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개소문 (드라마)
《연개소문》(淵蓋蘇文)은 DSP 미디어에서 제작하고, SBS에서 방영하였고, 단재 신채호의 조선상고사를 근거로 한 2006년 7월 8일 ~ 2007년 6월 17일까지 총 100부작 대하사극으로 총제작비 400억 원의 대한민국 역사상 최대의 제작비를 들였다.
![]() ![]() 淵蓋蘇文 | |
장르 | 대하사극 |
---|---|
방송 국가 | ![]() |
방송 채널 | SBS |
방송 기간 | 2006년 7월 8일 ~ 2007년 6월 17일 |
방송 시간 | 토요일, 일요일 밤 8시 45분 |
방송 분량 | 5~60분 |
방송 횟수 | 100부작 |
원작 | 유현종 <연개소문> |
기획 | 허웅 |
프로듀서 | 이영준 |
제작자 | DSP 이엔티, 문정수, 김양 |
연출 | 이종한, 고경희, 주동민 |
조연출 | 신경수, 박신우 |
각본 | 이환경 |
출연자 | 유동근 이태곤 손태영 이세은 안재모 이주현 최종환 이진우 최재성 조상구 안승훈 원석연 신동훈 정흥채 김병세 윤승원 이효정 장항선 박규채 김성겸 정동환 박인환 이정길 김갑수 서인석 |
음성 | 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아날로그) 2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
자막 |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 |
HD 방송 여부 | HD 제작 · 방송 |
외부 링크 | SBS 대하사극 연개소문 공식 홈페이지 |
고구려 후기 막리지의 난부터 고구려의 멸망까지 연개소문의 생애를 다루었다. 극본은 이환경 작가, 연출은 이종한 감독이다. 작가 이환경 씨는 2003년 야인시대 이후 3년 만에 SBS로 돌아왔다. 2006년 9월 30일에는 추석 특집 프로그램으로 결방되었고, 2006년 10월 7일에는 25회, 27회가 10분을 앞당긴 8시 35분에 방영되었다.[1] 한편 이 날 KBS 2TV 소문난 칠공주 역시 7시 55분부터 2회 연속(55~56회) 편성된 바 있었고 다음 날에는 축구 중계 편성으로 결방되었는데, 이는 2006년 9월 2일 축구 중계로 다음 날에 45~46회를 연속 방송한 데에 이어 두 번째이다. 아울러, 잘려진 머리를 던지는 등 잔혹성 논란이 일 만한 장면을 내보낸 것 외에도[2] 3회 방영분에서 삼국지 시리즈 10편의 배경음악을 삽입해 비난을 샀으며[3] 크고 작은 사고와 허술한 방송장면으로 시청자들로부터 원성을 샀다[4].
촬영지편집
가은오픈세트장
제작진편집
등장 인물편집
※ 드라마 상의 인물 설정으로, 실제 역사적 기록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주인공편집
연개소문 집안편집
- 박인환 : 연태조 연개소문의 아버지
- 정동환 : 연태수 연개소문의 숙부
- 이경영 강민 : 연정토 연개소문 남동생
- 황인영 방준서 : 연수정 연개소문 여동생
- 이세은 : 고소연 고건무의 조카이자 연개소문의 후처
- 안재모 윤준상 : 연남생 연개소문의 장남
- 김홍표 : 연남건 연개소문의 차남
- 도기석 : 연남산 연개소문의 삼남
- 서준영 : 연헌성 연남생의 아들 연개소문의 손자
- 원석연 최규환 : 생해 연개소문의 의형제
고구려편집
- 이효정 : 영양태왕
- 최종환 : 영류태왕
- 이배국 : 보장태왕
- 이정길 : 을지문덕
- 김시원 : 강이식
- 신동훈 임일규 : 양만춘
- 박영록 나한일 손건우 : 온사문
- 송금식 최영균 : 걸걸중상
- 김상순 : 고연수
- 김경하 : 고혜진
- 이신재 : 고정의
- 한정국 : 고대양
- 박용수 : 이문진
- 안승훈 : 검모잠
- 강신범 : 뇌음신
- 심우창 : 손대음
- 염우상 : 고돌발
- 이대로 : 조실어른
- 정의갑 : 술탈
- 조상구 : 죽리
