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의 계절》은 1985년 10월 19일부터 이듬해 6월 29일까지 방영된 문화방송 주말연속극이다.

남자의 계절
장르 드라마
방송 국가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방송 채널 MBC
방송 기간 1985년 10월 19일 ~ 1986년 6월 29일
방송 시간 , 8시 ~ 9시
방송 분량 1시간
방송 횟수 73부작
연출 박철
각본 이희우
출연자 이덕화, 최명길, 전운, 김수미
음성 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아날로그)

소개

편집

가부장제 집안하고 현대적 가정에서 정반대의 성격으로 자라난 남녀가 서로 국수를 먹게 되고, 양가 부모가 서로 사돈을 맺게 되면서 양가가 겪게되는 갈등을 코믹하게 풀어나가고, 동시에 올바른 삶의 가치관하고 지표를 제시한다는 내용의 홈 멜로 드라마.

등장 인물

편집

미란네 집안

편집
  • 전운(박구홍) : 장춘자 남편. 김준태 장인.
박미란, 미야 자매 아버지. 보석상 사장.
  • 김수미(장춘자 여사) : 박구홍 부인. 김준태 장모.
박미란, 미야 자매 어머니. 보석상 여사장.
  • 최명길(박미란) : 박구홍, 장 여사 부부 장녀.
김준태 약혼녀. 김준석 제수. 김중한, 이복례 부부 둘째 며느리.
  • 김도연(박미야) : 박구홍, 장 여사 부부 차녀.
김준태 처제.

준태네 집안

편집
  • 한은진(한은진 여사) : 김중한 어머니.
김준태, 김준석 형제 할머니.
  • 변희봉(김중한) : 이복례 남편. 준태 아버지.
김준태, 김준석 형제 아버지. 박미란 시아버지.
  • 전양자(이복례 여사) : 김중한 부인. 준태 어머니.
김준태, 김준석 형제 어머니. 박미란 시어머니. 김진숙 여사의 친정 계모.
  • 이덕화(김준태) : 김중한, 이 여사 부부 둘째 아들.
박미란 약혼남. 박미야 형부. 박구홍, 장춘자 부부 사위. 한은진 둘째 손자. 신발회사 개발부에 근무
한은진 큰손자. 수라 남편.
  • 오미연(오수라 여사) : 김준석 부인.
김준태 형수. 김중한, 이복례 부부 맏며느리.
  • 박원숙(김진숙 여사) : 송영식 부인.
송필달 며느리. 김중한의 잃어버린 딸. 김준태, 준석 형제의 이복 누나.

김진숙의 시댁 관련

편집
  • 김무생(송필달) :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 거주하는 김중한 친구.
김진숙 시아버지. 송영식 아버지.
  • 나영진(송영식) : 송 영감(송필달)의 아들.
다혜를 짝사랑, 김진숙 남편. 서울 시내 버스 드라이버.
  • 박영태(황갑룡) : 충청남도 당진 지역에 거주하는 김중한 친구.
송영식 외숙부. 송필달 친구인 동시에 동갑내기 손윗처남.
  • 신국(황태룡) : 충청남도 홍성 지역에 분가 및 거주하는 송영식 막내 외숙부.
송필달의 두 살 어린 손윗처남.
  • 한상혁(송상달) : 충청남도 천안 지역에 분가 및 거주하는 송영식 막내 친숙부.
김진숙 시삼촌(남편의 삼촌). 송필달의 네 살 터울 아우.

그 외 인물

편집
  • 최상훈(남궁진호) : 미란을 짝사랑하던 남자.
부잣집 둘째 자제.
  • 김애경(금다혜) : 미국 유학을 마치고 돌아온 미란의 선배.
미란의 선배이자 절친.
  • 서갑숙(서영희) : 진숙의 보육원(고아원) 시절 친구.
진숙의 절친.
  • 남영진(장원욱) : 진호의 국민학교(지금의 초등학교) 동기생.
진호의 절친.
  • 한영숙(한삭호 여사) : 원욱의 처.
충청북도 청주댁.
  • 김기웅(장기웅) : 원욱의 첫째 아들.
만5세.
  • 문혁(장문혁) : 원욱의 둘째 아들.
만4세.
  • 김성찬(고복배) : 진호의 국민학교 동기생
진호의 절친.
  • 국정환(황보순혁) : 진호의 국민학교 선배.
진호의 선배이자 절친.
경상북도 예천댁. 팔봉 엄마.
국민학교 3학년
남궁 서방. 슬하 2남(두 아들 철순과 길순)을 둠.
  • 이숙(강숙 여사) : 진호의 형수.
강 여사. 철순과 길순의 엄마.
  • 김혜옥(남궁차숙 여사) : 진호의 누이동생.
선진 엄마, 대웅의 처.
세덕의 사위, 선진 아범.
  • 김동수(남궁계호) : 진호의 막냇동생.
중학교 2학년, 맏조카(철순)보다 한 살 많은 둘째 삼촌, 그리고 생질녀(선진)보다는 아홉 살 많은 막내 외숙.
  • 우봉식(남궁철순) : 두호의 첫째 아들.
중학교 1학년.
  • 정명현(남궁길순) : 두호의 둘째 아들.
국민학교 2학년. 형(철순)과 다섯 살 터울.
  • 김기현(남궁세덕) : 진호의 아버지.
철순과 길순의 할아버지, 부잣집 대주, 선진의 외조부.
  • 이수나(정묘수 여사) : 진호의 어머니.
철순과 길순의 할머니, 부잣집 어부인, 선진의 외조모.
  • 박선희(신선진) : 진호의 생질녀.
대웅과 차숙의 딸, 만5세.
  • 송옥숙(신송이) : 대웅의 누이동생.
차숙의 손아랫시누, 선진의 고모.
  • 정호근(안희근) : 대학교 종교학과 4학년 1학기 재학생.
두호의 집안에서 봉급 및 강의 계약기간이 모두 무사히 만료된 철순과 길순의 옛 고용직 가정교사.
철순과 길순의 외조부.
  • 홍승옥(김태훤 여사) : 두호의 장모.
철순과 길순의 외조모.
강숙 여사 친정 동생.
  • 박찬환(강시오) : 두호의 작은처남.
강숙 여사 친정 막내 동생.
  • 박영지(송섭재) : 두호의 처이모부.
강숙 여사 이모부.
  • 서영애(김태영 여사) : 두호의 처이모.
태훤 동생, 섭재 부인.
  • 김용선(송지미 여사) : 섭재의 첫째 딸.
철만의 부인.
맹 서방, 지미 남편.
  • 송영웅(송지석) : 섭재의 외동아들.
지미의 남동생.
  • 이상숙(송상미) : 섭재의 막내 딸.
지미의 여동생.

수상

편집

참고 사항

편집
  • 김수미는 해당 드라마에서 《전원일기》의 할머니 이미지를 벗고 도시 여성상을 실감나게 표현해내어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1986년 MBC 연기대상을 수상하였다.[1]
  • 1980년대 중후반과 1990년대 초반을 풍미한 아역 배우 출신 정명현의 데뷔작이기도 하다.

각주

편집
  1. “탤런트 金守美(김수미)”. 경향신문. 1986년 2월 25일. 
문화방송 주말연속극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아무렴 그렇지, 그렇고 말고
(1985년 5월 4일 ~ 10월 13일)
남자의 계절
(1985년 10월 19일 ~ 1986년 6월 29일)
풀잎마다 이슬
(1986년 7월 5일 ~ 12월 1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