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은 2014년 FIFA 월드컵 예선의 아시아 지역 2차 예선이다. 1차 예선을 통과한 8개 팀을 포함해서 30개 팀이 두 팀씩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승리한 15개 팀이 3차 예선에 진출한다.
참가국 및 시드 배정
편집2011년 3월 30일에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추첨이 실시되었다.
포트 A | 포트 B |
---|---|
사우디아라비아 |
예멘 |
(*) 1차 예선에서 승리하여 진출한 팀으로, 추첨 당시에는 어느 팀인지 정해져 있지 않았다.
경기 결과
편집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태국 | 3 - 2 | 팔레스타인 | 1 - 0 | 2 - 2 |
레바논 | 4 - 2 | 방글라데시 | 4 - 0 | 0 - 2 |
중화인민공화국 | 13 - 3 | 라오스 | 7 - 2 | 6 - 1 |
투르크메니스탄 | 4 - 5 | 인도네시아 | 1 - 1 | 3 - 4 |
쿠웨이트 | 5 - 1 | 필리핀 | 3 - 0 | 2 - 1 |
오만 | 5 - 0 | 미얀마 | 3 - 0 | 2 - 0 |
사우디아라비아 | 8 - 0 | 홍콩 | 3 - 0 | 5 - 0 |
이란 | 5 - 0 | 몰디브 | 4 - 0 | 1 - 0 |
시리아 | 0 - 6 (몰수) |
타지키스탄 | 0 - 3 (몰수) |
0 - 3 (몰수) |
카타르 | 4 - 2 | 베트남 | 3 - 0 | 1 - 2 |
이라크 | 2 - 0 | 예멘 | 2 - 0 | 0 - 0 |
싱가포르 | 6 - 4 | 말레이시아 | 5 - 3 | 1 - 1 |
우즈베키스탄 | 7 - 0 | 키르기스스탄 | 4 - 0 | 3 - 0 |
아랍에미리트 | 5 - 2 | 인도 | 3 - 0 | 2 - 2 |
요르단 | 10 - 1 | 네팔 | 9 - 0 | 1 - 1 |
1경기
편집2경기
편집3경기
편집중화인민공화국이 합계 13-3으로 3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4경기
편집5경기
편집6경기
편집7경기
편집사우디아라비아가 합계 8-0으로 3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8경기
편집9경기
편집시리아는 타지키스탄과의 경기에서 부적격 선수를 출전시킨 사실이 발각되어 모든 경기가 0-3 몰수패로 처리되었다. 이에 따라 타지키스탄이 합계 6-0으로 3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10경기
편집11경기
편집12경기
편집13경기
편집우즈베키스탄이 합계 7-0으로 3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14경기
편집15경기
편집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오만과 미얀마의 1차전 경기는 오만의 2-0 승리로 끝났으나 나중에 오만의 3-0 승리로 처리되었다.
- ↑ 오만과 미얀마의 2차전 경기는 전반 47분(정규 시간 45분 + 추가 시간 2분)에 일어난 미얀마 관중들의 난동으로 인해 중단되었다. 경기가 중단되던 당시에는 오만이 2-0으로 앞서고 있었다. 경기 재개가 어렵다고 판단한 주심과 감독관의 결정에 따라 해당 경기는 오만의 2-0 승리로 처리되었다.
- ↑ 시리아는 타지키스탄과의 홈 경기에서 부적격 선수인 조지 무라드(George Mourad)를 출전시킨 사실이 발각되어 0-3 몰수패(원래는 시리아의 2-1 승리로 기록되었음)를 당했다.
- ↑ 시리아는 시리아 민중봉기의 여파로 인해 중립 지대인 요르단에서 홈 경기를 치렀다.
- ↑ 시리아는 타지키스탄과의 원정 경기에서 부적격 선수인 조지 무라드(George Mourad)를 출전시킨 사실이 발각되어 0-3 몰수패(원래는 시리아의 4-0 승리로 기록되었음)를 당했다.
- ↑ 예멘은 예멘 혁명의 여파로 인해 중립 지대인 아랍에미리트에서 홈 경기를 치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