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원군 (남)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의 군

철원군(鐵原郡)은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북서부에 위치한 이다. 남서쪽으로는 경기도 연천군포천시, 남동쪽은 화천군양구군에 인접한다. 군청은 갈말읍에 있으며 인구의 대부분이 경인지역 근처에 거주한다.

철원군
철원군청사
철원군청사

철원군의 위치
철원군의 위치
행정
국가대한민국
행정 구역4개 , 7개
청사 소재지갈말읍 삼부연로 51 (신철원리 649)
단체장이현종(국민의힘)
국회의원한기호(국민의힘, 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을)
지리
면적889.43km2
인문
인구43,340명 (2021[1]년)
세대20,862세대 (2021[2]년)
상징
나무잣나무
산철쭉
두루미
지역 부호
웹사이트철원군

1945년 광복 직후에는 철원군 전 지역도 소련이 점령했으나, 한국 전쟁의 결과 옛 삭녕군의 편입지(인목·내문·마장면)와 북면을 뺀 대부분 지역이 수복(收復)되었다. 현재의 철원군은 휴전선 이남의 김화군 지역과 평강군 남면 정연리를 편입하고, 신서면경기도 연천군으로 이관되어 군역(郡域)이 동쪽으로 이동하였다.

역사 편집

  • 1945년 9월 2일 : 미국과 소련이 38선을 경계로 한반도를 분할 점령함으로써 철원군과 김화군 전 지역이 소련군정 관할 아래 들아갔다.
  • 1953년 7월 27일 : 한국 전쟁의 결과, 철원군에서는 철원읍, 갈말면, 동송면, 신서면, 묘장면, 어운면과 인목면 남반부, 내문면 독검리, 북면 유정리·홍원리가 수복(收復)되었으며, 김화군에서는 김화읍, 서면, 근남면 전역과 근동면, 근북면, 원동면, 원남면, 임남면의 남쪽 일부 지역이 수복되었다.
(철원군 인목면, 내문면, 북면과 김화군 근동면, 근북면, 원동면, 원남면, 임남면의 수복지구는 전부 또는 대부분이 비무장지대 안에 위치)
법률 제350호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신 행정구역
철원군 철원읍(묘장면 편입), 갈말면, 동송면(어운면 편입), 신서면(인목면의 수복지구 편입)
김화군 김화읍, 서면, 근남면, 근북면, 근동면, 원남면, 원동면, 임남면
법률 제1178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철원군 신서면(인목면의 수복지구 포함) 연천군 신서면
김화군 김화읍, 서면, 근남면, 근북면, 근동면, 원남면, 원동면, 임남면 철원군 김화읍, 서면, 근남면, 근북면, 근동면, 원남면, 원동면, 임남면

지리 편집

강원도의 서북부에 위치하며 전반적으로 높은 구릉을 이룬다. 군(郡)의 중앙부를 백두대간에서 뻗어나온 백역산맥이 북동에서 남서로 뻗어 서반부(옛 철원군 지역)의 평야지대와 동반부(옛 김화군 지역)의 고원지대로 양분한다. 서부, 즉 철원지구는 200 ~ 500m의 대지(臺地)로 추가령구조곡의 구조열선에서 유동성 흑색현무암의 용암이 분출하여 평탄한 용암대지가 이루어져 있으며, 용암대지의 사면은 화강암 산지로 둘러싸인 분지지형이다. 김화지구는 동쪽에 광주산맥이 남남서로 뻗으면서 용문산(1,068m)·구단발령(1,175m) 등 높은 산이 솟아있다. 수계(水系)로는 임진강의 지류 한탄천북한강의 상류 금성천이 있다. 지질은 주로 화강암, 결정편암으로 되어 있다.

