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
K
{\displaystyle K}
위의 설리번 대수
(
B
,
≤
,
deg
,
d
)
{\displaystyle (B,\leq ,\deg ,\mathrm {d} )}
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3] :Definition 1.10
정렬 집합
(
B
,
≤
)
{\displaystyle (B,\leq )}
. 이로부터
K
{\displaystyle K}
-벡터 공간
V
=
Span
K
B
{\displaystyle V=\operatorname {Span} _{K}B}
을 정의할 수 있다.
함수
deg
:
B
→
N
{\displaystyle \deg \colon B\to \mathbb {N} }
. 이로부터 등급 벡터 공간
V
=
⨁
i
∈
N
V
i
{\displaystyle \textstyle V=\bigoplus _{i\in \mathbb {N} }V_{i}}
,
V
i
=
Span
{
b
∈
B
:
deg
b
=
i
}
{\displaystyle \textstyle V_{i}=\operatorname {Span} \{b\in B\colon \deg b=i\}}
을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이로부터 외대수
⋀
(
V
)
{\displaystyle \textstyle \bigwedge (V)}
를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가환
K
{\displaystyle K}
-등급 대수 를 이룬다.
함수
d
:
B
→
⋀
(
V
)
{\displaystyle \textstyle \mathrm {d} \colon B\to \bigwedge (V)}
. 이는 선형성 및 곱 규칙 을 사용하여 미분 연산
d
:
⋀
(
V
)
→
⋀
(
V
)
{\displaystyle \textstyle \mathrm {d} \colon \bigwedge (V)\to \bigwedge (V)}
로 연장된다.
이는 두 다음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임의의
b
∈
B
{\displaystyle b\in B}
에 대하여,
d
b
∈
⋀
(
Span
K
{
c
∈
B
:
c
<
b
}
)
{\displaystyle \textstyle \mathrm {d} b\in \bigwedge (\operatorname {Span} _{K}\{c\in B\colon c<b\})}
이다.
(
⋀
(
V
)
,
∧
,
d
)
{\displaystyle \textstyle (\bigwedge (V),\wedge ,\mathrm {d} )}
는 가환 미분 등급 대수 를 이룬다.
설리번 대수
(
B
,
≤
,
deg
,
d
)
{\displaystyle (B,\leq ,\deg ,\mathrm {d} )}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최소 설리번 대수 (最少Sullivan代數, 영어 : minimal Sullivan algebra )라고 한다.
deg
:
(
B
,
≤
)
→
(
N
,
≤
)
{\displaystyle \deg \colon (B,\leq )\to (\mathbb {N} ,\leq )}
는 증가 함수 이다. 즉, 임의의
b
,
c
∈
B
{\displaystyle b,c\in B}
에 대하여
b
≤
c
{\displaystyle b\leq c}
라면
deg
b
≤
deg
c
{\displaystyle \deg b\leq \deg c}
이다.[ 3] :Definition 1.10
보다 일반적으로, 설리번 대수의 개념을 다음과 같이 상대화할 수 있다.
체
K
{\displaystyle K}
위의 가환 미분 등급 대수
A
{\displaystyle A}
위의 상대 설리번 대수 (相對Sullivan代數, 영어 : relative Sullivan algebra )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정렬 집합
(
B
,
≤
)
{\displaystyle (B,\leq )}
. 이로부터
K
{\displaystyle K}
-벡터 공간
V
=
Span
K
B
{\displaystyle V=\operatorname {Span} _{K}B}
을 정의할 수 있다.
함수
deg
:
B
→
N
{\displaystyle \deg \colon B\to \mathbb {N} }
. 이로부터 등급 벡터 공간
V
=
⨁
i
∈
N
V
i
{\displaystyle \textstyle V=\bigoplus _{i\in \mathbb {N} }V_{i}}
,
V
i
=
Span
{
b
∈
B
:
deg
b
=
i
}
{\displaystyle \textstyle V_{i}=\operatorname {Span} \{b\in B\colon \deg b=i\}}
을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이로부터 외대수
⋀
(
V
)
{\displaystyle \textstyle \bigwedge (V)}
를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가환
K
{\displaystyle K}
-등급 대수 를 이룬다.
