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에서, 집합(集合, 영어: set)은 특정한 조건에 맞는 별개의 원소들의 모임(a collection of distinct elements)이며, 명확한 기준(표준)에 의하여 주어진 서로 다른 대상들이 모여 이루는 새로운 대상이다. 어떤 대상이 집합에 속하는지 여부는 명확해야 하며, 집합 위에는 순서나 연산 따위의 구조가 주어지지 않는다. 집합은 수학에서 가장 기본적인 개념이다. 집합론은 19세기 말에 개발되어 다른 수학 이론들에 비해 젊은 편이나, 거의 모든 수학 이론을 전개하는 토대로 삼을 수 있다.
엄밀하지 않게 정의할 때, 집합은 주어진 성질을 만족시키는 대상들의 모임이다. 이러한 대상들을 집합의 원소라고 한다. (퍼지 집합이나 고유 모임과 달리,) 대상이 집합의 원소인지는 항상 애매하지 않고 명확해야 하며, 속하거나 속하지 않거나 둘 중 정확히 하나여야 한다. (중복집합과 달리,) 집합의 원소들은 서로 다르며, 같은 원소가 여러 개 있을 수는 없다. (수학에서 연구되는 여러 종류의 구조와 달리,) 집합의 원소들 사이에는 대소 관계나 선후 관계와 같은, 순서에 따른 구분이 없으며, 덧셈이나 곱셈과 같은 연산이 주어지지 않는다.
소박한 집합론은 위와 같은 엄밀하지 않은 전제에 기초하는 집합론이며, 러셀의 역설을 비롯한 여러 가지 역설을 함의한다. 공리적 집합론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집합론이다. 공리적 집합론에서는 집합을 무정의 용어로 두거나, 단순히 집합을 구별하는 단항 조건 기호를 사용한다. 이 경우, 집합 자체의 정의를 시도하기 보다는 전체 집합론이 가지고 있는 공리들이 집합의 성질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확장 공리는 원소가 같은 두 집합은 같아야 한다는 뜻을 지닌다.
대개 집합은 대문자 로 표기하며, 원소는 소문자 로 표기한다. 가 의 원소임을 와 같이 표기하며, 가 의 원소가 아님을 와 같이 표기한다.
조건 제시법도 말 그대로 집합의 원소인지를 판단하는 조건을 제시하여 집합을 표현하는 방법이다. 중괄호 '{}' 속을 수직선 '|'이나 쌍점 ':'을 써서 두 구역으로 나눈 뒤, 왼쪽 구역에 집합의 원소를 나타내는 식을 적고, 오른쪽 구역에 원소가 만족시킬 조건을 적는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네 집합의 오일러 다이어그램. 네 집합 모두에 속하는 부분이 없으므로, 벤 다이어그램이 아니다.
세 집합의 오일러 다이어그램. 벤 다이어그램이다.
오일러 다이어그램은 집합을 나타내는 원을 그려 집합을 표현하는 방법이다. 어떤 원의 안쪽은 그 원이 나타내는 집합에 속하는 부분, 바깥쪽은 그 집합에 속하지 않는 부분을 의미한다. 두 원이 겹치는 부분은 두 집합에 공통으로 속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어떤 원이 다른 원의 안쪽에 놓인다면, 집합의 모든 원소가 다른 집합의 원소라는 의미인데, 이때 첫째 집합이 둘째 집합의 부분 집합이라고 한다. 원이 서로 겹치는 두 집합은 공통 원소가 있는 집합을 의미하며, 원이 서로 겹치지 않는 두 집합은 공통 원소가 없는 집합, 즉 서로소 집합을 의미한다.
벤 다이어그램은 더 강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오일러 다이어그램이다. 즉, 개의 원으로 이루어진 벤 다이어그램은 총 개의 영역으로 나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세 집합으로 이루어진 벤 다이어그램은 총 8개의 영역으로 나뉘며, 이들은 각각 다음과 같다.
