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주론 에서 내림 데이터 (-data, 영어 : descent datum , 프랑스어 : donnée de descente )는 어떤 올범주 의 밑범주 속의 대상의 덮개 위에 주어진, 각 덮개 원소 위의 올범주의 대상들로 구성된 구조이다. 이를 사용하여, 일부 경우 밑범주 속의 대상의 올범주의 한 원소를 유일하게 재구성할 수 있다. 어떤 경우 이러한 재구성이 가능한지를 연구하는 수학 분야를 내림 이론 (영어 : descent theory , 프랑스어 : théorie de la descente )이라고 한다.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작은 범주
C
{\displaystyle {\mathcal {C}}}
C
{\displaystyle {\mathcal {C}}}
위의 올범주
Π
:
F
→
C
{\displaystyle \Pi \colon {\mathcal {F}}\to {\mathcal {C}}}
C
{\displaystyle {\mathcal {C}}}
속의 대상
U
∈
C
{\displaystyle U\in {\mathcal {C}}}
U
{\displaystyle U}
위의 체
S
⊆
hom
C
(
−
,
U
)
{\displaystyle S\subseteq \hom _{\mathcal {C}}(-,U)}
그렇다면,
S
{\displaystyle S}
는 함자
C
op
→
Set
{\displaystyle {\mathcal {C}}^{\operatorname {op} }\to \operatorname {Set} }
X
↦
S
(
X
)
{\displaystyle X\mapsto S(X)}
(
X
→
f
Y
)
↦
(
S
(
Y
)
→
f
∗
S
(
X
)
)
{\displaystyle \left(X{\xrightarrow {f}}Y\right)\mapsto \left(S(Y){\xrightarrow {f^{*}}}S(X)\right)}
로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그로텐디크 구성 을 가하여 올범주
Π
S
:
Elem
(
S
)
→
C
{\displaystyle \Pi _{S}\colon \operatorname {Elem} (S)\to {\mathcal {C}}}
를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Elem
(
S
)
{\displaystyle \operatorname {Elem} (S)}
의 대상
(
X
,
ι
)
{\displaystyle (X,\iota )}
는
X
∈
C
{\displaystyle X\in {\mathcal {C}}}
및
(
ι
:
X
→
U
)
∈
S
(
X
)
{\displaystyle (\iota \colon X\to U)\in S(X)}
로 구성된다. 즉,
X
{\displaystyle X}
위의 올은
S
(
X
)
{\displaystyle S(X)}
이다.
S
{\displaystyle S}
위의 내림 데이터 는
C
{\displaystyle {\mathcal {C}}}
-올범주의 사상
F
:
Elem
(
S
)
/
C
→
F
/
C
{\displaystyle F\colon \operatorname {Elem} (S)/{\mathcal {C}}\to {\mathcal {F}}/{\mathcal {C}}}
이다. 즉, 가환 그림
Elem
(
S
)
→
F
↘
↓
C
{\displaystyle {\begin{matrix}\operatorname {Elem} (S)&\to &{\mathcal {F}}\\&\searrow &\downarrow \\&&{\mathcal {C}}\end{matrix}}}
을 이루며, 데카르트 사상을 데카르트 사상으로 대응시키는 함자 이다.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위치
C
{\displaystyle {\mathcal {C}}}
C
{\displaystyle {\mathcal {C}}}
위의 올범주
Π
:
F
→
C
{\displaystyle \Pi \colon {\mathcal {F}}\to {\mathcal {C}}}
C
{\displaystyle {\mathcal {C}}}
의 대상
U
∈
C
{\displaystyle U\in {\mathcal {C}}}
U
{\displaystyle U}
의 덮개체
{
ι
i
:
U
i
→
U
}
i
∈
I
{\displaystyle \{\iota _{i}\colon U_{i}\to U\}_{i\in I}}
그렇다면,
S
{\displaystyle S}
위의 내림 데이터 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각
i
∈
I
{\displaystyle i\in I}
에 대하여, 대상
F
i
∈
F
(
U
i
)
{\displaystyle F_{i}\in {\mathcal {F}}(U_{i})}
임의의 사상
u
:
U
i
→
U
j
{\displaystyle u\colon U_{i}\to U_{j}}
에 대하여 (
ι
j
∘
u
=
ι
i
{\displaystyle \iota _{j}\circ u=\iota _{i}}
),
Π
(
ϕ
u
)
=
u
{\displaystyle \Pi (\phi _{u})=u}
인 데카르트 사상
ϕ
u
:
F
i
→
F
j
{\displaystyle \phi _{u}\colon F_{i}\to F_{j}}
이 데이터는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켜야 한다.
u
=
id
U
i
{\displaystyle u=\operatorname {id} _{U_{i}}}
일 때,
ϕ
id
U
i
=
id
F
i
{\displaystyle \phi _{\operatorname {id} _{U_{i}}}=\operatorname {id} _{F_{i}}}
임의의
U
i
→
u
U
j
→
v
U
k
{\displaystyle U_{i}{\xrightarrow {u}}U_{j}{\xrightarrow {v}}U_{k}}
에 대하여 (
ι
j
∘
u
=
ι
i
{\displaystyle \iota _{j}\circ u=\iota _{i}}
,
ι
k
∘
v
=
ι
j
{\displaystyle \iota _{k}\circ v=\iota _{j}}
),
ϕ
v
∘
u
=
ϕ
v
∘
ϕ
u
{\displaystyle \phi _{v\circ u}=\phi _{v}\circ \phi _{u}}
만약 올범주
F
/
C
{\displaystyle {\mathcal {F}}/{\mathcal {C}}}
의 쪼갬이 주어졌다면, 쪼갬에 의하여 주어진 표준적 올림
u
∗
F
j
→
F
j
{\displaystyle u^{*}F_{j}\to F_{j}}
이 주어지며, 이 경우 (데카르트 사상 의 보편 성질 에 의하여)
ϕ
u
{\displaystyle \phi _{u}}
는 (유일하게 결정되는) 동형 사상
F
i
→
u
∗
F
j
{\displaystyle F_{i}\to u^{*}F_{j}}
으로 생각해도 된다. 그러나 내림 데이터의 개념은 선택한 쪼갬에 의존하지 않는다.
