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배우는사람/문서:유대교의 개요

작업 파일

참조 파일


유대교의 개요


유대교의 율법 편집

할라카 편집

할라카(할락사, 히브리어: הלכה, 영어: Halakha, Halacha)는 유대교의 종교적 율법의 총체를 가리키는 낱말이다. 할라카에는 모세 율법, 즉 히브리어 성경타나크에 들어 있는 율법들인 613 계명(613 mitzvot)과 후대의 탈무드 율법(talmudic law)과 랍비 율법(rabbinic law) 그리고 유대교의 관습(customs)과 전통(traditions)이 포함된다.

AcharonimRishonimGeonimSavoraimAmoraimTannaimZugot

랍비들의 시대: 쥬고트(Zugot· 탄나임(Tannaim· 아모라임(Amoraim· 사보라임(Savoraim· 게오님(Geonim· 리쉬오님(Rishonim· 아카로님(Acharonim)

유대교의 성전 편집

토라 편집

토라(히브리어: תּוֹרָה, 영어: Torah, 문자 그대로의 뜻: "가르침, teaching, instruction" 또는 "법칙, 율법, law")는 히브리어 성경 또는 구약성경의 첫 다섯 편으로, 창세기·출애굽기·레위기·민수기·신명기를 말한다. 모세오경(Five Books of Moses) 또는 펜타튜크(그리스어: Πεντάτευχος, 영어: Pentateuch)라고도 한다.

유대교의 전통에 따르면 토라모세으로부터 직접 받았거나 또는 영감을 받아 기록한 것이라고 한다. 토라유대교에서 가장 중요한 성전이다. 모세으로부터 받았다고 하는 십계명과 모세가 기록하였다고 하는 토라유대교의 종교적 토대를 이룬다. 또한 모세유대교에서 가장 중요한 예언자이다.[3][4] 모세오경은 단순히 토라 또는 글로 쓰여진 토라(Written Torah)라고 한다. 유대교 전통에 따르면, 글로 쓰여진 토라에 담지 못한 내용이 구전 율법(Oral Law) 즉 구전 토라(Oral Torah)의 형태로 전승되어 내려왔다.

타나크 편집

타나크(히브리어: תנ"ך, 영어: Tanakh)는 유대교의 성경인 히브리어 성경을 가리킨다. 유대교 성경은 전통적으로 다음 세 부류로 이루어진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타나크라는 낱말은 이 세 부류의 히브리어 첫 글자를 사용해 합성하여 만들어진 이름이다.

탈무드 편집

탈무드(히브리어: תלמוד, 영어: Talmud)는 유대교의 율법(law), 윤리(ethics), 철학(philosophy), 관습(customs) 및 역사(history) 등에 대한 랍비의 토론을 담은 유대교의 성전으로 주류 유대교의 중심을 이루는 문헌이다.

탈무드는 기원후 220년 경에 형성된 미슈나(Mishnah)와 기원후 500년 경에 형성된 게마라(Gemara)로 구성되어 있다. 미슈나는 유대교의 구전 율법(Oral Law) 즉 구전 토라(Oral Torah)를 최초로 집성하여 기록한 것이다. 게마라미슈나에 대한 토론과 탄나임(Tannaim) 즉 미슈나 시대(1-220 CE)의 현자들 또는 랍비들의 관련 저작을 포함하고 있다. 이 때문에 게마라에서 다루는 주제는 토라에 한정되지 않고 타나크 전체를 포괄하는 경우가 흔하다. 또한 게마라에서는 미슈나에 포함되지 않은 탄나임의 견해를 수록하여 미슈나의 해당 구절들과 비교하는 경우가 다수 있는데, 이러한 미슈나 밖의 탄나임의 견해를 바라이타(Baraita)라고 한다.

미슈나 편집

미슈나(히브리어: משנה, 영어: Mishnah)는 유대교의 구전(口傳) 율법, 즉 구전 토라(Oral Torah)를 기록한 것이다. 기원후 220년경 예후다 하나시(히브리어: יהודה הנשיא, 발음: 예후다 하나시(Yehuda haNasi), 영어: Judah haNasi)에 의해 편찬되었다. 총 6부로 구성되어 있다. 미슈나 시대(1-220 CE)의 현자들 또는 랍비들을 탄나임(Tannaim)이라 한다.

