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근 국소 유클리드 공간

미분기하학에서 점근 국소 유클리드 공간(漸近局所Euclid空間, 영어: asymptotically locally Euclidean space, ALE space)는 무한대에서 4차원 유클리드 공간의 오비폴드로 근사되는 4차원 초켈러 다양체이다.

정의 편집

SU(2)의 유한 부분군  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는 매케이 화살집을 통해 ADE 분류를 갖는다.

4차원 초켈러 다양체   가운데,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을 점근 국소 유클리드 공간이라고 한다.[1][2]:§5

어떤 콤팩트 집합  을 제외하면,   미분 동형이며, 적절한 좌표계에서 다음과 같은 꼴이다.
 
 

여기서   의 원소의 L2 노름이며,  는 충분히 큰 임의의 상수이다.

분류 편집

SU(2)의 유한 부분군  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는 매케이 화살집을 통해 ADE 분류를 갖는다.) 그렇다면, 복소수 아핀 대수다양체

 

의 최소 분해(영어: minimal resolution)

 

를 생각하자. 즉, 그 예외 인자  사영 직선들의 합집합이며, 특히 그 2차 특이 호몰로지는 (예외 인자를 구성하는 사영 직선들로 생성되므로) 유한 생성 자유 아벨 군이다.

 

여기서   을 구성하는 사영 직선의 수이다.

 

또한, 이 사영 직선  들의 교차 형식 매케이 화살집카르탕 행렬의 −1배와 같다.[2]:§5

이 경우,  의 2차 드람 코호몰로지

 

가운데 다음 조건이 성립한다고 하자.

  • 임의의  에 대하여, 만약  라면,   가 존재한다.

그렇다면, 이 데이터를 사용하여   위에 어떤 표준적인 초켈러 구조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세 개의 켈러 구조의 드람 코호몰로지류는 각각  이다.

또한, 반대로, 임의의 점근 국소 유클리드 공간은 위와 같이  의 데이터로 결정된다.[1]

구성 편집

기번스-호킹 구성 편집

점근 국소 유클리드 공간 가운데, A형은 기번스-호킹 가설 풀이로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우선, 좌표

 
 

를 정의하자. 그렇다면, An형 점근 국소 유클리드 공간의 계량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위의 1차 미분 형식 가운데

 

인 것이다.

이 경우  인 경우는 평탄 공간과 같으며,[3]:363  인 경우는 에구치-핸슨 공간이다.[3]:363 즉, A형 점근 국소 유클리드 공간은 여러 개의 에구치-핸슨 공간들을 겹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초켈러 몫 구성 편집

모든 종류의 점근 국소 유클리드 공간은 초켈러 몫으로 구성될 수 있다.[4]

역사 편집

이러한 공간들은 원래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중력의 ‘순간자’로서 최초로 거론되었다. 최초로 발견된 점근 국소 유클리드 공간은 (4차원 유클리드 공간 자체를 제외하면) 에구치-핸슨 공간이다. 이후 1989년에 피터 크론하이머가 이들을 모두 분류하였다.[4][1]

응용 편집

점근 국소 유클리드 공간은 초끈 이론에서 자주 등장한다.[5]

참고 문헌 편집

  1. Kronheimer, Peter B. (1989). “A Torelli‐type theorem for gravitational instantons”. 《Journal of Differential Geometry》 (영어) 29: 685–697. doi:10.4310/jdg/1214443067. MR 992335. Zbl 0671.53046. 
  2. Anderson, Michael T. (2009). “A survey of Einstein metrics on 4-manifolds” (영어). arXiv:0810.4830. 
  3. Eguchi, Tohru; Gilkey, Peter B.; Hanson, Andrew J. (1980년 12월). “Gravitation, gauge theories and differential geometry”. 《Physics Reports》 (영어) 66 (6): 213–393. doi:10.1016/0370-1573(80)90130-1. 
  4. Kronheimer, Peter B. (1989). “The construction of ALE spaces as hyper-Kähler quotients”. 《Journal of Differential Geometry》 (영어) 2 (3): 665–683. doi:10.4310/jdg/1214443066. MR 992334. Zbl 0671.53045. 
  5. Johnson, Clifford; Myers, Robert (1997). “Aspects of type ⅡB theory on ALE spaces”. 《Physical Review D》 (영어) 55: 6382–6393. arXiv:hep-th/9610140.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