지형 편집

철원군 일대는 용암 대지가 현무암질 용암이 추가령을 구조곡을 메워 형성되었다. 용암대지는 점성이 약한 마그마가 분출하여 넓은 지역을 평탄하게 하거나 지질 구조선을 따라 형성된 하곡을 매워서 만든 지형이다. 철원군의 용암 대지 표면은 하천을 비롯한 여러 작용으로 운반된 물질들이 쌓여 넓은 평야를 이루고 있으며, 주변의 수리 시설을 바탕으로 벼농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용암 대지를 통과하는 한탄강 주변에는 수직 절벽과 용암이 식으면서 만들어진 주상 절리 등의 화산 지형이 있다.[8]

기후 편집

내륙에 위치한 관계로 연교차가 심한 대륙성 기후를 나타내며, 겨울철엔 대관령을 제외하고 대한민국에서 가장 기온이 낮은 곳 중 하나이며, 강수량이 많은 다우지이다. 연 평균 기온은 10.3 °C, 1월 평균 기온은 -5.7 °C, 8월 평균 기온은 24.0 °C이고, 연 평균 강수량은 1354mm이다.

2001년 1월 16일에 최저기온 -29.2 °C를 기록하였고, 비공식적으로 2010년 1월 6일 오전 7시 9분 갈말읍 정연리에서 -30.5 °C가 관측된 바 있다.[9] 이같은 겨울의 추운 날씨로 인해 속칭 "철베리아" (철원 + 시베리아)라고도 부른다. 역대 최고 기온은 1988년 8월 10일에 최고기온 36.9 °C를 기록했다. 주요 호우 기록으로는 2020년 장마철 당시 동송읍에 10일간 1000mm 넘는 비가 쏟아져 한탄강이 범람해 큰 피해를 입었다.[10][11]

철원군의 기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연간
최고 기온 기록 °C (°F) 13.1
(55.6)
17.5
(63.5)
22.4
(72.3)
29.8
(85.6)
32.5
(90.5)
34.0
(93.2)
36.0
(96.8)
38.4
(101.1)
33.7
(92.7)
29.0
(84.2)
24.0
(75.2)
15.6
(60.1)
38.4
(101.1)
평균 일 최고 기온 °C (°F) 0.7
(33.3)
4.1
(39.4)
10.2
(50.4)
17.5
(63.5)
22.9
(73.2)
26.7
(80.1)
28.1
(82.6)
28.9
(84.0)
25.0
(77.0)
19.1
(66.4)
10.5
(50.9)
2.7
(36.9)
16.4
(61.5)
일 평균 기온 °C (°F) −5.7
(21.7)
−2.3
(27.9)
3.7
(38.7)
10.5
(50.9)
16.6
(61.9)
21.1
(70.0)
23.8
(74.8)
24.0
(75.2)
18.9
(66.0)
11.8
(53.2)
4.3
(39.7)
−3.2
(26.2)
10.3
(50.5)
평균 일 최저 기온 °C (°F) −11.8
(10.8)
−8.6
(16.5)
−2.6
(27.3)
3.4
(38.1)
10.4
(50.7)
16.1
(61.0)
20.2
(68.4)
20.1
(68.2)
13.6
(56.5)
5.5
(41.9)
−1.2
(29.8)
−8.6
(16.5)
4.7
(40.5)
최저 기온 기록 °C (°F) −29.2
(−20.6)
−24.6
(−12.3)
−13.4
(7.9)
−8.2
(17.2)
0.9
(33.6)
6.1
(43.0)
11.3
(52.3)
8.8
(47.8)
3.5
(38.3)
−6.3
(20.7)
−13.8
(7.2)
−22.2
(−8.0)
−29.2
(−20.6)
평균 강수량 mm (인치) 18.2
(0.72)
26.3
(1.04)
30.8
(1.21)
69.0
(2.72)
102.4
(4.03)
119.0
(4.69)
400.0
(15.75)
347.4
(13.68)
121.2
(4.77)
49.9
(1.96)
48.1
(1.89)
22.1
(0.87)
1,354.4
(53.32)
평균 강수일수 (≥ 0.1 mm) 6.3 6.0 7.3 8.1 9.1 10.9 16.6 14.3 8.4 6.6 8.1 7.5 109.2
평균 상대 습도 (%) 67.1 63.1 60.5 58.3 64.4 71.4 81.3 81.4 76.9 72.9 71.6 70.0 69.9
평균 월간 일조시간 173.3 176.0 196.5 203.7 224.5 198.7 141.9 170.0 187.0 200.6 152.3 159.0 2,183.5
출처: 대한민국 기상청 (평균값: 1991년~2020년, 극값: 1988년~현재)[12][13]