함수
d
:
B
→
A
⊗
K
⋀
(
V
)
{\displaystyle \textstyle \mathrm {d} \colon B\to A\otimes _{K}\bigwedge (V)}
. 이를 선형성 및 곱 규칙 에 따라
d
:
A
⊗
K
⋀
(
V
)
→
A
⊗
K
⋀
(
V
)
{\displaystyle \textstyle \mathrm {d} \colon A\otimes _{K}\bigwedge (V)\to A\otimes _{K}\bigwedge (V)}
로 연장시킬 수 있다.
이는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임의의
a
∈
A
{\displaystyle a\in A}
및
b
∈
B
{\displaystyle b\in B}
에 대하여,
d
b
∈
A
⊗
K
⋀
(
Span
K
{
c
∈
B
:
c
<
b
}
)
{\displaystyle \textstyle \mathrm {d} b\in A\otimes _{K}\bigwedge (\operatorname {Span} _{K}\{c\in B\colon c<b\})}
이다.
(
A
⊗
K
⋀
(
V
)
,
∧
,
d
)
{\displaystyle \textstyle (A\otimes _{K}\bigwedge (V),\wedge ,\mathrm {d} )}
는 가환 미분 등급 대수 를 이룬다.
이 정의에서, 만약
deg
:
(
B
,
≤
)
→
(
N
,
≤
)
{\displaystyle \deg \colon (B,\leq )\to (\mathbb {N} ,\leq )}
가 증가 함수 라면, 이를 최소 상대 설리번 대수 (最小相對Sullivan代數, 영어 : minimal relative Sullivan algebra )라고 한다.
설리번 대수는
(
K
,
d
=
0
)
{\displaystyle (K,\mathrm {d} =0)}
위의 상대 설리번 대수와 같으며, 최소 설리번 대수는
(
K
,
d
=
0
)
{\displaystyle (K,\mathrm {d} =0)}
위의 최소 상대 설리번 대수와 같다.
가환 미분 등급 대수
A
{\displaystyle A}
에 대한 임의의 상대 설리번 대수
(
B
,
≤
,
deg
,
d
)
{\displaystyle (B,\leq ,\deg ,\mathrm {d} )}
에 대하여, 임의의
b
∈
B
{\displaystyle b\in B}
에 대하여,
B
′
=
{
b
′
∈
B
:
b
′
<
b
}
{\displaystyle B'=\{b'\in B\colon b'<b\}}
를 정의하면,
(
B
′
,
≤↾
B
′
2
,
deg
↾
B
′
,
d
↾
B
′
)
{\displaystyle (B',\leq \upharpoonright B'^{2},\deg \upharpoonright B',\mathrm {d} \upharpoonright B')}
역시
A
{\displaystyle A}
위의 상대 설리번 대수를 이룬다. (여기서
↾
{\displaystyle \upharpoonright }
은 함수의 제한을 뜻한다.)
또한, 만약
B
{\displaystyle B}
가 최소 상대 설리번 대수라면
B
′
{\displaystyle B'}
역시 최소 상대 설리번 대수이다.
집합
B
{\displaystyle B}
및 함수
deg
:
B
→
N
{\displaystyle \deg \colon B\to \mathbb {N} }
및 임의의 함수
d
:
B
→
V
=
⋀
(
Span
K
B
)
{\displaystyle \mathrm {d} \colon B\to V=\bigwedge (\operatorname {Span} _{K}B)}
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는 곱 규칙 을 사용하여
d
:
V
→
V
{\displaystyle \mathrm {d} \colon V\to V}
로 연장시킬 수 있다.
