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수기하학 에서 인자 (因子, 영어 : divisor ) 또는 베유 인자 (Weil因子, 영어 : Weil divisor )는 여차원 이 1인 부분 대수다양체들의 정수 계수 형식적 선형 결합 이다. 특별한 경우, 이를 함수의 영점 또는 특이점으로 여겨 이에 카르티에 인자 및 가역층 을 대응시킬 수 있다.
국소 뇌터 정역 스킴
X
{\displaystyle X}
의 소인자 (素因子, 영어 : prime divisor )
Z
⊂
X
{\displaystyle Z\subset X}
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X
{\displaystyle X}
의 닫힌 부분 스킴 이다.[ 1] :130
정역 스킴 이다.
여차원 이 1이다. 즉,
Z
{\displaystyle Z}
의 일반점 이
z
∈
Z
{\displaystyle z\in Z}
라고 하면, 줄기
O
X
,
z
{\displaystyle {\mathcal {O}}_{X,z}}
의 크룰 차원 이 1차원이다.
이는 가환환 의 높이 가 1인 소 아이디얼 의 개념의 일반화이다.
X
{\displaystyle X}
의 소인자들의 집합을
PrimeDiv
(
X
)
{\displaystyle \operatorname {PrimeDiv} (X)}
라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아벨 군 의 직접곱 을 생각하자.
Z
×
PrimeDiv
(
X
)
{\displaystyle \mathbb {Z} ^{\times \operatorname {PrimeDiv} (X)}}
(이는 자유 아벨 군 보다 더 큰 군이다.) 그 원소
∑
Z
∈
PrimeDiv
(
X
)
n
Z
Z
{\displaystyle \textstyle \sum _{Z\in \operatorname {PrimeDiv} (X)}n_{Z}Z}
가운데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을 베유 인자 라고 한다.
(국소 유한성) 임의의
x
∈
X
{\displaystyle x\in X}
에 대하여, 집합
{
Z
∈
PrimeDiv
(
X
)
:
n
Z
≠
0
,
U
∩
Z
≠
∅
}
{\displaystyle \{Z\in \operatorname {PrimeDiv} (X)\colon n_{Z}\neq 0,\;U\cap Z\neq \varnothing \}}
이 유한 집합 이 되는 근방
U
∋
x
{\displaystyle U\ni x}
가 존재한다.
베유 인자들은
Z
×
PrimeDiv
(
X
)
{\displaystyle \mathbb {Z} ^{\times \operatorname {PrimeDiv} (X)}}
의 부분군 을 이루며, 이를
X
{\displaystyle X}
의 베유 인자군 (Weil因子群, 영어 : Weil divisor group )
Div
(
X
)
{\displaystyle \operatorname {Div} (X)}
라고 한다.
물론, 만약
X
{\displaystyle X}
가 유한한 열린 덮개 를 갖는다면, 베유 인자군은 이는
X
{\displaystyle X}
의 소인자들로 생성되는 자유 아벨 군 과 같다. 특히, 만약
X
{\displaystyle X}
가 뇌터 스킴 일 경우 이 조건이 성립한다.[ 1] :130–136
국소 뇌터 정역 스킴
X
{\displaystyle X}
의 효과적 베유 인자 (效果的Weil因子, 영어 : effective Weil divisor )는 모든 계수가 음이 아닌 정수인 베유 인자이다. 이는 덧셈에 대하여 모노이드 를 이룬다.
뇌터 정역 스킴
(
X
,
O
X
)
{\displaystyle (X,{\mathcal {O}}_{X})}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여차원 1에서의 정칙성) 임의의 소인자
Z
⊆
X
{\displaystyle Z\subseteq X}
의 일반점
x
{\displaystyle x}
에 대하여, 구조층의 줄기
O
X
,
x
{\displaystyle {\mathcal {O}}_{X,x}}
는 정칙 국소환 이다. (
O
X
,
x
{\displaystyle {\mathcal {O}}_{X,x}}
의 크룰 차원 이 1이며, 1차원 정칙 국소환일 조건은 이산 값매김환 일 조건과 동치 이므로 대신 이산 값매김환 을 사용해도 관계없다.)
이는 정칙 스킴 의 조건을 여차원 1에 대하여 제한시킨 것이다. 즉, 만약
X
{\displaystyle X}
가 정역 정칙 스킴 이라면 위 조건이 성립한다.