AcharonimRishonimGeonimSavoraimAmoraimTannaimZugot

랍비들의 시대: 쥬고트(Zugot· 탄나임(Tannaim· 아모라임(Amoraim· 사보라임(Savoraim· 게오님(Geonim· 리쉬오님(Rishonim· 아카로님(Acharonim)

미슈나는 다음의 6부로 구성되어 있다.

게마라 편집

게마라(히브리어: גמרא, 영어: Gemara)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완성(completion)"과 "공부(learning)"이다. 기원후 220년 경의 미슈나의 성립 후, 이후의 3세기 동안 팔레스타인바빌로니아의 랍비들은 미슈나를 연구하고 토론하였다. 게마라는 이러한 연구와 토론의 성과물들을 집성한 문헌이다. 게마라 시대의 랍비들을 아모라임(Amoraim)이라 한다. 또한 아모라임은, 탈무드가 문헌으로 존재하기 훨씬 전부터, 미슈나에 나오는 각각의 율법에 대해 정확한 성경적 근거를 확인하고 미슈나의 여러 율법들 간의 논리적 연관 관계를 탐구하였는데 이러한 활동을 '탈무드(talmud)'라고 하였다.[5]

AcharonimRishonimGeonimSavoraimAmoraimTannaimZugot

랍비들의 시대: 쥬고트(Zugot· 탄나임(Tannaim· 아모라임(Amoraim· 사보라임(Savoraim· 게오님(Geonim· 리쉬오님(Rishonim· 아카로님(Acharonim)

바라이타 편집

바라이타(아람어: ברייתא, 영어: Baraita)는 미슈나(Mishnah)의 6부에 포함되지 못했으나 구전으로 전해져 온 율법들이다. 주로 미슈나의 율법들의 다른 버전 또는 보다 상세한 설명들이다.

바빌로니아 탈무드와 예루살렘 탈무드 편집

게마라 시대의 랍비들인 아모라임(Amoraim)에 의해 탈무드가 성립되었다. 당시에 아모라임바빌로니아팔레스타인의 두 곳에 별도로 존재하였는데 이 결과 서로 다른 두 종의 탈무드, 즉 바빌로니아 탈무드예루살렘 탈무드가 형성되었다. 그냥 탈무드라고 하면 바빌로니아 탈무드를 의미한다.

AcharonimRishonimGeonimSavoraimAmoraimTannaimZugot

랍비들의 시대: 쥬고트(Zugot· 탄나임(Tannaim· 아모라임(Amoraim· 사보라임(Savoraim· 게오님(Geonim· 리쉬오님(Rishonim· 아카로님(Acharonim)

  • 예루살렘 탈무드(Talmud Yerushalmi, 영어: Jerusalem Talmud): 예루살렘 탈무드는 팔레스타인 탈무드(Palestinian Talmud)라고도 한다.[7] 예루살렘 탈무드는 기원후 350년 경에 고대 이스라엘(Land of Israel)에 거주하던 유대교 학자들인 고대 이스라엘 지역의 아모라임에 의해, 미슈나와 수 세기 전부터 구전으로 전수되어 오던 유대교의 가르침들을 집성하여 성립되었다.[7] 예루살렘 탈무드는 티베리아스 학파(Tiberias), 세포리스 학파(Sepphoris) 그리고 카이사리아 학파(Caesarea)의 가르침들을 집성한 것이다. 지역 관계상 이 학파들은 고대 이스라엘의 농업 관련 율법의 분석에 힘을 기울였다. 전통에 따르면, 예루살렘 탈무드는 랍비 무나(Rav Muna)와 랍비 요시(Rav Yossi)에 의해 350년 경에 편찬되었다고 여겨지고 있다. 전통적으로 "예루살렘 탈무드"라고 불리지만, 이 탈무드는 예루살렘에서 편찬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 이름은 다소 혼란을 일으킬 여지가 있다. 때문에 보다 정확한 명칭으로 "고대 이스라엘의 탈무드(Talmud of the Land of Israel)"라고 불리곤 하였다.[8]

