인 | 사이타마,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관중수: 51,180 | |||
우치다 90' | 리포트 | |||||
2008년 6월 22일 18:00 UTC+4 | ||||||
오만 | 2 – 1 | 태국 | 무스카트, 왕립 오만 경찰 경기장 관중수: 3,000 | |||
알호스니 58', 85' | 리포트 | 스리판 3' (페널티킥) | ||||
3조편집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
대한민국 | 6 | 3 | 3 | 0 | 10 | 3 | +7 | 12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6 | 3 | 3 | 0 | 4 | 0 | +4 | 12 |
요르단 | 6 | 2 | 1 | 3 | 6 | 6 | 0 | 7 |
투르크메니스탄 | 6 | 0 | 1 | 5 | 1 | 12 | −11 | 1 |
2008년 2월 6일 20:00 UTC+9 | ||||||
대한민국 | 4 – 0 | 투르크메니스탄 | 서울, 서울월드컵경기장 관중수: 25,738 | |||
곽태휘 40' 설기현 57', 85' 박지성 73' |
리포트 | |||||
2008년 2월 6일 17:00 UTC+2 | ||||||
요르단 | 0 – 1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암만, 암만 국제경기장 관중수: 16,000 | |||
리포트 | 홍영조 44' | |||||
2008년 3월 26일 19:00 UTC+8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0 – 0 | 대한민국 | 상하이, 훙커우 축구장 (중국)[2] 관중수: 20,000 | |||
리포트 | ||||||
2008년 3월 26일 17:00 UTC+5 | ||||||
투르크메니스탄 | 0 – 2 | 요르단 | 아시가바트, 아시가바트 올림픽 경기장 관중수: 20,000 | |||
리포트 | 알브주르 33' 바와브 86' | |||||
2008년 5월 31일 20:00 UTC+9 | ||||||
대한민국 | 2 – 2 | 요르단 | 서울, 서울월드컵경기장 관중수: 50,000 | |||
박지성 39' 박주영 48' (페널티킥) |
리포트 | 압델 파타 73', 80' | ||||
2008년 6월 2일 17:00 UTC+5 | ||||||
투르크메니스탄 | 0 – 0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아시가바트, 아시가바트 올림픽 경기장 관중수: 20,000 | |||
리포트 | ||||||
2008년 6월 7일 17:00 UTC+9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 – 0 | 투르크메니스탄 | 평양, 김일성경기장 관중수: 25,000 | |||
최금철 72' | 리포트 | |||||
2008년 6월 7일 17:30 UTC+3 | ||||||
요르단 | 0 – 1 | 대한민국 | 암만, 킹 압둘라 경기장 관중수: 8,000 | |||
리포트 | 박주영 24' (페널티킥) | |||||
2008년 6월 14일 17:00 UTC+9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 – 0 | 요르단 | 평양, 양각도축구경기장 관중수: 25,000 | |||
홍영조 44', 72' | 리포트 | |||||
2008년 6월 14일 19:00 UTC+5 | ||||||
투르크메니스탄 | 1 – 3 | 대한민국 | 아시가바트, 아시가바트 올림픽 경기장 관중수: 11,000 | |||
오베코프 77' (페널티킥) | 리포트 | 김두현 14', 86', 90+3' (페널티킥) | ||||
2008년 6월 22일 20:00 UTC+9 | ||||||
대한민국 | 0 – 0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서울, 서울월드컵경기장 관중수: 48,519 | |||
리포트 | ||||||
2008년 6월 22일 18:00 UTC+3 | ||||||
요르단 | 2 – 0 | 투르크메니스탄 | 암만, 암만 국제경기장 관중수: 150 | |||
압델 파타 66', 67' | 리포트 | |||||
4조편집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
우즈베키스탄 | 6 | 5 | 0 | 1 | 17 | 7 | +10 | 15 |
사우디아라비아 | 6 | 5 | 0 | 1 | 15 | 5 | +10 | 15 |
싱가포르 | 6 | 2 | 0 | 4 | 7 | 16 | −9 | 6 |
레바논 | 6 | 0 | 0 | 6 | 3 | 14 | −11 | 0 |
- 싱가포르는 우즈베키스탄과의 원정 경기, 사우디아라비아와의 홈 경기에서 부적격 선수를 출전시킨 사실이 발각되어 해당 경기에서 모두 0:3 몰수패(우즈베키스탄과의 원정 경기는 원래 우즈베키스탄의 1:0 승리, 사우디아라비아와의 홈 경기는 원래 사우디아라비아의 2:0 승리로 기록되었음)를 당했다. 이로 인해 사우디아라비아와 우즈베키스탄의 순위가 뒤바뀌었으나 두 팀 모두 최종 예선 진출이 확정되었기 때문에 최종 예선 진출 팀이 뒤바뀌는 일은 없었다.