X
{\displaystyle X}
의 유리 함수체
Γ
(
X
,
K
X
)
=
Frac
Γ
(
X
,
O
X
)
{\displaystyle \Gamma (X,{\mathcal {K}}_{X})=\operatorname {Frac} \Gamma (X,{\mathcal {O}}_{X})}
를 생각하자. 임의의 유리 함수
f
∈
Γ
(
X
,
K
X
)
{\displaystyle f\in \Gamma (X,{\mathcal {K}}_{X})}
에 대응하는 베유 주인자 (Weil主因子, 영어 : Weil principal divisor )는 다음과 같은 베유 인자이다.
(
f
)
=
∑
Y
∈
PrimeDiv
X
val
Y
(
f
)
Y
∈
Div
(
X
)
{\displaystyle (f)=\sum _{Y\in \operatorname {PrimeDiv} X}\operatorname {val} _{Y}(f)Y\in \operatorname {Div} (X)}
여기서 기호는 다음과 같다.
∑
Y
∈
PrimeDiv
X
{\displaystyle \textstyle \sum _{Y\in \operatorname {PrimeDiv} X}}
는
X
{\displaystyle X}
의 모든 소인자들에 대한 합이다. (오직 유한 개의 항만이 0이 아님을 보일 수 있다.)
소인자
Y
{\displaystyle Y}
의 일반점
y
∈
X
{\displaystyle y\in X}
에서의 줄기
O
X
,
y
{\displaystyle {\mathcal {O}}_{X,y}}
는 이산 값매김환 을 이루며,
val
Y
:
Γ
(
X
,
K
X
)
→
Z
{\displaystyle \operatorname {val} _{Y}\colon \operatorname {\Gamma } (X,{\mathcal {K}}_{X})\to \mathbb {Z} }
는
O
X
,
y
{\displaystyle {\mathcal {O}}_{X,y}}
의 이산 값매김이다.
그렇다면, 유리 함수를 그 주인자에 대응시키는 함수
Γ
(
X
,
K
X
)
→
Div
(
X
)
{\displaystyle \Gamma (X,{\mathcal {K}}_{X})\to \operatorname {Div} (X)}
는 두 아벨 군 사이의 군 준동형 을 이룬다. 그 여핵 을 베유 인자 유군 (Weil因子類群, 영어 : divisor class group )이라고 한다. 즉, 다음과 같은 아벨 군의 완전열 이 존재한다.
Γ
(
X
;
K
X
×
)
→
Div
(
X
)
→
DivCl
(
X
)
→
0
{\displaystyle \Gamma (X;{\mathcal {K}}_{X}^{\times })\to \operatorname {Div} (X)\to \operatorname {DivCl} (X)\to 0}
국소 뇌터 정역 스킴
(
X
,
O
X
)
{\displaystyle (X,{\mathcal {O}}_{X})}
가 주어졌다고 하자. 임의의 유리 함수
f
∈
Γ
(
X
;
K
X
×
)
{\displaystyle f\in \Gamma (X;{\mathcal {K}}_{X}^{\times })}
및 점
x
∈
X
{\displaystyle x\in X}
에 대하여,
f
{\displaystyle f}
의
x
{\displaystyle x}
에서의 차수(영어 : order )
ord
x
:
Γ
(
X
;
K
X
×
)
→
Z
{\displaystyle \operatorname {ord} _{x}\colon \Gamma (X;{\mathcal {K}}_{X}^{\times })\to \mathbb {Z} }
는 다음과 같은 군 준동형 이다.
ord
x
:
K
×
→
Z
{\displaystyle \operatorname {ord} _{x}\colon K^{\times }\to \mathbb {Z} }
ord
x
(
a
/
b
)
=
length
O
X
,
x
(
Γ
(
X
;
O
X
)
/
(
a
)
)
−
length
O
X
,
x
(
Γ
(
X
;
O
X
)
/
(
a
)
)
∀
a
,
b
∈
Γ
(
X
;
O
X
)
∖
{
0
}
{\displaystyle \operatorname {ord} _{x}(a/b)=\operatorname {length} _{{\mathcal {O}}_{X,x}}(\Gamma (X;{\mathcal {O}}_{X})/(a))-\operatorname {length} _{{\mathcal {O}}_{X,x}}(\Gamma (X;{\mathcal {O}}_{X})/(a))\qquad \forall a,b\in \Gamma (X;{\mathcal {O}}_{X})\setminus \{0\}}
여기거
length
{\displaystyle \operatorname {length} }
는 가군의 길이 를 뜻한다.