미드라시 편집

미드라시(히브리어: מדרש, 영어: Midrash)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조사(investigation)" 또는 "연구(study)"이다. 히브리어 성경타나크를 해석하는 방법을 뜻하는 낱말이기도 하고 또한 이를 통해 형성된 해석적 문헌들 전체를 지칭하는 낱말이기도 하다. 방법적인 측면에서, 미드라시타나크를 문자 그대로의 의미로 해석하기 보다는 더욱 깊은 의미를 발견하고 연구하려는 방법이다. 크게 "할라카식 미드라시(Midrash halakha 또는 Halakhic midrash)"와 "아가다식 미드라시(Midrash aggadah 또는 Aggadic midrash)"의 두 가지로 나뉜다. 전자는 유대교의 율법인 할라카(Halakha)와의 관계에서 타나크를 연구하는 것이고 후자는 유대교의 율법 밖에서 타나크의 원문을 해석하는 것이다. 미드라시미슈나의 차이점은 미드라시타나크를 구절별로 연구·해석하는 것이고 미슈나타나크를 주제별로 연구·해석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개별 주제에 대해서 미슈나미드라시보다 더 자세한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미슈나의 주제별 구성은 미슈나탈무드의 전체적인 뼈대가 되게 하였다.

할라카식 미드라시 편집

할라카식 미드라시(Midrash halakha 또는 Halakhic midrash)

아가다식 미드라시 편집

아가다식 미드라시(Midrash aggadah 또는 Aggadic midrash)

타나크의 구성 편집

Hebrew Bible
Judaism portal
Christianity portal
v  d  e  h

타나크는 총 24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토라의 성립에 대한 현대 학자들의 견해 편집

 
Diagram of the Documentary Hypothesis.
J Yahwist source: c. 950 BCE
E Elohist source: c. 850 BCE
D Deuteronomist: c. 600 BCE
P Priestly source*: c. 500 BCE
JEJEDJEDPTorah c. 450 BCE
* includes most of Leviticus
includes most of Deuteronomy
"Deuteronomic history": Joshua, Judges, 1 & 2 Samuel, 1 & 2 Kings

Some critical scholars oppose the view that the sacred texts, including the Hebrew Bible, were divinely inspired. Many of these scholars accept the general principles of the documentary hypothesis and suggest that the Torah consists of inconsistent texts edited together in a way that calls attention to divergent accounts.[9][10][11] Many suggest that during the First Temple period, the people of Israel believed that each nation had its own god, but that their god was superior to other gods.[12][13] Some suggest that strict monotheism developed during the Babylonian Exile, perhaps in reaction to Zoroastrian dualism.[14] In this view, it was only by the Hellenic period that most Jews came to believe that their god was the only god, and that the notion of a clearly bounded Jewish nation identical with the Jewish religion formed.[15]

John Day argues that the origins of biblical Yahweh, El, Asherah, and Ba'al, may be rooted in earlier Canaanite religion, which was centered on a pantheon of gods much like the Greek Pantheon.[16]

Julius Wellhausen's contribution was to order these sources chronologically as JEDP, giving them a coherent setting in the evolving religious history of Israel, which he saw as one of ever-increasing priestly power. Wellhausen's formulation was:

 
Distribution of materials of Jahwist, Elohist and Priestly sources, as well as Redactor's contribution in the first four books, following Richard Friedman.

유대교의 분파 편집

유대교의 분파(Jewish religious movements 또는 Jewish denominations)는 크게 "예수 시대의 분파", "디아스포라에 따른 지역별 분파", "중세의 분파", "현대의 분파"의 4가지 측면에서 논의할 수 있다. 이들 중 두 번째의 "디아스포라에 따른 지역별 분파"는 특정한 분파 조직의 형태는 아니며 세계 각지의 유대인들이 채택하고 있는 유대교 의식과 문화가 지역별로 차이가 있음에 따른 구분이다. 이는 현대에 이스라엘이라는 나라가 성립되기 이전에는 역사적으로 유대인들이 세계의 여러 지역(특히, 유럽)에 흩어져서 살았는데 그러면서도 유대인들은 자신들의 종교적 전통을 유지하였으며 이에 따라 자신들이 채택하고 따른 유대교 의식과 문화가 다른 지역의 유대인들과는 달라지게 된 것에 연유한다. "중세 시대의 분파"는 기원후 1-500 CE 동안 성립되어 이후 유대교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는 랍비 유대교와는 다른 견해를 가진 분파들이 중세 시대(c. 400/476 - 1453/1517) 동안 생겨남에 따른 것이다.