지질 편집

철원군은 경기 육괴의 북부에 위치하지만 선캄브리아기의 암석은 거의 없고 거의 전 지역이 중생대에 관입한 화강암류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4기현무암한탄강 주변에 분포한다.[14]

선캄브리아기 편집

선캄브리아기에 형성된 흑운모 편마암(PCEbgn: Precambrian gyeonggi metamorphic rock complex biotite gneiss)은 경기변성암복합체에 속하는 것으로서, 근남면 잠곡리 남쪽 지역과 육단리 서쪽 지역에 조금 분포한다.[15]

  • 근남면 육단리 서쪽, 대성산으로 올라가는 비포장 전술도로 주변에는 경기변성암복합체의 일부에 속하는 준(準)편마암류가 가장 많이 분포한다. 이곳에는 흑운모 편마암이 주요 암석이고 부분적으로 석회질 편암이 교호하며 소규모 분포한다. 이곳에서 준편마암류에 발달한 엽리의 주향과 경사는 전반적으로 북서 25° 및 북동 78° 이지만 부분적으로는 북서 88° 및 북동 55°이다. 하지만 이 암체는 화강암체 내의 소규모 포획암체로서 엽리의 주향과 경사가 이 일대 준편마암류에 대한 전반적인 엽리의 주향과 경사를 반영한다고는 볼 수 없다.
  • 근남면 육단리 하수문동 서쪽 개울가(사곡천)에 분포하는 흑운모 편마암은 분포 면적이 매우 좁다. 여기서는 괴상(塊狀)의 흑운모 편마암과 편암, 호상 편마암, 우백질 편마암, 미그마타이트질 편마암 등이 혼재되어 분포하고 있다. 엽리의 주향과 경사는 북동 44° 및 북서 84°이다.
  • 근남면 잠곡리 매월대 입구 남동쪽 개울가에서는 흑운모 편마암과 호상 편마암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석영-장석질 편마암, 사질 편암과 함께 유백색의 치밀한 규암이 분포한다.
  • 근남면 잠곡리 매월대 입구의 길가에서는 이질(泥質) 기원의 석영-운모편암, 운모편암, 석영-장석질 편암과 결정질 석회암으로 구성된 편암류가 소규모 분포한다.
  • 근남면 육단리 육단2교 부근의 북쪽 하천 사면에는 외견상으로 조선 누층군의 암회색 석회암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 결정질 석회암과 석회질 편암이 분포한다. 층리와 일치하는 엽리는 북서 78°및 북동 58°의 주향과 경사를 나타낸다.
  • 근남면 육단리에서 사곡리로 넘어가는 국도 제56호선의 고개 부근에서는 괴상(塊狀)의 흑운모 편마암과 편암, 우백질 편마암, 미그마타이트질 편마암 등이 혼재되어 분포하고 있다.