유리 함수
f
∈
Γ
(
X
;
K
X
×
)
{\displaystyle f\in \Gamma (X;{\mathcal {K}}_{X}^{\times })}
에 대응하는 주인자 는 다음과 같다.
(
f
)
=
∑
Z
ord
z
(
f
)
{\displaystyle (f)=\sum _{Z}\operatorname {ord} _{z}(f)}
여기서
z
{\displaystyle z}
는
Z
{\displaystyle Z}
의 일반점 이다. 이는 군 준동형
Γ
(
X
;
K
X
×
)
→
Div
(
X
)
{\displaystyle \Gamma (X;{\mathcal {K}}_{X}^{\times })\to \operatorname {Div} (X)}
을 정의하며, 그 여핵 을 베유 인자 유군
DivCl
(
X
)
{\displaystyle \operatorname {DivCl} (X)}
이라고 한다. 즉, 다음과 같은 아벨 군의 완전열 이 존재한다.
Γ
(
X
;
K
X
×
)
→
Div
(
X
)
→
DivCl
(
X
)
→
0
{\displaystyle \Gamma (X;{\mathcal {K}}_{X}^{\times })\to \operatorname {Div} (X)\to \operatorname {DivCl} (X)\to 0}
임의의 뇌터 분리 정규 스킴
X
{\displaystyle X}
에 대하여, 카르티에 인자군 에서 베유 인자군으로 가는 표준적인 단사 군 준동형 이 존재한다.[ 1] :142, Remark II.6.11.2
CaDiv
(
X
)
→
Div
(
X
)
{\displaystyle \operatorname {CaDiv} (X)\to \operatorname {Div} (X)}
이에 따라, 카르티에 인자군 은 베유 인자군의 부분군 이며, 이 부분군은 구체적으로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베유 인자
D
{\displaystyle D}
로 구성된다.[ 1] :142, Remark II.6.11.2
X
{\displaystyle X}
의 충분히 섬세한 열린 덮개
{
U
i
}
i
∈
I
{\displaystyle \{U_{i}\}_{i\in I}}
에 대하여,
D
|
U
i
{\displaystyle D|_{U_{i}}}
는
U
i
{\displaystyle U_{i}}
의 베유 주인자이다.
즉, 카르티에 인자 는 국소적으로 베유 주인자가 되는 베유 인자이다. 이 준동형이 동형을 이룰 필요 충분 조건 은
X
{\displaystyle X}
의 구조층의 모든 줄기 가 유일 인수 분해 정역 인 것이다. 특히, 비특이 대수다양체 의 경우에는 카르티에 인자군 과 베유 인자군이 서로 동형이다.
구체적으로, 주어진 카르티에 인자 에 대응하는 베유 인자는 다음과 같다.[ 1] :141, Proposition 6.11
X
{\displaystyle X}
가 정역 스킴 이므로, 그 유리 함수층 은 어떤 체
K
{\displaystyle K}
에 대한 상수층 이다.
K
X
≅
K
_
{\displaystyle {\mathcal {K}}_{X}\cong {\underline {K}}}
K
X
×
≅
K
×
_
{\displaystyle {\mathcal {K}}_{X}^{\times }\cong {\underline {K^{\times }}}}
X
{\displaystyle X}
위의 모든 베유 소인자
Y
⊂
X
{\displaystyle Y\subset X}
에 대하여, 그 일반점 에서의 줄기
O
Y
,
X
{\displaystyle {\mathcal {O}}_{Y,X}}
는 이산 값매김환 이며, 그 값매김을
val
Y
:
K
Y
,
X
×
/
O
Y
,
X
×
→
Z
{\displaystyle \operatorname {val} _{Y}\colon {\mathcal {K}}_{Y,X}^{\times }/{\mathcal {O}}_{Y,X}^{\times }\to \mathbb {Z} }
라고 하자. 또한,
K
X
×
{\displaystyle {\mathcal {K}}_{X}^{\times }}
의 모든 단면군이
K
×
{\displaystyle K^{\times }}
가 될 정도로 섬세한
X
{\displaystyle X}
의 열린 덮개
{
U
i
}
i
∈
I
{\displaystyle \{U_{i}\}_{i\in I}}
를 고르자.