예수 시대의 분파 편집

예수 시대, 즉 기원후 1세기 경에는 유대교의 주된 분파로는 바리사이파, 사두가이파, 에세네파가 있었다. 이 분파들은 당대의 인물이었떤 필론요세푸스에 의해서 언급되고 있다. 이 분파들외에도 여러 소분파들이 있었다. 학자에 따라 열심당을 정치 단체이기는 하지만 종교적 성격을 지닌 유대교의 분파로 포함시키는 경우가 있다.

에세네파에 대해서는 사해문서가 발견된 쿰란 동굴의 공동체와 동일한 분파라고 보는 경해와 쿰란 동굴의 공동체가 별도의 분파라고 보는 견해가 있다. 또한 예수세례자 요한에세네파에 속했으며 에세네파기독교]의 등장에 주요한 역할을 하였다는 주장도 있다. 이러한 주장을 하는 사람들이 드는 근거 중에 하나는 예수바리사이파사두가이파에 대해서는 비난을 하지만 에세네파에 대해서는 비난하지 않았다는 정황적 증거가 있다. 그러나, 현대의 학자들 대다수의 견해는 기독교를 형성하게 된 유대인들은 그룹은 당시에서 "나사렛파"라고 불린 유대교의 소그룹이었다고 보고 있으며, 이 그룹과 "에세네파"는 관련이 없다고 보고 있다.

바리사이파 편집

바리사이파(바리새파, 히브리어: פרושים Perushim 페루심, 영어: Pharisees)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따로 떼어 두다(set apart)"이다.[17] 두 번째 성전 시대(Second Temple period: 516 BCE-70 CE) 중 하스모니아 왕조(Hasmonean dynasty: 140–37 BCE) 시대에 활발히 활동한 유대교 분파였다.

사두가이파가, 주로 사제들과 귀족 계급들로 구성된[18], 권력을 가진 부유한 특권층들의 집단이었던 반면 바리새이파는 상대적으로 가난한 유대교 학자들의 집단이었다. 바리사이파는 예수 당시에 다른 분파들보다 더 민중의 지지와 호의를 받고 있었다. 기원후 70년의 두 번째 성전의 파괴 후 바리사이파는 후대의 랍비 유대교(Rabbinic Judaism)의 원천이 되었다. 바리사이파의 후예들이 유대교의 주요 성전(聖典)들인 미슈나 · 게마라 · 탈무드 · 미드라시 등을 1-500 CE 동안 성립시켰다. 현대의 유대교 분파들 중 카라이테파를 제외한 다른 모든 유대교 분파들이 바리새이파에서 기원하였다.

유대교의 역사와 문헌들과의 별도의 사항으로, 바리사이파세례자 요한[19]예수와 대립하였던 것으로 신약성경에 나온다. 또한 바울기독교로 개종하기 전에 바리사이파에 속했던 것으로 신약성경의 여러 곳에서 언급되고 있다.[20] 바리사이파가 널리 세상에 알려진 것은 기독교의 영향이 컸다.

사두가이파 편집

사두가이파(사두개파, 히브리어: צדוקים Tzedukim 체두킴, 영어: Sadducees)는 기원전 2세기 경에 성립되었다. 사두가이파의 구성원은 사제 즉 유대교의 제사장들과 귀족 계급이었다. 이들은 고대 이스라엘의 특권 계층을 이루었다. 당시에 바리사이파와 대립하였다. 사두가이파의 구성원에 사제가 있었던 관계로 이들은 특히 성전(聖殿)을 중시하였다. 사두가이파는 기원후 70년의 두 번째 성전의 파괴 후 사라진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현대의 카라이테파(Karaite Judaism)는 사두가이파의 후예들이라고 여겨지고 있다.