경기 결과 정정 이전의 순위표를 보려면 오른쪽의 '보이기' 버튼을 클릭하세요.
2008년 2월 6일 18:00 UTC+2 | ||||||
레바논 | 0 – 1 | 우즈베키스탄 | 베이루트, 카밀 샤문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관중수: 800 | |||
리포트 | 아메도프 44' | |||||
2008년 2월 6일 20:15 UTC+3 | ||||||
사우디아라비아 | 2 – 0 | 싱가포르 | 리야드,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 관중수: 10,000 | |||
알카타니 38' 무아스 81' |
리포트 | |||||
2008년 3월 26일 16:00 UTC+5 | ||||||
우즈베키스탄 | 3 – 0 | 사우디아라비아 | 타슈켄트, MHSK 경기장 관중수: 17,000 | |||
카파제 45+1' 샤츠키흐 65' 제파로프 67' (페널티킥) |
리포트 | |||||
2008년 3월 26일 19:30 UTC+8 | ||||||
싱가포르 | 2 – 0 | 레바논 | 싱가포르, 싱가포르 국립 경기장 관중수: 10,118 | |||
주리치 8' 나와즈 24' |
리포트 | |||||
2008년 6월 2일 19:30 UTC+8 | ||||||
싱가포르 | 3 – 7 | 우즈베키스탄 | 싱가포르, 싱가포르 국립 경기장 관중수: 28,750 | |||
주리치 16' 파루딘 31' (페널티킥) 윌킨슨 73' |
리포트 | 카파제 10' 카르펜코 22' 제파로프 34', 44' 데니소프 42' 이브라기모프 62' 샤츠키흐 88' | ||||
2008년 6월 2일 21:00 UTC+3 | ||||||
사우디아라비아 | 4 – 1 | 레바논 | 리야드,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 관중수: 8,000 | |||
알카타니 45', 90+1' 하우사위 65' 투카르 83' |
리포트 | 엘 알리 43' | ||||
2008년 6월 7일 19:00 UTC+5 | ||||||
우즈베키스탄 | 3 – 0 (몰수)[3] | 싱가포르 | 타슈켄트, MHSK 경기장 관중수: 12,867 | |||
게인리흐 80' | 리포트 | |||||
2008년 6월 7일 18:00 UTC+3 | ||||||
레바논 | 1 – 2 | 사우디아라비아 | 리야드,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 (사우디아라비아)[4] 관중수: 2,000 | |||
가다르 90+3' | 리포트 | 투카르 45+2', 60' | ||||
2008년 6월 14일 19:30 UTC+8 | ||||||
싱가포르 | 0 – 3 (몰수)[5] | 사우디아라비아 | 싱가포르, 싱가포르 국립 경기장 관중수: 23,000 | |||
리포트 | 오타이프 37' 알프라이디 76' | |||||
2008년 6월 14일 19:00 UTC+5 | ||||||
우즈베키스탄 | 3 – 0 | 레바논 | 타슈켄트, MHSK 경기장 관중수: 7,000 | |||
아메도프 50', 63' 제파로프 90+4' |
리포트 | |||||
2008년 6월 22일 18:00 UTC+3 | ||||||
레바논 | 1 – 2 | 싱가포르 | 베이루트, 카밀 샤문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관중수: 500 | |||
카이잔 62' (자책골) | 리포트 | 다유브 72' (자책골) 윌킨슨 73' | ||||
2008년 6월 22일 21:00 UTC+3 | ||||||
사우디아라비아 | 4 – 0 | 우즈베키스탄 | 리야드,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 관중수: 5,000 | |||
오타이프 5' 무아스 36', 88' 알하르티 56' |
리포트 | |||||
5조편집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
이란 | 6 | 3 | 3 | 0 | 7 | 2 | +5 | 12 |
아랍에미리트 | 6 | 2 | 2 | 2 | 7 | 7 | 0 | 8 |
시리아 | 6 | 2 | 2 | 2 | 7 | 8 | −1 | 8 |