- 윤자경 : 쌍검녀
- 김길동 : 설연타
- 김영인 : 노대신
- 이상훈 : 협부
- 양형호 : 선도해
- 조정국 : 사비류
- 우상전 : 신승대사
- 이양희 : 고승
- 박승호 : 최무
- 민경진 : 민 내관
백제편집
신라편집
- 차두옥 : 진평왕
- 이현정 : 선덕여왕
- 박주아 : 만호부인
- 김병세 : 태종무열왕
- 최설화 : 김고타소
- 백승현 : 문무왕
- 김혁 : 김인문
- 박상규 : 김서현
- 미상 : 만명부인
- 윤승원 이종수 이다윗 : 김유신
- 김기복 이켠 여진구 : 김흠순
- 엄수진 임성언 하승리 : 영창부인
- 이매리 전혜상 배나연 : 문명왕후
- 서갑숙 : 미실
- 이원용 : 원광
- 김정학 : 알천
- 김형일 : 김용춘
- 이영재 : 비담
- 김종국 : 온군해
- 박시연 : 천관녀
- 오영수 : 난승
수편집
- 김성겸 : 수 문제
- 정동숙 : 문헌황후 독고씨
- 곽명화 : 선화부인 진씨
- 김용헌 : 황태자 양용
- 김갑수 : 수 양제
- 이경화 : 양민황후 소씨
- 이재은 : 오빈
- 성우진 : 효소제 양소
- 김명진 : 양수
- 정욱 : 양량
- 오성열 : 고경
- 김창봉 : 양소
- 라재웅 : 왕세적
- 이태림 : 설세웅
- 임혁주 : 우문술
- 남영진 : 주라후
- 정명환 : 내호아
- 김명국 : 우중문
- 박진성 : 곡사정
- 최재성 : 이밀
- 최규환 : 생해
- 손태영 : 이화
- 이태리 : 홍매
- 이진우 : 양현감
- 나기수 : 양약
- 김윤형 : 맥철장
- 손호균 : 장형
- 윤철형 : 우문화급
- 마창훈 : 우문지급
- 이용진 : 유사룡
- 박윤배 : 배구
- 윤서현 : 주법상
- 운기호 : 독고성
- 권태원 : 왕세충
당편집
- 박규채 : 당 고조
- 최정우 : 이건성
- 서인석 이주현 : 당 태종
- 임채홍 : 이원길
- 박형재 : 당 고종
- 전현아 : 폐황후 왕씨
- 반민정 : 소숙비
- 장은비 : 측천무후
- 장항선 : 장손무기
- 정상철 : 이적
- 박영지 : 방현령
- 김응석 : 이정
- 맹호림 : 위징
- 박병훈 : 위지경덕
- 임병기 : 이사마
- 이계인 : 계필하력
- 이창 : 조삼량
- 유태웅 : 설인귀
- 전진기 : 이도종
- 홍순창 : 심숙안
- 백인철 : 소정방
- 선동혁 : 방효태
- 손종학 : 장량
- 강현중 : 마문거
- 윤갑수 : 장손사
- 권태원 : 임아상
그 외편집
이모저모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유순호 (2006년 10월 4일). “[추석길라잡이]②드라마-'양보다 질'”. 머니투데이 스타뉴스. 2016년 7월 21일에 확인함.
- ↑ 남원상 (2006년 7월 13일). “선굵은 남성사극 ‘연개소문’ VS 섬세한 여성사극 ‘주몽’”. 동아일보. 2017년 9월 3일에 확인함.
- ↑ “[쪽지] SBS '연개소문' 日음악 삽입 사과 外”. 부산일보. 2006년 7월 22일. 2017년 9월 3일에 확인함.
- ↑ 김태은 (2006년 12월 4일). “'연개소문' 잇따른 사고와 실수 왜?”. 스타뉴스. 2017년 9월 3일에 확인함.
- ↑ 강희수 (2007년 3월 12일). “‘연개소문’, 정흥채 김병세 이매리 등 대거 가세”. OSEN. 2016년 7월 7일에 확인함.
- ↑ 강희수 (2007년 3월 12일). “‘연개소문’, 정흥채 김병세 이매리 등 대거 가세”. OSEN. 2016년 10월 2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SBS 주말극장 | ||
---|---|---|
이전 작품 | 작품명 | 다음 작품 |
하늘이시여
(2005년 9월 10일 ~ 2006년 7월 2일) |
연개소문
(2006년 7월 8일 ~ 2007년 6월 17일) |
황금신부
(2007년 6월 23일 ~ 2008년 2월 3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