에세네파 편집

에세네파는 쿰란공동체라고 불리는 공동체생활을 하던 유대교의 한 조류이다. 에세네파가 쿰란공동체라고 불리는 이유는 이들이 금욕생활을 하던 정착지가 쿰란(Qumran)동굴이었기 때문이다. 이들은 앞으로 도래할 종말에 대한 기대와 신앙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사회와 격리되려는 경향이 강하였다. 유대독립전쟁의 와중에 로마 군에 의해서 궤멸된 것으로 보이며, 이들 공동체의 유적에서 현존하는 구약성서 사본들중 가장 오래된 사해사본1947년 베드윈청소년에 의해 발견되기도 했다.

The Essenes (Hebrew: אִסִּיִים, Isiyim; Greek: Εσσηνοι, Εσσαίοι, or Οσσαιοι; Essēnoi, Essaioi, Ossaioi) were a Jewish religious group that flourished from the 2nd century BCE to the 1st century CE that some scholars claim seceded from the Zadokite priests.[21] Being much fewer in number than the Pharisees and the Sadducees (the other two major sects at the time) the Essenes lived in various cities but congregated in communal life dedicated to asceticism, voluntary poverty, daily baptisms, and abstinence from worldly pleasures, including marriage. Many separate but related religious groups of that era shared similar mystic, eschatological, messianic, and ascetic beliefs. These groups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by various scholars as the "Essenes." Josephus records that Essenes existed in large numbers, and thousands lived throughout Judæa. The Essenes believed they were the last generation of the last generations and anticipated Teacher of Righteousness, Aaronic High Priest,[출처 필요] and High Guard Messiah,[출처 필요] similar to the Prophet, Priest and King expectations of the Pharisees. The Essenes have gained fame in modern times as a result of the discovery of an extensive group of religious documents known as the Dead Sea Scrolls, commonly believed to be their library. These documents include preserved multiple copies of the Hebrew Bible untouched from as early as 300 BCE until their discovery in 1946. Some scholars, however, dispute the notion that the Essenes wrote the Dead Sea Scrolls.[22] One scholar, Rachel Elior, even argues that the group never existed.[23][24][25]

열심당 편집

열심당이라는 낱말의 히브리 어원은 "카나이"(히브리어: קנאי kanai)이며 복수형은 "카나임"(히브리어: קנאי kana'im)이다. "카나이"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열심인 사람(zealous)"이다. "카나이"는 그리스어 "젤로테스"(그리스어: ζηλωτής zelotes[*])에서 뜻을 따서 유래한 것인데 "젤로테스"는 "따라 하는 사람(emulator)" 또는 "열성적인 찬미자 혹은 추종자(zealous admirer or follower)"를 뜻한다.[26][27]

열심당은 원래는 두 번째 성전 시대의 유대교(Second Temple Judaism: 516 BCE-70 CE)의 기간 중 기원후 1세기의 정치적인 운동이었다. 이들은 로마 제국의 식민통치에 폭력항쟁으로 맞설 것을 주장하였다. 열심당은 기원후 66-73년 동안의 대대적인 유대인 반란인 제1차 유대-로마 전쟁(Great Jewish Revolt)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들은 66년 예루살렘을 장악하여 4년간 버텼으나 70년에 로마군이 예루살렘을 함락시키고 성전을 파괴하는 것—두 번째 성전의 파괴(Destruction of the Second Temple)—으로 전쟁이 끝났다. 이 유대인 반란의 패배의 결과로 유대인은 자신의 국가를 잃어버리고 흩어져 로마 제국의 전역으로 퍼져나가게 되는 디아스포라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요세푸스(Josephus)는 열심당을 당시의 유대교 네 분파들 중의 하나로 서술하였다.

사마리아인들의 종교 편집

사마리아인들(Samaritans)은 유대교의 가르침과 유사한 종교를 가졌는데, 전통에 따르면 이들의 종교는 유대교에서 분리되어 나온 것이라고 여겨지고 있다.

