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100분 토론
문화방송의 시사교양 프로그램
《MBC 100분 토론》은 매주 화요일 밤 11시 30분에 방송되는 시사교양 프로그램이다.
![]() | |
장르 | 시사교양 |
---|---|
방송 국가 | ![]() |
방송 채널 | MBC TV |
방송 기간 | 1999년 10월 21일 ~ 현재 |
방송 시간 | 매주 화요일 밤 11시 30분 ~ 12시 55분 |
방송 횟수 | 1009회 (2023년 6월 6일 기준) |
기획 | 김재영 |
제작자 | MBC 시사교양본부 |
연출 | 김성진 김보람 |
진행자 | 정준희 |
음성 | 2채널 돌비 디지털 (디지털) |
자막 | 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자막 방송 |
HD 방송 여부 | HD 생방송 |
관련 프로그램 | 생방송 심야토론 |
기획 의도편집
방송 시간편집
진행자편집
대수 | 진행자 | 진행 기간 |
---|---|---|
1대 | 정운영 | 1999년 10월 21일 ~ 2000년 6월 22일[1] |
2대 | 유시민 | 2000년 7월 6일 ~ 2002년 1월 11일[1] |
3대 | 손석희 | 2002년 1월 18일[2] ~ 2009년 11월 19일 |
4대 | 권재홍[3] | 2009년 12월 3일[4] ~ 2010년 5월 13일[5] |
5대 | 박광온 | 2010년 5월 20일 ~ 2011년 5월 26일 |
6대 | 황헌 | 2011년 6월 2일 ~ 2012년 2월 21일[6] |
7대 | 신동호 | 2012년 2월 28일 ~ 2013년 8월 13일[7] |
8대 | 정관용 | 2013년 8월 20일 ~ 2014년 4월 29일 |
9대 | 박경미 | 2014년 5월 13일 ~ 2014년 8월 26일 |
10대 | 정연국 | 2014년 9월 16일 ~ 2015년 10월 20일[8] |
11대 | 박용찬 | 2015년 11월 10일 ~ 2017년 9월 19일 |
12대 | 윤도한 | 2018년 4월 10일 ~ 2018년 5월 29일[9] |
13대 | 김지윤 | 2018년 7월 24일 ~ 2020년 1월 21일 |
14대 | 박경추 | 2020년 2월 6일 ~ 2020년 7월 30일 |
15대 | 정준희 | 2020년 8월 27일 ~ 현재 |
시간 기록편집
MBC 100분 토론은 보통 새벽 2시에 끝나나 때때로 유동적이기 때문에 100분이 넘어가는 경우도 있으며, 역대 시간 기록은 다음과 같다.
- 2002년 3월 8일 (금) : 2시간 30분 기록 (21:55 ~ 00:25)
- 주제 : 특집 - 7인후보 합동대토론 <민주당>
- 회차 : 107회
- 2003년 5월 8일 (목) : 6시간 17분 기록 (23:15 ~ 05:12)
- 주제 : 정치 개혁 대토론-'한국 정치의 새로운 비전을 열자'
- 회차 : 153회
- 2003년 6월 5일 (목) : 4시간 51분 기록
- 주제 : 끝장토론 Ⅱ- NEIS와 교육계 갈등, 해법은 없나
- 회차 : 157회
- 2003년 11월 20일 (목) : 3시간 23분 기록
- 주제 : <특별 생방송 ‘정치를 바꿉시다’> - 정치개혁 국민의 힘으로 (1부), 정치개혁 이렇게 하자 (2부)
- 회차 : 179회
- 2008년 5월 8일 (목) : 3시간 30분 기록 (23:15 ~ 02:25)
- 주제 : 미국산 쇠고기, 안전한가
- 회차 : 372회
- 2009년 5월 14일 (목) : 3시간 17분 기록 (00:10 ~ 03:27)
- 주제 : 연속 기획 "한국사회 진단과 미래논쟁 Ⅲ"-보수·진보, 갈등을 넘어 상생으로
- 회차 : 419회
- 2019년 10월 22일 (화) : 2시간 5분 기록 (20:55 ~ 23:00)
- 2022년 1월 13일 (목) : 2시간 기록 (21:00 ~ 23:00)
- 주제 : 선택 2022 특집 - 여VS야, 청년층을 잡기 위한 정공(정책·공약)은 (1부), 판 읽는 선수들 (2부)
- 회차 : 945회
- 2022년 1월 20일 (목) : 2시간 기록 (21:00 ~ 23:00)
- 주제 : 선택 2022 특집 위기의 진보정치, 심상정에게 묻는다 - 위기의 진보정치, 심상정에게 묻는다 (1부), 박영선 VS 원희룡, 여야 후보의 경제 정책과 공약은? (2부)
- 회차 : 946회
- 2022년 1월 27일 (목) : 2시간 기록 (21:00 ~ 23:00)
- 주제 : 선택 2022 특집 대선 D-40, 민심은 어디로? - 대선의 분수령이 될 설 연휴, 민심은 어디로? (1부), 양자 TV 토론, 그 전망은? (2부)
- 회차 : 947회
결방 사유 및 편성 변경편집
1990년대편집
1999년편집
- 12월 2일 : 창사특집 《베스트 TV MBC가 좋다》 편성으로 인한 결방.