X
=
⋃
i
∈
I
U
i
{\displaystyle X=\bigcup _{i\in I}U_{i}}
Γ
(
U
i
,
K
X
×
)
≅
K
×
{\displaystyle \Gamma (U_{i},{\mathcal {K}}_{X}^{\times })\cong K^{\times }}
X
{\displaystyle X}
위의 카르티에 인자
f
∈
Γ
(
X
,
K
X
×
/
O
X
×
)
{\displaystyle f\in \Gamma (X,{\mathcal {K}}_{X}^{\times }/{\mathcal {O}}_{X}^{\times })}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임의의
i
,
j
∈
I
{\displaystyle i,j\in I}
에 대하여, 만약
Y
∩
U
i
∩
U
j
≠
∅
{\displaystyle Y\cap U_{i}\cap U_{j}\neq \varnothing }
이라면
val
Y
(
f
|
U
i
)
=
val
Y
(
f
|
U
j
)
{\displaystyle \operatorname {val} _{Y}(f|_{U_{i}})=\operatorname {val} _{Y}(f|_{U_{j}})}
이다.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베유 인자를 정의할 수 있다.
D
f
=
∑
Y
⊂
X
val
Y
(
f
|
U
i
)
Y
{\displaystyle D_{f}=\sum _{Y\subset X}\operatorname {val} _{Y}(f|_{U_{i}})Y}
X
{\displaystyle X}
가 뇌터 스킴 이므로, 이 합은 유한하다.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두 국소 뇌터 정역 스킴
X
{\displaystyle X}
,
Y
{\displaystyle Y}
. 또한,
X
{\displaystyle X}
가 자리스키 위상에서 콤팩트 공간 이라고 하자.
스킴 사상
f
:
X
→
Y
{\displaystyle f\colon X\to Y}
X
{\displaystyle X}
의 베유 소인자
Z
{\displaystyle Z}
그렇다면, 닫힌 기약 부분 스킴
f
(
Z
)
¯
↪
Y
{\displaystyle {\overline {f(Z)}}\hookrightarrow Y}
을 정의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베유 소인자가 아닐 수 있으며, 아닐 경우 이를 0으로 놓자.
f
∗
:
Z
↦
{
f
(
Z
)
¯
f
(
Z
)
¯
∈
PrimeDiv
Y
0
f
(
Z
)
¯
∉
PrimeDiv
Y
{\displaystyle f_{*}\colon Z\mapsto {\begin{cases}{\overline {f(Z)}}&{\overline {f(Z)}}\in \operatorname {PrimeDiv} Y\\0&{\overline {f(Z)}}\not \in \operatorname {PrimeDiv} Y\end{cases}}}
이는 베유 인자군 사이의 군 준동형
f
∗
:
Div
X
→
Div
Y
{\displaystyle f_{*}\colon \operatorname {Div} X\to \operatorname {Div} Y}
을 정의한다. 이를 베유 인자의 밂 (영어 : pushforward )이라고 한다. (콤팩트성을 가정하지 않으면 밂의 상이 국소 유한성을 충족하지 못할 수 있다.)
두 인자가 일치하지 않는 대표적인 경우는 하나의 특이점 이 존재하는 이차 곡면 뿔
Spec
C
[
x
,
y
,
z
]
/
(
x
y
−
z
2
)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mathbb {C} [x,y,z]/(xy-z^{2})}
이다.[ 1] :142, Example 6.11.3 이 경우,
x
{\displaystyle x}
축
Spec
C
[
x
,
y
,
z
]
/
(
(
y
)
∩
(
z
)
)
⊂
Spec
C
[
x
,
y
,
z
]
/
(
x
y
−
z
2
)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mathbb {C} [x,y,z]/((y)\cap (z))\subset \operatorname {Spec} \mathbb {C} [x,y,z]/(xy-z^{2})}
은 이차 뿔의 1차원 부분 다양체이므로, 베유 인자를 이룬다. 그러나 이는 국소 주인자가 아니므로, 카르티에 인자 가 아니다.