기독교 편집

로마인들에게 후에 기독교(Christianity)를 이루게 된 사람들의 그룹은 당시에 '나사렛 도둑', '나사렛 도당', 또는 '나자렛 사람'이라 불리었던[28] 유대교의 소종파에 불과했으며,[29] 이들도 또한 유대교의 신앙전통을 따랐다.[30][31] 그러나 A.D 90년 유대교에서 '나사렛 사람'들을 저주하는 기도문을 발표하면서 유대교 소종파로서의 성격을 잃게 되었다. 이 그룹의 가르침은 로마 제국 내의 비 유대인사이에 전파되어 기독교라는 새로운 세계종교로 발달해 가게 된다.

디아스포라에 따른 지역별 분파 편집

두 번째 성전의 파괴와 디아스포라 편집

틀:유대 - 로마 전쟁 기원후 70년에 발생한 두 번째 성전의 파괴(Destruction of the Second Temple)는 유대교의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들 중의 하나이다. 두 번째 성전 시대(Second Temple period: 516 BCE-70 CE) 동안 유대교의 종교적 중심지는 예루살렘의 성전이었다. 당시에 예루살렘 성전은 예배하는 장소이자 교육하는 중심지였으며, 주로 구전을 통해 가르침을 전수하였다. 그리고 이 시대 동안에는 사제 계급이 큰 영향력을 가졌다.

두 번째 성전이 파괴됨에 따라 주로 사제들과 귀족들로 구성된 사두가이파는 사실상 완전히 사라지게 되고, 두 번째 성전의 파괴와 관련된 반란의 결과로 열심당은 로마 군대에 의해 죽임을 당하였다. 또한 에세네파기독교의 출현과 더불어 해체되었다. 이 결과 기원후 1세기 당시의 유대교의 네 분파들 중 바리사이파 만이 명맥을 유지하게 되었다.

그리고 예배하고 교육하는 장소로서의 성전이 사라짐에 따라 구전으로 가르침을 전수하는 방식도 변화되어야 했다. 이에 따라 바리사이파의 후예들인 유대교 랍비들은 구전 토라를 집성하여 기원후 220년 경에 미슈나를 성립시켰다. 그리고 이후의 300여년간 미슈나에 대해 계속 연구하고 토론하여 게마라를 성립시키고, 최종적으로 미슈나게마라를 집성하여 기원후 500년 경에 탈무드가 완성되었다. 이에 따라 탈무드를 핵심으로 하는 랍비 유대교가 완전히 성립되었으며, 랍비 유대교카라이테파를 제외한 현대의 모든 유대교 분파들의 모체가 되었다.

After a Jewish revolt against Roman rule in 66 CE, the Romans all but destroyed Jerusalem. Following a second revolt, Jews were not allowed to enter the city of Jerusalem and most Jewish worship was forbidden by Rome. Following the destruction of Jerusalem and the expulsion of the Jews, Jewish worship stopped being centrally organized around the Temple, prayer took the place of sacrifice, and worship was rebuilt around rabbis who acted as teachers and leaders of individual communities (see Jewish diaspora).

또한 두 번째 성전의 파괴와 관련된 반란이 패배로 결과됨에 따라 유대인은 자신의 국가를 잃어버리고 흩어져 로마 제국의 전역으로 퍼져나가게 되는 디아스포라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후에 유대인들은 중세 시대 동안 지금의 스페인 · 포르투갈 · 독일 등의 유럽 지역으로 퍼져나가는데 그 후 지역별로 신봉하고 따르는 유대교 율법과 관습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세파라딤 · 아슈케나짐 등과 같은 지역에 따른 유대인 또는 유대교의 구분이 생기게 되었다.

아슈케나짐·독일/폴란드계 유대인 편집

Over a long time, Jews formed distinct ethnic groups in several different geographic areas — amongst others, the Ashkenazi Jews (of central and Eastern Europe), the Sephardi Jews (of Spain, Portugal, and North Africa), the Beta Israel of Ethiopia, and the Yemenite Jews from the southern tip of the Arabian Peninsula. Many of these groups have developed differences in their prayers, traditions and accepted canons; however these distinctions are mainly the result of their being formed at some cultural distance from normative (rabbinic) Judaism, rather than based on any doctrinal dispute.