(
V
,
d
,
∧
)
{\displaystyle (V,\mathrm {d} ,\wedge )}
가 미분 등급 대수 를 이룬다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3] :Remark 1.11
만약
∀
b
∈
B
:
deg
b
≥
2
{\displaystyle \forall b\in B\colon \deg b\geq 2}
라면,
B
{\displaystyle B}
위에는 항상
(
B
,
≤
,
deg
,
d
)
{\displaystyle (B,\leq ,\deg ,\mathrm {d} )}
가 설리번 대수가 되게 하는 정렬 순서
≤
{\displaystyle \leq }
를 부여할 수 있다.
만약
∀
b
∈
B
:
deg
b
≥
2
{\displaystyle \forall b\in B\colon \deg b\geq 2}
이며, 임의의
b
∈
B
{\displaystyle b\in B}
에 대하여
d
b
∈
⨁
n
≥
2
(
Span
K
B
)
∧
n
{\displaystyle \mathrm {d} b\in \textstyle \bigoplus _{n\geq 2}(\operatorname {Span} _{K}B)^{\wedge n}}
이라면 (즉,
d
b
{\displaystyle \mathrm {d} b}
가 길이 2 이상의 문자열들의 선형 결합 이라면),
B
{\displaystyle B}
위에는 항상
(
B
,
≤
,
deg
,
d
)
{\displaystyle (B,\leq ,\deg ,\mathrm {d} )}
가 최소 설리번 대수가 되게 하는 정렬 순서
≤
{\displaystyle \leq }
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만약
∀
b
∈
B
:
deg
b
≥
2
{\displaystyle \forall b\in B\colon \deg b\geq 2}
일 때, 주어진 설리번 대수와 유사동형인 최소 설리번 대수는 (동형을 무시하면) 유일하다. 즉, 최소 설리번 대수들은 설리번 대수들의 유사동형(의 지그재그)에 대한 동치류들과 전단사 로 대응한다.
임의의 단체 복합체 (와 호모토피 동치 인 위상 공간 )
X
{\displaystyle X}
에 대하여, 유리수 계수 다항식 미분 형식 의 설리번 대수
A
PL
(
X
)
{\displaystyle A_{\text{PL}}(X)}
를 정의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매우 큰 설리번 대수이지만, 이에 대한 최소 설리번 대수는 쉽게 계산하고 다룰 수 있다. 형식적 공간 (영어 : formal space )은 그 유리수 계수 다항식 미분 형식의 설리번 대수가 형식적인 단체 복합체 와 호모토피 동치 인 위상 공간 이다.
위상 공간의 설리번 대수들의 유사동형(의 지그재그) 동치류들은 위상 공간의 유리수 호모토피 동치 (영어 : rational homotopy equivalence )와 같다. 즉, 위상 공간의 유리수 호모토피 동치류는 최소 설리번 대수들로 구별할 수 있다.
단체 복합체 와 호모토피 동치 인 위상 공간
X
{\displaystyle X}
의 유리수 계수 다항식 미분 형식 대수 가 설리번 대수
(
B
,
≤
,
deg
,
d
)
{\displaystyle (B,\leq ,\deg ,\mathrm {d} )}
와 유사동형이라고 하자. 또한,
X
{\displaystyle X}
가 멱영 공간 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π
i
(
X
)
⊗
Z
Q
≅
Span
Q
deg
−
1
(
i
)
{\displaystyle \pi _{i}(X)\otimes _{\mathbb {Z} }\mathbb {Q} \cong \operatorname {Span} _{\mathbb {Q} }\deg ^{-1}(i)}
즉,
X
{\displaystyle X}
의
i
{\displaystyle i}
차 호모토피 군의 계수는 차수
i
{\displaystyle i}
를 갖는 기저 벡터의 수와 같다.
코호몰로지
⨁
i
H
i
(
X
)
{\displaystyle \bigoplus _{i}\operatorname {H} ^{i}(X)}
의 차원이 유한한 연결 단일 연결 최소 설리번 대수
X
{\displaystyle X}
는 다음과 같이 두 종류로 분류될 수 있다.