시대 미상 편집

김화읍 용양리나 근동면 광삼리 그리고 학웅산 일대에는 형성 시기를 정확히 알 수 없는 변성 퇴적암류가 북서-남동 방향으로 분포하며 중생대 화강암류에 의해 관입당해 있다. 이들의 분포는 휴전선 너머 북동쪽으로 더 발달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 변성 퇴적암류는 주로 담회색 내지 회색의 천매암질암과 암회색의 변성 이질/사질(沙質)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김화읍 생창리 배재에서 학웅산으로 오르는 비포장 도로에는 주로 사질의 천매암질암이 우세하고, 학웅산 남동쪽의 사면과 용양리에서는 암회색의 변성 이질/사질암이 우세하게 분포한다. 이들의 엽리 내지는 편리의 주향은 북동 24~44°, 경사는 북서 25~52°이므로 지층의 하부에는 암회색의 변성 이질/사질암이, 상부에는 천매암질암이 우세하다고 볼 수 있다.[15]

중생대 트라이아스기 화강암 편집

  • 근남면 육단리 동쪽 사면에는 미약한 엽리를 보이는 엽리상 흑운모 화강암(TRfbgr)이 약 남-북 방향 약 370 m의 폭으로 분포한다. 이 화강암은 선캄브리아기 흑운모 편마암을 관입한 후 이 편마암과 함께 쥐라기의 함석류석 복운모 화강암에 의해 관입당해 소규모 포획체의 형태로 산출된다. 이 화강암은 흑운모 편마암을 관입한 후 습곡 작용을 받았다. 경기 육괴 북부에서 습곡을 형성한 변형 작용은 트라이아스기송림 변동 혹은 그 이전에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이 화강암의 관입 시기는 트라이아스기 또는 그 이전일 것으로 추정된다.[15]
  • 거반정질 화강암(TRmgr)은 갈말읍 내대리 북서부와 상사리 송호동 일대에 분포하고 있으며, 동송읍 양촌 한탄강변의 양수펌프장 일대에 소규모 산출된다. 원래 분포 범위가 더 넓었지만 쥐라기의 화강암에 의해 관입당해 범위도 줄고 한탄강을 경계로 양분된 분포를 보인다. 갈말읍 상사리 도로변(좌표 N 38°13'0.2", E 127°16'9.2")에서 채취한 시료의 저어콘을 이용하여 SHRIMP U-Pb 연대측정(이하 U-Pb 연대측정)을 실시한 결과 232.2+1.8 Ma 로서 관입시기는 중기 트라이아스기임을 지시한다.[15]

중생대 쥐라기 화강암 편집

쥐라기에 관입한 화강암류는 경기번성암복합체와 트라이아스기 화강암을 관입한 대보 화강암으로서, 철원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서울-의정부-철원을 거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연장되는 대규모 저반(底盤)의 일부이다.[15]

  • 흑운모 화강암(Jbgr; Jurassic granite)은 김화읍, 갈말읍의 산악지대에 매우 넓게 분포하는 암석으로 서울의 북부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서울 화강암 또는 포천 화강암의 일부이다. 이 암석의 K-Ar K 장석 연령은 157 Ma, 흑운모 연령은 164.5 Ma, Rb-Sr 전암 연령은 165, 160 Ma로 보고되었다. U-Pb 연대측정 결과는 184 Ma로서 쥐라기 전기-중기에 해당하며 철원군의 대보 화강암체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다. 주요 구성 광물은 석영, 알칼리 장석, 사장석, 흑운모이며 부차적인 구성 광물로 인회석, 저어콘, 그리고 방사성 광물인 모나자이트 등이 있다.
  • 함석류석 복운모화강암(Jtmgr)은 근남면 육단리, 사곡리와 서면 와수리 일대에 분포하며 전반적으로 회색을 띠고 석류석을 함유한다. 주로 석영, 알칼리 장석, 사장석, 흑운모, 백운모 등으로 구성되고 석류석, 저어콘, 모나자이트 등이 부 구성 광물로 들어 있다. 근남면 육단리 도로변(좌표 N 38°14'9.8", E 127°28'16.1")에서 채취한 시료의 모나자이트를 이용하여 U-Pb 연대측정을 실시한 결과 170.5 Ma 으로서 관입시기가 중기 쥐라기임을 지시한다.
  • 반상 흑운모화강암(Jpbgr)은 근남면 잠곡리, 매월동, 서면 무금동 일대와 갈말읍 지경리, 내대리, 상사리 등지에 분포하며 전반적으로 회색을 띤다. 주요 구성 광물은 석영, 알칼리 장석, 사장석, 흑운모이며 부구성 광물로 저어콘, 모나자이트가 있다.[15]
  • 각섬석 화강암은 서면 와수리 수유동에서 북쪽으로 읍내리 성재산을 거쳐 약 570 m 폭의 긴 남-북 방향으로 분포한다. 또한 동송읍 양지리 양촌 일대와 갈말읍 문혜리 토기교 남쪽 계곡에 소규모 관입하고 있다. 주요 구성 광물은 석영, 사장석, 알칼리 장석, 각섬석, 흑운모 등이다.[15]