세파라딤·스페인/포르투갈계 유대인 편집

북아프리카계 유대인 편집

에티오피아계 유대인 편집

중동계 유대인 편집

예멘계 유대인 편집

중세의 분파 편집

카라이테 유대교 편집

en:Karaite Judaism

Like the Sadducees who relied only on the Torah, some Jews in the 8th and 9th centuries rejected the authority and divine inspiration of the oral law as recorded in the Mishnah (and developed by later rabbis in the two Talmuds), relying instead only upon the Tanakh. These included the Isunians, the Yudganites, the Malikites, and others. They soon developed oral traditions of their own, which differed from the rabbinic traditions, and eventually formed the Karaite sect. Karaites exist in small numbers today, mostly living in Israel. Rabbinical and Karaite Jews each hold that the others are Jews, but that the other faith is erroneous.

하시디즘 운동 편집

Hasidism or Hasidic Judaism

Hasidic Judaism was founded by Yisroel ben Eliezer (1700–1760), also known as the Ba'al Shem Tov (or Besht). It originated in a time of persecution of the Jewish people, when European Jews had turned inward to Talmud study; many felt that most expressions of Jewish life had become too "academic", and that they no longer had any emphasis on spirituality or joy. His disciples attracted many followers; they themselves established numerous Hasidic sects across Europe. Hasidic Judaism eventually became the way of life for many Jews in Europe. Waves of Jewish immigration in the 1880s carried it to the United States. The movement itself claims to be nothing new, but a refreshment of original Judaism. Or as some have put it: "they merely re-emphasized that which the generations had lost".[32] Nevertheless, early on there was a serious schism between Hasidic and non-Hasidic Jews. European Jews who rejected the Hasidic movement were dubbed by the Hasidim as Misnagdim, (lit. "opponents"). Some of the reasons for the rejection of Hasidic Judaism were the overwhelming exuberance of Hasidic worship, its untraditional ascriptions of infallibility and alleged miracle-working to their leaders, and the concern that it might become a messianic sect. Since then differences between the Hasidim and their opponents have slowly diminished and both groups are now considered part of Haredi Judaism.

현대의 분파 편집

하스칼라와 현대 유대교 분파의 성립 편집

In the late 18th century CE, Europe was swept by a group of intellectual, social and political movements known as the Enlightenment. The Enlightenment led to reductions in the European laws that prohibited Jews to interact with the wider secular world, thus allowing Jews access to secular education and experience. A parallel Jewish movement, Haskalah or the "Jewish Enlightenment", began, especially in Central Europe, in response to both the Enlightenment and these new freedoms. It placed an emphasis on integration with secular society and a pursuit of non-religious knowledge such as reason. The thrust and counter-thrust between supporters of Haskalah and more traditional Jewish concepts eventually led to the formation of a number of different branches of Judaism: Haskalah supporters founded Reform Judaism and Liberal Judaism, while traditionalists founded what is called Orthodox Judaism, and Jews seeking a balance between the two sides founded Masorti and Conservative Judaism. A number of smaller groups came into being as well.

하스칼라 지지자들에 의한 분파 편집

개혁파 유대교 편집

Reform Judaism

자유주의파 유대교 편집

Liberal Judaism

하스칼라 반대자들에 의한 분파 편집

정통파 유대교 편집

Orthodox Judaism

하레디 유대교 편집

Haredi Judaism

하시디즘 유대교 편집

Hasidic Judaism

현대 정통파 유대교 편집

Modern Orthodix Judaism

중도적 입장을 가진 분파 편집

보수파 유대교 편집

Masorti and Conservative Judaism

최근의 추세 편집

Spectrum of observance 편집

 
Judaism has spread to all corners of the world. Seen here is a synagogue in downtown Mumbai.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Israel, Canada, United Kingdom, Argentina and South Africa contain large Jewish populations. Jewish religious practice varies widely through all levels of observance. According to the 2001 edition of the National Jewish Population Survey, in the United States' Jewish community—the world's second largest—4.3 million Jews out of 5.1 million had some sort of connection to the religion. Of that population of connected Jews, 80% participated in some sort of Jewish religious observance, but only 48% belonged to a synagogue, and fewer than 16% attend regularly.[33]

Birth rates for American Jews have dropped from 2.0 to 1.7.[34] (Replacement rate is 2.1.) Intermarriage rates range from 40-50% in the US, and only about a third of children of intermarried couples are raised as Jews. Due to intermarriage and low birth rates, the Jewish population in the US shrank from 5.5 million in 1990 to 5.1 million in 2001. This is indicative of the general population trends among the Jewish community in the Diaspora, but a focus on total population obscures growth trends in some denominations and communities, such as Haredi Judaism. The Baal teshuva movement is a movement of Jews who have "returned" to religion or become more observant.