쿠웨이트 | 6 | 1 | 1 | 4 | 8 | 12 | −4 | 4 |
2008년 2월 6일 15:00 UTC+3:30 | ||||||
이란 | 0 – 0 | 시리아 | 테헤란, 아자디 스타디움 관중수: 45,000 | |||
리포트 | ||||||
2008년 2월 6일 19:15 UTC+4 | ||||||
아랍에미리트 | 2 – 0 | 쿠웨이트 | 아부다비, 알자지라 모하메드 빈 자예드 경기장 관중수: 19,000 | |||
알셰히 14' 칼릴 53' |
리포트 | |||||
2008년 3월 26일 14:30 UTC+2 | ||||||
시리아 | 1 – 1 | 아랍에미리트 | 다마스쿠스, 아바시인 경기장 관중수: 35,000 | |||
차보 2' | 리포트 | 마타르 54' | ||||
2008년 3월 26일 19:45 UTC+3 | ||||||
쿠웨이트 | 2 – 2 | 이란 | 쿠웨이트 시, 알쿠웨이트 경기장 관중수: 15,000 | |||
아자브 38' 알라시디 81' |
리포트 | 니크바흐트 2' 호세이니 5' | ||||
2008년 6월 2일 19:00 UTC+4:30 | ||||||
이란 | 0 – 0 | 아랍에미리트 | 테헤란, 아자디 스타디움 관중수: 50,000 | |||
리포트 | ||||||
2008년 6월 2일 20:00 UTC+3 | ||||||
시리아 | 1 – 0 | 쿠웨이트 | 다마스쿠스, 아바시인 경기장 관중수: 25,000 | |||
알후세인 52' | 리포트 | |||||
2008년 6월 7일 20:00 UTC+4 | ||||||
아랍에미리트 | 0 – 1 | 이란 | 알아인, 셰이크 칼리파 국제경기장 관중수: 9,000 | |||
리포트 | 잔디 8' | |||||
2008년 6월 8일 20:45 UTC+3 | ||||||
쿠웨이트 | 4 – 2 | 시리아 | 살미야, 타미르 스타디움 관중수: 10,000 | |||
아자브 2', 20', 63' 알코자 57' (자책골) |
리포트 | 알카티브 10', 45+2' | ||||
2008년 6월 14일 20:00 UTC+3 | ||||||
시리아 | 0 – 2 | 이란 | 다마스쿠스, 아바시인 경기장 관중수: 25,000 | |||
리포트 | 레자에이 64' 칼릴리 90+5' | |||||
2008년 6월 14일 20:45 UTC+3 | ||||||
쿠웨이트 | 2 – 3 | 아랍에미리트 | 살미야, 타미르 스타디움 관중수: 20,000 | |||
아자브 52', 79' | 리포트 | 마타르 23', 39' 모함메드 90+1' | ||||
2008년 6월 22일 20:30 UTC+4:30 | ||||||
이란 | 2 – 0 | 쿠웨이트 | 테헤란, 아자디 스타디움 관중수: 20,000 | |||
네쿠남 17' 레자에이 90+2' |
리포트 | |||||
2008년 6월 22일 20:00 UTC+4 | ||||||
아랍에미리트 | 1 – 3 | 시리아 | 알아인, 셰이크 칼리파 국제경기장 관중수: 7,000 | |||
마타르 83' (페널티킥) | 리포트 | 알후세인 34', 51' 말키 90+3' | ||||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가 나 다 이라크는 이라크 전쟁으로 인한 안전상의 문제로 인하여 아랍에미리트의 두바이에서 홈 경기를 치렀다.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대한민국과의 홈 경기를 중국의 상하이에서 치렀다. 이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의 국기 게양과 대한민국의 국가 연주를 거부한 사실이 문제가 되었기 때문이다.
- ↑ 싱가포르는 우즈베키스탄과의 원정 경기에서 부적격 선수인 추리(Qiu Li)를 출전시킨 사실이 발각되어 0:3 몰수패(원래는 우즈베키스탄의 1:0 승리로 기록되었음)를 당했다.
- ↑ 레바논은 사우디아라비아와의 홈 경기를 사우디아라비아의 리야드에서 치렀다.
- ↑ 싱가포르는 사우디아라비아와의 홈 경기에서 부적격 선수인 추리(Qiu Li)를 출전시킨 사실이 발각되어 0:3 몰수패(원래는 사우디아라비아의 2:0 승리로 기록되었음)를 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