중생대 백악기 화강암 편집

  • 명성산 화강암은 붉은색 흑운모 화강암으로 동송읍 장흥리, 양지리와 김화읍 생창리 일대에 분포한다. U-Pb 연대측정 결과는 112 Ma 로서 중기 백악기에 관입하였다. 주요 구성 광물은 석영, 사장석, 알칼리 장석, 흑운모, 녹니석, 저어콘 등이다.[15]

제4기 현무암 편집

신생대 제4기현무암은 추가령 구조곡의 한탄강을 따라 열하 분출하여, 중생대의 대보 화강암류를 부정합으로 덮었다. 이 현무암은 갈말읍 삼성리 풍전 지역과 내대리와 상사리, 동송읍 장흥리 한탄강변에 수직 절벽 형태로 노출되어 있으며 철원군 지역에서 현무암의 두께는 약 70 m이다.[15]

단층 편집

철원군 일대에는 왕숙천 단층을 포함 다수의 북북동 주향의 단층들이 발달한다.

  • 산정 단층은 외관상으로 포천시 일동면에서 왕숙천 단층으로부터 갈라져 나와 영북면 산정리, 철원군 갈말읍 문혜리와 지경리를 지나 김화읍 도창리 서부로 이어지는 남-북 주향의 주향 이동 단층이다. 이 단층에 의해서 명성산 화강암이 갈말읍 신철원리 지역에서 겉보기로 약 4 km 변위되어 있다.[16]
    • 갈말읍 토성리와 김화읍 도창리 경계 지역에는, 서쪽으로 흐르는 한탄강이 갑자기 북쪽으로 5 km 정도 진행하다가 다시 서쪽으로 진행하여, 물길이 마치 'Z'와 비슷한 모양으로 꺾여 있다. 이 곳은 바로 산정 단층이 남-북으로 통과하는 곳이며, 산정 단층은 한탄강이 북쪽으로 진행하는 구간과 정확히 일치하여 산정 단층에 의한 변위·굴절 하도임이 의심되는 지역이다.
  • 잠곡 단층은 근남면 사곡리에서 육단리를 지나 잠곡리에 이르기까지의 계곡을 따라 형성된 남-북 주향의 우수향 주향 이동 단층이다.[15]
  • 왕숙천 단층은 철원군에서 시작해 포천시를 거쳐 남양주시까지 이어지는 북북동 주향의 단층이다.


행정 구역 편집

4읍 7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철원군의 총 면적은 889.43 km2이고,[17] 인구는 2019년 12월 31일 주민등록 기준으로 4만5584 명, 2만1216 가구이다.[18] 남녀 성비는 1.09로, 인근 양구군, 화천군, 포천시, 연천군 등과 같은 남초 지역이다.