주요 인물 편집

주석 편집

  1. 유대 대백과사전(Jewish Encyclopedia)》의 "Torah" 항목
  2. 유대 대백과사전(Jewish Encyclopedia)》의 "Talmudic Law: Three Historical Periods of Jewish Law" 항목
  3. Deuteronomy 34:10
  4. Maimonides, 13 principles of faith, 7th principle
  5. e.g. Pirkei Avot 5.21: "five for the Torah, ten for Mishnah, thirteen for the commandments, fifteen for talmud".
  6. "Early compilations » The making of the Talmuds: 3rd–6th century". Encyclopædia Britannica.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2008. 2009년 6월 21일에 확인.
  7. “Palestinian Talmud”.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Encyclopædia Britannica. 2010. 2010년 8월 4일에 확인함. 
  8. The Yerushalmi--the Talmud of the land of Israel: an introduction, Jacob Neusner, J. Aronson, 1993
  9. Yehezkal Kauffman, The Religion of Israel
  10. Robert Alter The Art of Biblical Poetry
  11. E. A. Speiser Genesis (The Anchor Bible)
  12. John Bright A History of Israel
  13. Martin Noth The History of Israel
  14. Ephraim Urbach The Sages
  15. Shaye Cohen The beginnings of Jewishness
  16. John Day Yahweh and the Gods and Goddesses of Canaan, page 68.
  17. Ernest Klein - Comprehensive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Hebrew Language
  18. http://www.jewishvirtuallibrary.org/jsource/History/deadsea.html#Essenes
  19. Matthew 3:1–7,Luke 7:28–30
  20. Apostle Paul as a Pharisee Acts 26:5 See also Acts 23:6,Philippians 3:5
  21. F.F. Bruce, Second Thoughts On The Dead Sea Scrolls. Paternoster Press, 1956.
  22. Hillel Newman, Ph.D Bar Ilan University : Proximity to Power and Jewish Sectarian Groups of the Ancient Period Brill ISBN 9004146997.
  23. Ilani, Ofri (2009년 3월 13일). “Scholar: The Essenes, Dead Sea Scroll 'authors,' never existed”. 《Haaretz. 2009년 3월 17일에 확인함. 
  24. McGirk, Tim (2009년 3월 16일). “Scholar Claims Dead Sea Scrolls 'Authors' Never Existed”. 《Time. 2009년 3월 17일에 확인함. 
  25. “Rachel Elior Responds to Her Critics”. Jim West. 2009년 3월 15일. 2009년 3월 17일에 확인함. 틀:Verify credibility
  26. Zealot, Online Etymology Dictionary
  27. Zelotes, Henry George Liddell,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at Perseus
  28. 사도행전 24:5. 개역개정판에서는 '나사렛 이단'으로 번역되어 있다.
  29. 사도행전 16:20,23:29
  30. 사도행전 24:14
  31. 사도행전 21:20
  32. "The Maggid of Mezritch" Chapter 7 - Opposition Intensifies”. Nishmas.org. 2010년 8월 22일에 확인함. 
  33. http://www.harrisinteractive.com/vault/Harris-Interactive-Poll-Research-While-Most-Americans-Believe-in-God-Only-36-pct-A-2003-10.pdf Religious service attendance at least once a month
  34. This is My Beloved, This is My Friend: A Rabbinic Letter on Intimate relations, p. 27, Elliot N. Dorff
  35. Qur'an 19:51–51
  36. Juan R.I. Cole (7/10/98). “Baha'u'llah on the Life of Jesus”. 2008년 8월 1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