- 12월 23일 : 밀레니엄 특집 《그 순간의 감동이》 편성으로 인한 결방.
- 12월 30일 : 《99 MBC 연기대상》 시상식 편성으로 인한 결방.
2000년대편집
2000년편집
- 2월 3일 : 설날특선영화 《투캅스 3》 편성으로 인한 결방.
- 4월 13일 : 《선택 2000》 제16대 총선 개표방송으로 인한 결방.
- 6월 29일 : 특집다큐멘터리 《베트남 전쟁》 편성으로 인한 결방.
- 8월 17일 : 이산가족상봉 특집쇼 《노래는 하나되어》 편성으로 인한 결방.
- 9월 14일 ~ 9월 28일 : 2000 시드니 올림픽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10월 26일 : 2000년 아시안컵 《대한민국 VS 사우디》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11월 23일 : 특선대작 시리즈 《007 살인면허》 편성으로 인한 결방.
2001년편집
- 1월 25일 : 설날특선대작 《007 네버 다이》 편성으로 인한 결방.
- 5월 31일 : 창사 40주년 특별기획 《월드컵 앞으로 365일》 편성으로 인한 결방.
- 8월 16일 : 창사 40주년 8.15 특별기획 《재외동포 600만 꿈을 찾아서》 편성으로 인한 결방.
- 10월 4일 : 특선영화 《스피시즈 2》 편성으로 인한 결방.
- 12월 28일 : 창사 40주년 특별기획 《떠오르는 신 중국》 편성으로 인한 결방
2002년편집
- 2월 15일 : 특집 콘서트 《브리트니 스피어스》 편성으로 인한 결방.
- 3월 29일 : 한중수교 100주년 특별기획 《중국탐구 - 3부》 편성으로 인한 결방.
- 5월 16일 : 월드컵 대표팀 평가전 《대한민국 VS 스코틀랜드》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5월 30일 : 2002 FIFA 월드컵 문화 큰잔치 경축 전야제 편성으로 인한 결방.
- 6월 6일 ~ 6월 13일 : 2002 한일 월드컵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6월 27일 : 미니시리즈 《로망스》 2회 연속 편성으로 인한 결방.
- 8월 15일 : 특집다큐 《동티모르, 500년 만의 홀로서기 편성으로 인한 결방.
- 10월 10일 : 2002 부산 아시안게임 축구 준결승 《대한민국 VS 이란》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12월 12일 : 제16대 대통령후보 초청 합동토론회 편성으로 인한 결방.
- 12월 19일 : 《선택 2002》 제16대 대통령선거 개표방송으로 인한 결방.
2003년편집
- 1월 2일 : 신년특별기획 《KOREA》 편성으로 인한 결방.
- 1월 30일 : 설날특집 다큐멘터리 《쌀의 전쟁》 편성으로 인한 결방.
- 2월 20일 : 긴급진단 《대구지하철 참사》 편성으로 인한 결방.
- 4월 10일 : 2003 MBC 특별기획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평화기원 콘서트》 편성으로 인한 결방.
- 8월 14일 : 추석특선영화 《울랄라 씨스터즈》 편성으로 인한 결방.
- 12월 25일 : 성탄특선영화 《닥터 두리틀》 편성으로 인한 결방.
2004년편집
- 1월 1일 : 수목미니시리즈 《천생연분》 2회 연속 편성으로 인한 결방.
- 1월 20일 : 설날특선대작 《연예소설》 편성으로 인한 결방.
- 4월 8일 : 제17대 총선 정당정책토론회 편성으로 인한 결방.
- 4월 15일 : 《선택 2004》 제17대 총선 개표방송으로 인한 결방.
- 6월 24일 : 특집 다큐멘터리 《살아오는 고구려》 편성으로 인한 결방.
- 8월 5일 : 대한민국 음악축제 록 페스티벌 편성으로 인한 결방.
- 8월 19일 ~ 8월 26일 : 2004 아테네 올림픽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9월 30일 : 수목미니시리즈 《아일랜드》 2회 연속 편성으로 인한 결방.
