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왕산 백운동 계곡

서울특별시 인왕산 자락 자하문터널 상부 일대의 계곡

인왕산 백운동 계곡(仁王山 白雲洞 溪谷)은 서울특별시 인왕산 자락 자하문터널 상부 일대의 계곡으로, 백운동천의 서북쪽 일대의 상류부를 일컫는다.[A] 서울의 몇 안 되는 ‘전통적 경승지’이며, 청계천의 주요 수원이 오늘날에도 보존되어 있다는 점과 오랜 기간 역사적 인물들의 활동공간이 되었다는 점 및 수려한 경관의 제도적 보존을 위하여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제40호로 지정되어있다.[1]

인왕산 백운동 계곡
(仁王山 白雲洞 溪谷)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서울특별시기념물
백운동천(白雲洞天) 각자
종목기념물 제40호
(2014년 10월 30일 지정)
참고자연유산 / 명승/ 자연명승
주소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 6-6 외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인왕산은 대부분 암벽이고 험준하지만 그 동록은 산수 자연이 아름다운 경승지로 유명하다. 사직공원에서 북쪽으로 등성이를 넘어가면 필운동의 필운대가 있고 필운대 언덕에서 다시 북쪽으로 내려가면 산록의 골짜기가 깊숙한데 여기에 인왕동·옥류동·수성동 등의 산마을이 형성되었고 그 앞으로 송석원(松石園) · 청풍계(淸風溪) 등 명소가 이어지며,[2] 그 동북쪽 끝에 백운동이 자리하고 있다. 백운동은 흰 구름이 떠있는 계곡이라는 의미로 ‘동(洞)’은 현재의 행정구역을 의미하는 ‘동’이 아니라 ‘골짜기’, ‘계곡’이라는 의미로 쓰인 것이다.[1]

일찍이 조선 전기부터 당대의 사대가(四大家)[B]로 칭송받던 김수온, 이승소, 강희맹, 김종직 등이 그 경치의 아름다움을 시로 표현한 바 있으며, 성현[C]의 저서 『용재총화(傭齋叢話)』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등에서도 한양도성 내에서 경치가 가장 좋은 다섯 군데의 명소(삼청동, 인왕동, 쌍계동, 백운동, 청학동) 중 하나로 언급하고 있는 장소이다.[1]

고지도와 회화를 통해서 그 지명과 가치를 확인할 수 있고,[D] 뿐만아니라 한양의 도성 내 공간을 구획하는 중심축이자, 하수도였던 개천(開川, 오늘날의 청계천)이 발원하는 물길 중 가장 길다고 하는 백운동천(白雲洞川)이 흘러나오는 계곡에 해당한다.[3]

백운장 편집

백운동 계곡의 역사·문화적 경관이 근현대 시기까지 유지되었기에 조선 전기 문신인 이염의(?~1492)의 집터가 있었고 대한제국기에는 법부대신을 지낸 동농 김가진(1846~1922)도 별서(別墅)인 백운장(白雲莊)을 이곳에 조성해 1910년 국권 상실 후 독립운동을 위해 중국으로 망명하기 전까지 이곳을 무대로 활동했다. 지금도 김가진의 별서 터의 일부와 광무 7년(1903년)“백운동천(白雲洞天)”이라고 쓴 그의 바위글씨가 남아 있다.[1] 백운장은 김가진 일가의 중국망명 이후 일제 강점기 동안 고급요리집으로 사용되었던 기록과 사진이 확인되고 있으며, 해방 이후부터 1961년 박정희 정권 때 불하 결정되기 전까지 요정정치가 이루어진 장소이기도 하다.[1] 이곳은 1915년 일본인 키타무라 세이타로(北村淸太郞)가 청향원(淸香園)이라는 이름으로 지었다가 1929년에 이름을 바꾸었으며[4],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에서 1962년 9월에 이 일대를 구입하였다.[5]

각주 편집

내용
  1. 행정구역상 종로구 청운동 6-6번지를 중심으로 한 곳이다.[1]
  2. 당대의 사대가(四大家)[1]
    • 괴애(乖崖) 김수온(金守溫, 1410~1481)
    • 삼탄(三灘) 이승소(李承召, 1422~1484)
    • 사숙재(私淑齋) 강희맹(姜希孟, 1424~1483)
    •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 1431~1492)
  3. 성현(成俔, 1439~1504) 호는 용재(傭齋)
  4. 『한양도성도(1770년,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도성도」 『동여도(1856~1872)』 등의 고지도에서 그 지명이 확인되며, 겸재 정선의 장동팔경첩 중 하나인 「백운동」의 회화를 통해서도 그 명승적 가치를 확인할 수 있다.[1]
출처
  1. 서울특별시장 (2014년 10월 30일). “제2014-356호 서울특별시 기념물 지정 고시” (PDF). 《서울특별시청》. 서울시보 제3262호. 8-38쪽. 
  2. 서울시사편찬위원회, <서울육백년사 –문화사적편>
  3.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준천사실(濬川事實)』, 『한경지략(漢京識略)』, 『육전조례(六典條例)』
  4. 서울역사박물관 외 (2010). 《서촌 1: 역사·경관·도시조직의 변화》.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161쪽. ISBN 9788991553132. 
  5. 서울역사박물관 외 (2010). 《서촌 2: 사람들의 삶과 일상》.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18쪽. ISBN 9788991553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