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물음표 는 의문문의 끝을 나타내는 문장 부호 이다. 에스파냐어 의 정서법에서는 추가로 역물음표 (¿)를 의문문의 시작에 적기도 한다.
? 유니코드 U+003F ? question mark (HTML: ?
)
문장 부호
아포스트로피
( ’ ' )
괄호
( [ ], ( ), { }, ⟨ ⟩ )
쌍점
( : )
쉼표
( , )
줄표
( ‒, –, —, ― )
줄임표
( …, ... )
느낌표
( ! )
마침표
( .。 )
붙임표
( -, ‐ )
물음표
( ? )
따옴표
( ‘ ’, “ ” )
쌍반점
( ; )
빗금
( / )
공백 문자
(
) (
) (
) (␠) (␢) (␣)
가운뎃점
( · )
일반 타이포그래피
앰퍼샌드
( & )
골뱅이표
( @ )
별표
( * )
역슬래시
( \ )
불릿
( • )
캐럿
( ^ )
저작권 기호
( © )
통화 기호
( ¤ )
칼표
( †, ‡ )
도 기호
( ° )
중복 부호 (같음표)
( 〃 )
역느낌표
( ¡ )
역물음표
( ¿ )
번호 기호
( # )
숫자 기호
( № )
서수 기호
( º, ª )
백분율 기호 · 천분율 기호
( %, ‰, ‱ )
단락 기호
( ¶ )
프라임 기호
( ′ )
등록된 상표 기호
( ® )
부분 기호
( § )
서비스 기호
( ℠ )
음성 녹음 저작권 기호
( ℗ )
물결표
( ~ )
상표 기호
( ™ )
밑줄 문자
( _ )
수직선
( |, ¦ )
애스터리즘
( ⁂ )
손가락표
( ☜, ☞ )
그러므로 기호
( ∴ )
왜냐하면 기호
( ∵ )
물음느낌표
( ‽ )
아이러니 기호
( ⸮ )
마름모
( ◊ )
참고표
( ※ )
붙임줄
( ⁀ )
전화 기호
( ☏, ☎ )
온천 기호
( ♨ )
성별 기호
( ♂ , ♀ )
오전 /오후 기호
( ㏂, ㏘ )
한글 부호
오전 /오후 기호
( ㈝, ㈞ )
참고 기호
( ㉼ )
주식회사 기호
( ㈜ )
우편번호 기호
( ㉾ )
v • d • e • h
뒤집힌 물음표
물음표의 역사
처음에는 물음이라는 뜻인 라틴어 quaestio를 물음표로 썼다. 그러나 물음이 많이 나오는 글에서는 묻는 말이 끝날 때마다 quaestio를 쓰는 게 번거로웠다. 그래서 qo라고 줄여 쓰기 시작했다. 그런데 이번에는 사람들이 qo를 다른 말과 혼동했다. 그래서 세로로(q는 위로 o는 아래로) 쓰기 시작했다. 이 모양이 시간이 지나 점점 변해 지금의 ?가 됐다.
의문문이나 의문을 나타내는 어구의 끝에 쓴다.
한 문장 안에 몇 개의 선택적인 물음이 이어질 때는 맨 끝의 물음에만 쓰고, 각 물음이 독립적일 때는 각 물음의 뒤에 쓴다.
너는 중학생이냐, 고등학생이냐?
너는 여기에 언제 왔니? 어디서 왔니? 무엇을 하러 왔니?
의문의 정도가 약할 때는 물음표 대신 마침표를 쓸 수 있다.
도대체 이 일을 어쩐단 말이냐.
이것이 과연 내가 찾던 행복일까.
제목이나 표어에는 쓰지 않음을 원칙으로 한다.
특정한 어구의 내용에 대하여 의심, 빈정거림 등을 표시할 때, 또는 적절한 말을 쓰기 어려울 때 소괄호 안에 쓴다.
우리와 의견을 같이할 사람은 최 선생(?) 정도인 것 같다.
30점이라, 거참 훌륭한(?) 성적이군.
최치원 (857~?)은 통일 신라 말기에 이름을 떨쳤던 학자이자 문장가이다.
조선 시대의 시인 강백 (1690?~1777?)의 자는 자청이고, 호는 우곡이다.
U+2047 ⁇ double question mark (HTML: ⁇
)
U+FE56 ﹖ small question mark (HTML: ﹖
)
U+2048 ⁈ question exclamation mark (HTML: ⁈
)
U+2049 ⁉ exclamation question mark (HTML: ⁉
)
U+203D ‽ interrobang (HTML: ‽
)
위키미디어 공용에 물음표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