타원형 (영어 : elliptic ):
dim
⨁
i
π
i
(
X
)
<
∞
{\displaystyle \textstyle \dim \bigoplus _{i}\pi _{i}(X)<\infty }
쌍곡형 (영어 : hyperbolic ):
dim
⨁
i
π
i
(
X
)
=
∞
{\displaystyle \textstyle \dim \bigoplus _{i}\pi _{i}(X)=\infty }
타원형 최소 설리번 대수
X
{\displaystyle X}
에 대하여, 그 생성원의 차수들이
2
a
1
,
2
a
2
,
…
,
2
a
p
{\displaystyle 2a_{1},2a_{2},\dotsc ,2a_{p}}
및
2
b
1
−
1
,
2
b
2
−
2
,
…
,
2
b
q
−
1
{\displaystyle 2b_{1}-1,2b_{2}-2,\dotsc ,2b_{q}-1}
라고 하자. 즉,
p
{\displaystyle p}
개의 짝수 차수 생성원과
q
{\displaystyle q}
개의 홀수 차수 생성원이 존재한다.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3] :Theorem 2.27
∑
i
(
2
b
i
−
1
)
−
∑
j
(
2
a
j
−
1
)
=
fdim
X
{\displaystyle \sum _{i}(2b_{i}-1)-\sum _{j}(2a_{j}-1)=\operatorname {fdim} X}
∑
j
a
j
≤
1
2
fdim
X
{\displaystyle \sum _{j}a_{j}\leq {\frac {1}{2}}\operatorname {fdim} X}
∑
i
(
2
b
i
−
1
)
≤
2
(
fdim
X
)
−
1
{\displaystyle \sum _{i}(2b_{i}-1)\leq 2(\operatorname {fdim} X)-1}
p
≤
q
{\displaystyle p\leq q}
여기서
fdim
X
=
max
{
n
∈
N
:
H
n
(
X
)
≠
0
}
{\displaystyle \operatorname {fdim} X=\max\{n\in \mathbb {N} \colon \operatorname {H} ^{n}(X)\neq 0\}}
은
X
{\displaystyle X}
의 형식적 차원 (영어 : formal dimension )이다.
쌍곡형 최소 설리번 대수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호모토피 군 들의 차원은 기하 수열 이상으로 증가한다. 즉,
∀
n
≥
N
:
∑
i
n
π
n
(
X
)
≥
C
n
{\displaystyle \forall n\geq N\colon \sum _{i}^{n}\pi _{n}(X)\geq C^{n}}
이 되는 실수
C
>
1
{\displaystyle C>1}
및 자연수
N
∈
N
{\displaystyle N\in \mathbb {N} }
이 존재한다.[ 3] :Theorem 2.33
임의의
k
≥
1
{\displaystyle k\geq 1}
에 대하여,
π
i
(
X
)
≠
0
{\displaystyle \pi _{i}(X)\neq 0}
이며
k
<
i
<
k
+
n
{\displaystyle k<i<k+n}
인
i
∈
Z
{\displaystyle i\in \mathbb {Z} }
가 존재한다.[ 3] :Theorem 2.34
임의의
k
≫
1
{\displaystyle k\gg 1}
에 대하여,
∀
n
≥
N
:
∑
i
=
k
+
1
k
+
n
−
1
dim
π
i
(
X
)
≥
dim
π
k
(
X
)
dim
H
∙
(
X
)
{\displaystyle \forall n\geq N\colon \sum _{i=k+1}^{k+n-1}\dim \pi _{i}(X)\geq {\frac {\dim \pi _{k}(X)}{\dim \operatorname {H} ^{\bullet }(X)}}}
인
k
<
i
<
k
+
n
{\displaystyle k<i<k+n}
가 존재한다.[ 3] :Theorem 2.34
임의의 정렬 집합
(
B
,
≤
)
{\displaystyle (B,\leq )}
및 임의의 증가 함수
deg
:
B
→
N
{\displaystyle \deg \colon B\to \mathbb {N} }
에 대하여, 자명한 미분
d
b
=
0
{\displaystyle \mathrm {d} b=0}
을 부여하자. 그렇다면,
(
B
,
≤
,
deg
,
0
)
{\displaystyle (B,\leq ,\deg ,0)}
은 최소 설리번 대수를 이룬다.