리만 곡면 (1차원 복소수 비특이 대수다양체 )의 경우에는 베유 인자와 카르티에 인자 가 서로 일치하며, 곡면의 모든 점들로 생성되는 자유 아벨 군 이다. 예를 들어, 리만 곡면
Σ
{\displaystyle \Sigma }
에서
z
0
∈
Σ
{\displaystyle z_{0}\in \Sigma }
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n
z
0
{\displaystyle nz_{0}}
(
n
∈
Z
{\displaystyle n\in \mathbb {Z} }
)는 (베유) 인자로 여길 수 있다. 카르티에 인자로는, 이를 (국소 복소좌표계에서 정의된) 함수
z
↦
(
z
−
z
0
)
n
{\displaystyle z\mapsto (z-z_{0})^{n}}
으로 정의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M
{\displaystyle M}
위에 정의된 유리형 함수
f
:
M
→
C
^
{\displaystyle f\colon M\to {\hat {\mathbb {C} }}}
가 주어지면, 이에 대응하는 주인자
(
f
)
∈
PDiv
(
Σ
)
{\displaystyle (f)\in \operatorname {PDiv} (\Sigma )}
를 정의할 수 있다. 이는
f
{\displaystyle f}
의 극점 들과 영점들의 선형 결합 이며, 선형 결합에서
n
{\displaystyle n}
차 영점(
(
z
−
z
0
)
n
{\displaystyle (z-z_{0})^{n}}
의 꼴의 영점)의 계수는
n
{\displaystyle n}
으로,
n
{\displaystyle n}
차 극점(
(
z
−
z
0
)
−
n
{\displaystyle (z-z_{0})^{-n}}
의 꼴의 극점)의 계수는
−
n
{\displaystyle -n}
으로 한다.
이 경우, 리만 곡면
Σ
{\displaystyle \Sigma }
의 인자
D
=
∑
x
∈
Σ
n
x
x
(
|
{
x
∈
Σ
:
n
x
≠
0
}
|
<
∞
)
{\displaystyle D=\sum _{x\in \Sigma }n_{x}x\qquad (|\{x\in \Sigma \colon n_{x}\neq 0\}|<\infty )}
에 대응하는 가역층 (정칙 선다발 )
O
(
D
)
{\displaystyle {\mathcal {O}}(D)}
의, (매끄러운 다양체 위상에서) 열린집합
U
{\displaystyle U}
에서의 단면의 공간은 유리형 함수
f
:
U
→
C
^
{\displaystyle f\colon U\to {\hat {\mathbb {C} }}}
가운데,
|
f
|
+
D
{\displaystyle |f|+D}
가 효과적 인자인 것들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그 단면은 유리형 함수 가운데
x
∈
U
{\displaystyle x\in U}
에서,
n
x
{\displaystyle n_{x}}
차의 영점을 갖는 것이다. (음의 차수의 영점은 극점으로 간주한다.)
반대로, 가역층
L
{\displaystyle {\mathcal {L}}}
이 주어졌으며, 이 가역층이 유한 개의 영점만을 갖는 대역적 단면
s
∈
Γ
(
Σ
L
)
{\displaystyle s\in \Gamma (\Sigma {\mathcal {L}})}
|
{
z
∈
Σ
:
s
|
z
=
0
}
|
<
∞
{\displaystyle |\{z\in \Sigma \colon s|_{z}=0\}|<\infty }
을 갖는다면, 이에 대응되는 인자는
D
=
∑
z
∈
Σ
deg
z
s
{\displaystyle D=\sum _{z\in \Sigma }\deg _{z}s}
가 된다. (
deg
z
s
{\displaystyle \deg _{z}s}
는
s
{\displaystyle s}
의
z
{\displaystyle z}
에서의 영점의 차수이다.) 서로 다른 대역적 단면을 사용하였을 경우, 이는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인자를 정의하지만, 그 인자의 차는 항상 주인자이며, 이는 항상 같은 인자류를 정의한다.
리만 곡면 위의 모든 가역층은 유한 개의 영점을 갖는 대역적 단면을 갖은 가역층들과 이러한 가역층의 역원들의 텐서곱으로 표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유효 인자의 가환 모노이드 는 인자 유군 전체를 생성한다.) 또는, 이러한 대역적 단면을 갖지 않은 가역층의 경우, ‘유리형’ 단면의 개념을 도입하여, 유한 개의 극점과 영점을 갖는 유리형 단면으로써 그 인자를 정의할 수 있다.
뇌터 크룰 정역
D
{\displaystyle D}
의 스펙트럼
X
=
Spec
D
{\displaystyle X=\operatorname {Spec} D}
를 생각하자. 이 경우, 다음과 같은 대응이 존재한다.