두 집합은 두 가지 방면에서 비교할 수 있다. 첫째는 혹여 한 집합의 모든 원소가 다른 한 집합의 원소이기도 한지, 즉 한 집합이 다른 한 집합에 완전히 포함되는지 살펴보는 것이고, 하나는 어느 집합의 원소가 더 많은지, 즉 어느 집합의 규모가 더 큰지를 비교하는 것이다.
만약 집합 에 속하는 모든 원소가 집합 의 원소이기도 하다면, 를 의 부분 집합이라고 한다. 이를 나타내는 기호는 이다.
오일러 다이어그램에서, 두 집합 가운데 하나가 다른 하나의 부분 집합이라면, 이 부분 집합을 나타내는 원은 다른 한 집합을 나타내는 원의 안쪽에 놓인다.
예를 들어, 가 모든 삼각형의 집합, 가 모든 다각형의 집합이라면, 는 의 부분 집합이다. 이는 모든 삼각형이 다각형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 모든 사각형의 집합, 가 모든 정다각형의 집합이라면, 는 의 부분 집합이 아니다. 이는 가로 길이가 2, 세로 길이가 3인 사각형은 정사각형이 아니기 때문이다. 즉, 이러한 사각형은 의 원소이지만, 의 원소가 아니다. 만약 , 라면, 이다. 만약 , 라면, 인데, 이는 3이 의 원소이지만 의 원소가 아니기 때문이다.
만약 가 의 부분 집합이면서, 가 의 부분 집합이라면, 와 의 원소는 완전히 같아진다. 이때 와 가 서로 같다고 하며, 이를 나타내는 기호는 이다. 만약 가 의 부분 집합이면서, 와 가 서로 같지는 않다면, 를 의 진부분 집합이라고 한다. 이를 나타내는 기호는 이다.
집합 의 모든 부분 집합을 모은 집합을 생각할 수 있다. 이를 의 멱집합이라고 한다. 멱집합을 나타내는 기호는 나 이다. 예를 들어, 의 멱집합은
음이 아닌 짝수의 집합은 음이 아닌 정수의 집합의 진부분 집합이지만, 이 두 집합 사이에는 일대일 대응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 두 집합의 크기는 같다.
두 집합 가 모두 유한 개의 원소만을 가진다고 하자. 만약 의 원소 개수가 의 원소 개수보다 많다면, 가 보다 크다고 한다. 반대로 만약 의 원소 개수가 의 원소 개수보다 적다면, 가 보다 작다고 한다. 만약 의 원소 개수가 의 원소 개수와 같다면, 가 와 크기가 같다고 한다.
예를 들어, 가 1부터 20까지의 자연수의 집합, 가 21부터 30까지의 자연수의 집합이라면, 의 원소 개수는 20, 의 원소 개수는 10이다. 20이 10보다 크므로, 의 크기는 의 크기보다 크다.
두 집합 가운데 적어도 하나가 무한 개의 원소를 갖는다고 하여도, 이 두 집합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만약 의 서로 다른 원소와 의 서로 다른 원소가 남김 없이 짝지어질 수 있다면, 다시 말해 와 사이에 전단사 함수가 존재한다면, 와 의 크기가 같다고 한다. 만약 가 의 어떤 진부분 집합과 크기가 같지만, 와 크기가 같지 않다면, 가 보다 크기가 작다고 한다. 만약 가 의 어떤 진부분 집합과 크기가 같지만, 와 크기가 같지 않다면, 가 보다 크기가 크다고 한다.
예를 들어, 이고, 라면, 는 의 진부분 집합이지만,와 의 크기는 같다. 이는 의 원소 을 의 원소 에 대응시키는 함수가 전단사 함수이기 때문이다. 이 예가 보여주듯, 진부분 집합은 원래의 집합과 크기가 같을 수 있다.
집합의 크기는 기수로 양화될 수 있다. 집합 의 크기를 나타내는 기호는 또는 이다. 집합 의 크기가 의 크기보다 큼을 나타내는 기호는 또는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