철원군은 철원(동송읍 이평리·철원읍 화지리), 신철원(갈말읍 신철원리·지포리), 김화(서면 와수리·김화읍 학사리)에 각각 형성된 3개의 소도심에 인구가 밀집해 거주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행정구역 한자 면적(km2) 인구 세대 행정구역도
철원읍 鐵原邑 99.76 5,504 2,453  
김화읍 金化邑 87.95 3,747 1,768
갈말읍 葛末邑 171.46 12,279 5,705
동송읍 東松邑 127.50 15,762 7,192
서면 西面 74.33 5,922 2,902
근남면 近南面 129.13 2,259 1,138
근북면 近北面 23.73 111 58
철원군 鐵原郡 889.4 45,584 21,216

* 인구·세대는 2019년 12월 31일 주민등록 기준

군사분계선 인근 군작전지역으로 민간인 비거주지역은 다음과 같다.

읍·면 한자 면적 법정리
근동면 近東面 19.71 광삼리, 방통리
원남면 遠南面 77.99 남둔리, 주파리, 진현리, 죽대리, 노동리
원동면 遠東面 61.08 세현리, 등대리
임남면 任南面 16.79 수동리
  • 근북면, 근동면은 김화읍이 관할
  • 원남면, 원동면, 임남면은 근남면이 관할

경기도 편입 논란 편집

철원군 동송읍, 갈말읍에서 강원도청이 있는 춘천시까지는 자동차로 1시간 30분~45분이 걸리지만, 경기북부청이 있는 의정부시까지는 1시간 10분이면 갈 수 있다.

이런 이유 때문에 2011년 대통령소속 지방행정체제개편추진위원회가 ‘지방행정체제 개편 시군 통합기준(안)’을 제시하자 철원군에서는 경기도 편입 주장이 제기되었다. 철원군의 경기도편입론은 철원(옛 김화군 지역 제외) 주민 상당수가 철원을 경기도 포천시, 연천군, 의정부시 등의 경기북부와 같은 생활권으로 인식하는 데에 기인하고 있다.[19]

철원군은 경기북부 지역을 관할하는 의정부지방법원의 관할에 속하며, 대한민국 국군은 철원군에 주둔하는 3사단6사단경기 지방3야전군 예하에 두고 있지만 근동면, 근남면과 김화읍 일부에서는 화천군에 본부가 있는 15사단이, 두입지인 옛 금성군 지역(원남·원동·임남면)에는 7사단을 주둔시키고 있다. 만약 철원군이 경기도로 편입될 경우, 주민이 거주하지 않는 민간인출입통제구역금성지구(원남·원동·임남면)는 경기도돌출부가 되기 때문에 이 지역은 화천군에 편입해야 한다는 지적이 있다.[20]

역대 군수 편집

산업 편집

철원분지는 현무암이 분해되어 토양이 비옥하고, 봉래제·감둔제(甘屯堤)·마산제(馬山堤) 등 관개 시설이 잘 갖추어져 강원도내 제1의 쌀 생산지대이다. 김화고원은 옥수수·감자·콩·담배가 많이 났으며 양잠·양봉·목축이 성했다. 또 철원주도 유명하였다. 소는 경인지방에 많이 공급되었다. 지하자원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는데, 김화에서 금성에 이르는 일대에 유화철광·중정석·망간이 유명했고 형석·하석(霞石)·남정석·홍주석·명반석·금·은·아연 등도 산출되었다. 현재 옛 김화군 광산 지역의 일부는 남한 지역에 존재하나, 접경지대의 특성으로 인해 분단으로 채광이 중단되었다.

교통 편집

철원군 김화군평강군과 더불어 ‘철의 삼각지대’라고 불리는 교통·군사상의 요지이다. 일제강점기에는 경원선신서면~철원읍~북면을 남북으로 관통하고 철원역에서 금강산선이 분기되었으나, 한국전쟁으로 대부분 폐선되었다.

1963년 경원선 구간이 남아있는 신서면(신탄리역, 대광리역)이 경기도 연천군에 편입되면서 철원군에는 50년간 운행하는 철도가 없었다. 그러나 2012년 11월 20일 연천군 신탄리역까지였던 경원선의 운행구간이 철원읍 대마리(옛 묘장면 지역)의 백마고지역까지 연장되어 열차가 다니고 있다. 이후 백마고지역 ~ 월정리역 구간의 철도 연결 사업이 2015년 8월에 개시되었다가, 2016년 6월에 중단되었다.[21][22]

철원읍김화읍한국전쟁 전까지 서울원산, 금강산 등을 잇는 사통팔달한 도로교통의 요지였으나, 현재는 북쪽이 군사분계선이어서 그 기능을 상실했다.