대수기하학
수론
베유 소인자
높이 1의 소 아이디얼
베유 인자의 아벨 군
인자 아이디얼 의 아벨 군
DivIdeal
(
D
)
{\displaystyle \operatorname {DivIdeal} (D)}
(=높이 1의 소 아이디얼 로 생성되는 아벨 군)
베유 주인자
(가역) 주 분수 아이디얼 의 아벨 군
PrFracIdeal
(
D
)
×
{\displaystyle \operatorname {PrFracIdeal} (D)^{\times }}
베유 인자 유군
DivIdeal
(
D
)
/
PrFracIdeal
(
D
)
×
{\displaystyle \operatorname {DivIdeal} (D)/\operatorname {PrFracIdeal} (D)^{\times }}
카르티에 인자 유군 = 피카르 군
아이디얼 유군
FracIdeal
(
D
)
×
/
PrFracIdeal
(
D
)
×
{\displaystyle \operatorname {FracIdeal} (D)^{\times }/\operatorname {PrFracIdeal} (D)^{\times }}
데데킨트 정역 은 크룰 차원 이 1 이하인 크룰 정역 이다. 이 경우 모든 소 아이디얼 의 높이 는 1 이하이므로, 인자 아이디얼 과 가역 분수 아이디얼 의 개념이 일치한다. 따라서, 이 경우 베유 인자 유군(=인자 아이디얼/가역 주 분수 아이디얼)과 피카르 군 (=가역 분수 아이디얼/가역 주 분수 아이디얼)이 같다.
즉, 데데킨트 정역
D
{\displaystyle D}
의 스펙트럼
X
=
Spec
D
{\displaystyle X=\operatorname {Spec} D}
를 생각하자. 이 경우, 다음과 같은 대응이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베유 소인자들은
D
{\displaystyle D}
의 소 아이디얼 들에 대응한다.
Spec
D
/
p
↪
Spec
D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D/{\mathfrak {p}}\hookrightarrow \operatorname {Spec} D}
데데킨트 정역 에서는 아이디얼의 소인수 분해 가 존재하므로,
D
{\displaystyle D}
의 아이디얼
a
=
∏
i
p
i
n
i
(
n
i
≥
0
)
{\displaystyle {\mathfrak {a}}=\prod _{i}{\mathfrak {p}}_{i}^{n_{i}}\qquad (n_{i}\geq 0)}
는 베유 효과적 인자
∑
i
n
i
Spec
(
D
/
p
i
)
{\displaystyle \sum _{i}n_{i}\operatorname {Spec} (D/{\mathfrak {p}}_{i})}
와 대응한다. 이 경우,
D
{\displaystyle D}
의 임의의 베유 인자는
D
{\displaystyle D}
의 인자 아이디얼
a
=
∏
i
p
i
n
i
(
n
i
∈
Z
)
{\displaystyle {\mathfrak {a}}=\prod _{i}{\mathfrak {p}}_{i}^{n_{i}}\qquad (n_{i}\in \mathbb {Z} )}
에 대응한다.
D
{\displaystyle D}
의 분수체 의 원소
a
∈
Frac
D
{\displaystyle a\in \operatorname {Frac} D}
로 생성되는 주 분수 아이디얼
D
a
{\displaystyle Da}
은
Spec
D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D}
의 베유 주인자에 대응한다. 따라서,
D
{\displaystyle D}
의 베유 인자 유군은
D
{\displaystyle D}
의 아이디얼 유군 과 같다.
예를 들어, 정수환 의 스펙트럼
Spec
Z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mathbb {Z} }
에서, 베유 인자들은 양의 유리수 와 일대일 대응 하며, 이 경우 유리수
∏
i
p
i
n
i
(
n
i
∈
Z
)
{\displaystyle \prod _{i}p_{i}^{n_{i}}\qquad (n_{i}\in \mathbb {Z} )}
는 베유 인자
∑
i
n
i
Spec
F
p
i
{\displaystyle \sum _{i}n_{i}\operatorname {Spec} \mathbb {F} _{p_{i}}}
에 대응한다. 모든 인자 아이디얼을 어떤 유리수에 대응하는 주 분수 아이디얼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정수환의 베유 인자 유군은 자명하다. 즉, 정수환은 주 아이디얼 정역 이다.
일반적 개념
Spec
Z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mathbb {Z} }
의 경우
베유 인자
양의 유리수
소인자
소수
유효 베유 인자
양의 정수
베유 인자의 합
유리수의 곱셈
주인자
양의 유리수
베유 인자 유군
자명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