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경선(大慶線)은 경상북도 구미시 원평동 구미역부터 경상북도 경산시 사정동 경산역까지 기존 경부선을 활용해서 운행 중인 광역전철이다. 역간 거리가 긴 것이 특징이며, 이로 인해 각 지자체에서는 추가 역을 설치하자는 요구가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대경선
기본 정보
운행 국가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종류광역철도
상태운행 중
노선망경부선 일부
기점구미역
(경상북도 구미시 원평동)
종점경산역
(경상북도 경산시 사정동)
역 수7
개통일2024년 12월 14일
소유자국가철도공단
운영자한국철도공사
사용 차량한국철도공사 392000호대 전동차
노선 제원
영업 거리61.85㎞
궤간1,435㎜ (표준궤)
선로 수2
전철화교류 25000 V
노선도

0.0
구미
4.5
사곡
북삼 (미개통)
18.8
왜관
왜관공단 (미개통)
42.1
서대구
45.2
원대 (미개통)
46.4
대구 (1호선)
49.6
동대구 (1호선)
61.8
경산

연혁

편집

운영

편집

기존에 운영 중인 경부선 철도를 개량하고, 2량 대형 전동차(중전철)를 투입하여 구미 ~ 경산 구간을 상행 48회, 하행 52회(동대구발 경산행 회송편 4회 포함) 운행한다.[6] 수도권에서 운행하는 광폭 전동차가 대경권에서 처음 선보인다. 건물 벽체 없이 기둥만 서 있는 간이역으로 운영되어 왔던 사곡역2020년 4월 10일에 잠시 영업을 중지한 후 철거하고 신축하며, 전철전용역으로 재편했다.

중간 종착역은 동대구역 하나만 지정됐으며, 심야 시간대를 비롯한 일부 전동열차는 동대구역에서 중간 시종착한다.[7] 그리고 전동열차가 주박하는 동대구역을 출발하여 경산에서 종착하는 회송(출고)편이 아침 2회, 오후 2회 편성된다. 또한 일부 전동열차는 주말휴일에 운행하지 않는다.

치안 서비스는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산하의 철도특별사법경찰대에서 전담하므로, 관할 사무소는 동대구역에 있다.

역 목록

편집

대경선 광역전철의 모든 역들은 지상이다. 기울임꼴로 표기된 역은 미개통역이다.

노선 역번호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접속 노선 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경부선
K110 구미 Gumi 龜尾 - 0.0 경상북도 구미시
K111 사곡 Sagok 沙谷 4.5 4.5
K112 북삼 Buksam 北三 칠곡군
K113 왜관 Waegwan 倭館 18.8
K114 왜관공단 Waegwan Gongdan 倭館工團 23.1
K115 서대구 Seodaegu 西大邱 42.1 대구광역시 서구
K116 원대(달성공원) Wondae(Dalseong Park) 院垈(達城公園) 대구 도시철도 3호선 45.2 중구
K117 대구 Daegu 大邱 대구 도시철도 1호선 1.2 46.4 북구
K118 동대구 Dongdaegu 東大邱 대구 도시철도 1호선 3.2 49.6 동구
K119 경산 Gyeongsan 慶山 20.1 61.85 경상북도 경산시

특징

편집

전동차에 한국형 열차 제어 시스템(KTCS-2)이 처음 적용됐다. 2012년 국토교통부가 주관한 해당 과제에 현대로템, 철도기술연구원, 국가철도공단, 코레일과 함께 연구기관으로 참여했다. 특히 유럽연합의 열차제어시스템(ETCS) 규격을 충족해 해외 신호체계와 호환도 가능하다고 한다.[8]

기타

편집

각주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