문화·관광 편집

본청 편집

군수실
부군수실
비서실
기획감사실
관광문화체육과
자치행정과
평화지원발전과
주민생활지원과
경제진흥과
인재육성과
민원봉사과
재무과
세무과
청청환경과
녹색성장과
건설과
안전도시과

직속기관 편집

농업기술센터
미래농업과
농업유통과
농업기술과
축산과
보건소
보건행정팀
예방의약팀
건강증진팀
지역보건팀
위생팀
출산양육지원센터
통합보건지소
감염병대응T/F팀
건강생활지원T/F팀

사업소 편집

시설관리사업소
상하수도사업소
환경자원사업소

교육 편집

학교 학교명
고등학교 신철원고등학교
철원고등학교
김화고등학교
김화공업고등학교
철원여자고등학교
중학교 철원중학교
신철원중학교
김화중학교
철원여자중학교
김화여자중학교
초등학교 묘장초등학교
철원초등학교
동송초등학교
오덕초등학교
용정초등학교
장흥초등학교
내대초등학교
도창초등학교
토성초등학교
내대초등학교
문혜초등학교
신철원초등학교
청양초등학교
김화초등학교
와수초등학교
서면초등학교
근남초등학교

자매 도시 편집

지역 & 국가 도시
  미국 뉴욕주 뉴욕 맨하튼
  쿠바 관타나모 주 관타나모

출신 인물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2.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3. 법률 제350호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1954년 10월 21일)
  4. 법률 제1178호 수복지구와동인접지구의행정구역에관한임시조치법 (1962년 11월 21일)
  5. 법률 제2395호 수복지구와동인접지구의행정구역에관한임시조치법 (1972년 12월 28일)
  6.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년 4월 7일)
  7. 대통령령 제10050호 경기도시흥군의왕읍등35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80년 10월 21일)
  8. 서태열 외 7인, 2015,《고등학교 한국 지리》 48쪽, 금성출판사
  9. “철원, 영하 30도 한파”. 《MBC》. 2010년 1월 6일. 2020년 10월 28일에 확인함. 
  10. “열흘새 1,000mm...철원 피해마을 전체 이주 논의”. 《YTN》. 2020년 8월 11일. 2020년 10월 28일에 확인함. 
  11. “철원 침수 마을 “여기서 더는 못 살겠다” 집단 이주 요구”. 《KBS》. 2020년 8월 12일. 2020년 10월 28일에 확인함. 
  12.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철원(95)”. 대한민국 기상청. 2021년 3월 25일에 확인함. 
  13. “순위값 - 구역별조회 철원(95)”. 대한민국 기상청. 2021년 10월 2일에 확인함. 
  14. “5만 지질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5. “김화도폭 지질조사보고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7년. 
  16. “지포리도폭 지질조사보고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7년. 
  17. 철원군 토지구성 Archived 2015년 9월 23일 - 웨이백 머신 철원군청 홈페이지, 2018년 3월 2일 확인.
  18. 주민등록 인구통계 행정안전부, 2020년 9월 3일 확인.
  19. 강원도 변방 철원군, 경기도편입론 '찬성한다' Archived 2016년 3월 4일 - 웨이백 머신 철원인터넷뉴스, 2011.8.23.
  20. 다시 불거진 철원 경기 편입론 강원도민일보, 2004.4.29.
  21. 신탄리~철원 열차 60년만에 달린다 한겨레, 2012.11.20.
  22. 경원선 백마고지역 멈춰진 복원 현장 경인일보, 2019.3.28.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