- 11월 25일 : 창사특집다큐 《대립과 갈등을 넘어》 편성으로 인한 결방.
- 12월 30일 : 《2004 MBC 연기대상》 시상식 편성으로 인한 결방.
2005년편집
2020년대편집
2020년편집
- 8월 6일 ~ 2020년 8월 20일 : 코로나19 확산 방지 및 방송 재정비로 인한 방송 일시 중단.
- 9월 3일 : MBC 다큐프라임 편성으로 인한 결방.
- 9월 29일 : 추석특집 볼빨간 라면연구소 편성으로 인한 결방.
- 11월 5일 : 글로벌 도네이션 쇼 W <국내편 스페셜> 편성으로 인해 목요일 밤 10시 40분에 미국 대선 특집으로 방송.
- 11월 25일 : 안싸우면 다행이야 1.2부 재방송으로 인한 결방.
2021년편집
- 1월 4일 : 월요일 밤 9시 20분에 2021년 신년특집으로 방송.
- 2월 15일 : 월요일 밤 10시 40분에 더불어민주당 서울시장 경선 후보자 토론회 특집으로 방송.
- 3월 29일 : 월요일 밤 10시 40분에 2021 서울시장, 당신의 선택은? - 4.7서울시장 후보자 토론회 특집으로 방송.
- 4월 20일 : 바꿔줘 홈즈 1.2부 스페셜 편성으로 인한 결방.
- 7월 27일 ~ 8월 3일 : 2020 도쿄 올림픽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8월 24일 : 2020 도쿄 패럴림픽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8월 30일 : 월요일 밤 10시 35분에 언론중재법 충돌과 여야 당대표 토론 특집으로 방송할 예정이었으나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의 불참 통보 편성으로 인한 결방.
- 9월 16일 : 목요일 밤 9시에 추석특집 여야 당대표 토론과 민심을 읽다로 방송
- 9월 23일 : 추석 연휴로 인해 목요일 낮 12시 20분에 정의당 대선 경선 후보자 토론회 특집으로 방송.
- 10월 15일 : 금요일 밤 8시 10분에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자 토론회 특집으로 방송.
- 11월 2일 : 방과후 설렘 프리퀄 오은영의 등교전 망설임 재방송으로 인한 결방.
- 12월 28일 : 특집 러브 마피아 편성으로 인한 결방.
2022년편집
- 2월 3일 : 방송3사 합동 초청 2022 대선후보토론 편성으로 인한 결방.
- 2월 12일 : 2022 베이징 동계 올림픽 중계방송으로 인해 토요일 밤 8시 50분에 방송.
- 6월 7일 : MBC 다큐프라임 편성으로 인한 결방.
- 9월 6일 : 놀면 뭐하니? 스페셜 편성으로 인한 결방.
- 11월 22일 ~ 12월 6일 : 2022 카타르 월드컵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2023년편집
타이틀 변천사편집
기수 | 타이틀 | 방송 기간 |
---|---|---|
1기 | 일요토론 | 1987년 |
2기 | 박경재의 시사토론 | 1989년 4월 21일 ~ 1989년 12월 1일 |
3기 | MBC 시사토론 | 1989년 12월 8일 ~ 1994년 6월 3일 |
4기 | MBC 대토론회 | 1998년 5월 23일 ~ 1999년 6월 30일[10] |
5기 | MBC 100분 토론 | 1999년 10월 21일 ~ 현재 |
각주편집
- ↑ 가 나 MBC 100분 토론
- ↑ 2009년 11월 19일 'MBC 100분 토론' 443회 방송분
- ↑ 임은진 (2009년 11월 5일). “'100분 토론', 손석희 후임에 권재홍 기자”. 연합뉴스. 2009년 11월 5일에 확인함.
- ↑ 나경원 의원 미디어법 발언 논란, '100분 토론'서 시민논객과 붙어 잘못된 주장 | 아츠뉴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MBC 뉴스데스크 앵커로 발탁되면서 하차
- ↑ MBC 보도국장에 임명되면서 하차
- ↑ MBC 라디오 신동호의 시선 집중에 집중하기 위해 하차
- ↑ 청와대 대변인에 임명되면서 하차
- ↑ 청와대 국민소통수석 비서에 임명되면서 하차.
- ↑ 월 1회 방송
외부 링크편집
MBC TV 화요일 프로그램 | ||
이전 | MBC 100분 토론 | 다음 |
혓바닥 종합격투기 세치혀 | TV 예술무대 | |
밤 10시 | 밤 11시 30분 | 밤 12시 55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