특히,
B
=
∅
{\displaystyle B=\varnothing }
일 때,
(
K
,
d
=
0
)
{\displaystyle (K,\mathrm {d} =0)}
은
K
{\displaystyle K}
위의 최소 설리번 대수를 이룬다.
n
{\displaystyle n}
차원 초구
S
n
{\displaystyle \mathbb {S} ^{n}}
의 유리수 계수 코호몰로지 는 다음과 같다.
dim
Q
H
k
(
S
n
)
⊗
Z
Q
=
{
1
k
=
0
,
n
0
k
≠
0
,
n
{\displaystyle \dim _{\mathbb {Q} }\operatorname {H} ^{k}(\mathbb {S} ^{n})\otimes _{\mathbb {Z} }\mathbb {Q} ={\begin{cases}1&k=0,n\\0&k\neq 0,n\end{cases}}}
따라서, 홀수 차원의 초구의 경우, 최소 설리번 모형은 차수
n
{\displaystyle n}
의 생성원
a
{\displaystyle a}
하나만을 가지며, 이 경우
d
a
=
0
{\displaystyle \mathrm {d} a=0}
이다.[ 2] :259–260, Example 19.1 즉,
B
=
{
a
}
{\displaystyle B=\{a\}}
deg
:
a
↦
1
{\displaystyle \deg \colon a\mapsto 1}
d
a
=
0
{\displaystyle \mathrm {d} a=0}
이다.
짝수 차원의 초구의 경우, 최소 설리번 모형은 차수
n
{\displaystyle n}
의 생성원
a
{\displaystyle a}
를 가지지만,
a
{\displaystyle a}
가 짝수 차수를 가지므로
a
2
≠
0
{\displaystyle a^{2}\neq 0}
이다. 따라서,
a
2
{\displaystyle a^{2}}
가 코호몰로지류 를 이루는 것을 막기 위해,
2
n
−
1
{\displaystyle 2n-1}
차의 생성원
b
{\displaystyle b}
를 추가해야 한다. 즉, 최소 설리번 대수는 다음과 같다.[ 2] :260, Example 19.2
B
=
{
a
,
b
}
{\displaystyle B=\{a,b\}}
a
<
b
{\displaystyle a<b}
deg
:
a
↦
n
{\displaystyle \deg \colon a\mapsto n}
deg
:
b
↦
2
n
−
1
{\displaystyle \deg \colon b\mapsto 2n-1}
d
a
=
0
{\displaystyle \mathrm {d} a=0}
d
b
=
a
2
{\displaystyle \mathrm {d} b=a^{2}}
이에 따라, 초구의 호모토피 군 의 계수 를 계산할 수 있다. (그러나 초구의 호모토피 군의 꼬임 부분군 을 계산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복소수 사영 공간
C
P
n
{\displaystyle \mathbb {CP} ^{n}}
의 유리수 계수 코호몰로지는
dim
Q
H
k
(
C
P
n
)
⊗
Z
Q
=
{
1
k
=
0
,
2
,
…
,
2
n
0
k
≠
0
,
2
,
…
,
2
n
{\displaystyle \dim _{\mathbb {Q} }\operatorname {H} ^{k}(\mathbb {CP} ^{n})\otimes _{\mathbb {Z} }\mathbb {Q} ={\begin{cases}1&k=0,2,\dots ,2n\\0&k\neq 0,2,\dots ,2n\end{cases}}}
이다. 따라서, 이 경우 최소 설리번 모형은 다음과 같다.[ 2] :260, Example 19.3
B
=
{
a
,
b
}
{\displaystyle B=\{a,b\}}
a
<
b
{\displaystyle a<b}
deg
a
=
2
{\displaystyle \deg a=2}
deg
b
=
2
n
+
1
{\displaystyle \deg b=2n+1}
d
a
=
0
{\displaystyle \mathrm {d} a=0}
d
b
=
a
n
+
1
{\displaystyle \mathrm {d} b=a^{n+1}}
무한 차원 복소수 사영 공간
C
P
∞
{\displaystyle \mathbb {CP} ^{\infty }}
의 경우, 최소 설리번 모형은 다음과 같이 생성원
b
{\displaystyle b}
가 없어져 더 간단하다.
deg
a
=
2
{\displaystyle \deg a=2}
d
a
=
0
{\displaystyle \mathrm {d} a=0}
형식적이지 않은 최소 설리번 대수의 예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B
=
{
a
,
b
,
x
,
y
}
{\displaystyle B=\{a,b,x,y\}}
a
<
b
<
x
<
y
{\displaystyle a<b<x<y}
deg
a
=
2
,
deg
b
=
deg
x
=
3
,
deg
y
=
4
{\displaystyle \deg a=2,\quad \deg b=\deg x=3,\quad \deg y=4}
d
a
=
d
b
=
0
,
d
x
=
a
2
,
d
y
=
a
b
{\displaystyle \mathrm {d} a=\mathrm {d} b=0,\qquad \mathrm {d} x=a^{2},\qquad \mathrm {d} y=ab}
이 설리번 대수의 코호몰로지는
[
a
]
{\displaystyle [a]}
,
[
b
]
{\displaystyle [b]}
,
[
x
b
−
a
y
]
{\displaystyle [xb-ay]}
로 구성된다. 최소 설리번 대수에서 그 코호몰로지로 가는 등급 대수 준동형
f
{\displaystyle f}
는 차수의 제약에 따라
f
(
a
)
∝
[
a
]
{\displaystyle f(a)\propto [a]}
f
(
y
)
=
0
{\displaystyle f(y)=0}
f
(
b
)
∝
[
b
]
{\displaystyle f(b)\propto [b]}
f
(
x
)
∝
[
b
]
{\displaystyle f(x)\propto [b]}
가 되는데, 따라서
f
(
x
b
−
a
y
)
=
f
(
x
)
f
(
b
)
−
f
(
a
)
f
(
y
)
=
0
{\displaystyle f(xb-ay)=f(x)f(b)-f(a)f(y)=0}
이 된다. 따라서,
f
{\displaystyle f}
는 유사동형이 될 수 없다.
설리번 대수가 아닌, 외대수 위의 미분 등급 대수 구조
편집
다음과 같은 구성을 생각하자.
B
=
{
x
,
y
,
z
}
{\displaystyle B=\{x,y,z\}}
deg
x
=
deg
y
=
deg
z
=
1
{\displaystyle \deg x=\deg y=\deg z=1}
V
=
⋀
(
Span
K
B
)
{\displaystyle V=\bigwedge (\operatorname {Span} _{K}B)}
d
x
=
y
z
{\displaystyle \mathrm {d} x=yz}
d
y
=
z
x
{\displaystyle \mathrm {d} y=zx}
d
z
=
x
y
{\displaystyle \mathrm {d} z=xy}
이는 가환 미분 등급 대수 를 이루며,
V
{\displaystyle V}
는
B
{\displaystyle B}
로 생성되는 외대수 이지만,
B
{\displaystyle B}
위에는
(
B
,
≤
,
deg
,
d
)
{\displaystyle (B,\leq ,\deg ,\mathrm {d} )}
가 설리번 대수가 되게 하는 전순서
≤
{\displaystyle \leq }
를 줄 수 없으며,
Span
K
B
{\displaystyle \operatorname {Span} _{K}B}
의 다른 기저 를 잡더라도 이를 설리번 대수로 만들 수 없다.[ 3] :Example 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