체를 사용한 정의는 체를 생성하는 사상 집합
{
ι
i
:
U
i
→
U
}
{\displaystyle \{\iota _{i}\colon U_{i}\to U\}}
에 대하여 적용되도록 번역할 수 있다. 즉,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모든 당김 을 갖는 작은 범주
C
{\displaystyle {\mathcal {C}}}
C
{\displaystyle {\mathcal {C}}}
위의 올범주
Π
:
F
→
C
{\displaystyle \Pi \colon {\mathcal {F}}\to {\mathcal {C}}}
C
{\displaystyle {\mathcal {C}}}
의 대상
U
∈
C
{\displaystyle U\in {\mathcal {C}}}
U
{\displaystyle U}
를 공역 으로 하는 사상들의 집합
{
ι
i
:
U
i
→
U
}
i
∈
I
{\displaystyle \{\iota _{i}\colon U_{i}\to U\}_{i\in I}}
.
그렇다면,
S
{\displaystyle S}
위의 내림 데이터 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각
i
∈
I
{\displaystyle i\in I}
및 사상
f
:
X
→
U
i
{\displaystyle f\colon X\to U_{i}}
에 대하여, 대상
F
i
,
f
∈
F
(
X
)
{\displaystyle F_{i,f}\in {\mathcal {F}}(X)}
각 가환 오각형
X
→
f
U
i
→
ι
i
U
u
↓
‖
X
′
→
f
′
U
j
→
ι
j
U
{\displaystyle {\begin{matrix}X&{\overset {f}{\to }}&U_{i}&{\overset {\iota _{i}}{\to }}&U\\\scriptstyle u\downarrow &&&&\|\\X'&{\underset {f'}{\to }}&U_{j}&{\underset {\iota _{j}}{\to }}&U\end{matrix}}}
에 대하여,
Π
(
F
i
,
f
,
u
,
j
,
f
′
)
=
u
{\displaystyle \Pi (F_{i,f,u,j,f'})=u}
인 데카르트 사상
ϕ
i
,
f
,
u
,
j
,
f
′
:
F
i
,
f
→
F
j
,
f
′
{\displaystyle \phi _{i,f,u,j,f'}\colon F_{i,f}\to F_{j,f'}}
이 데이터는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켜야 한다.
f
:
X
→
U
i
{\displaystyle f\colon X\to U_{i}}
에 대하여,
ϕ
i
,
f
id
X
,
i
,
f
=
id
F
i
{\displaystyle \phi _{i,f\operatorname {id} _{X},i,f}=\operatorname {id} _{F_{i}}}
임의의 당김
U
i
×
U
U
j
→
U
i
↓
↓
ι
i
U
j
→
ι
j
U
{\displaystyle {\begin{matrix}U_{i}\times _{U}U_{j}&\to &U_{i}\\\downarrow &&\downarrow \scriptstyle \iota _{i}\\U_{j}&{\underset {\iota _{j}}{\to }}&U\end{matrix}}}
에 대하여,
F
i
,
proj
U
i
=
F
j
,
proj
U
j
{\displaystyle F_{i,\operatorname {proj} _{U_{i}}}=F_{j,\operatorname {proj} _{U_{j}}}}
임의의 가환 그림
X
→
f
U
i
→
ι
i
U
u
↓
‖
X
′
→
f
′
U
j
→
ι
j
U
v
↓
‖
X
″
→
f
″
U
k
→
ι
k
U
{\displaystyle {\begin{matrix}X&{\overset {f}{\to }}&U_{i}&{\overset {\iota _{i}}{\to }}&U\\\scriptstyle u\downarrow &&&&\|\\X'&{\underset {f'}{\to }}&U_{j}&{\underset {\iota _{j}}{\to }}&U\\\scriptstyle v\downarrow &&&&\|\\X''&{\underset {f''}{\to }}&U_{k}&{\underset {\iota _{k}}{\to }}&U\end{matrix}}}
에 대하여,
ϕ
j
,
f
′
,
v
,
k
,
f
″
∘
ϕ
i
,
f
,
u
,
j
,
f
′
=
ϕ
k
,
f
″
,
v
∘
u
,
i
,
f
{\displaystyle \phi _{j,f',v,k,f''}\circ \phi _{i,f,u,j,f'}=\phi _{k,f'',v\circ u,i,f}}
올범주
F
/
C
{\displaystyle {\mathcal {F}}/{\mathcal {C}}}
의 정규 쪼갬이 주어졌다고 하자. 즉, 각
F
∈
F
{\displaystyle F\in {\mathcal {F}}}
및
f
∈
Mor
(
C
)
{\displaystyle f\in \operatorname {Mor} ({\mathcal {C}})}
에 대하여 올림
f
∗
X
→
ϕ
f
,
X
X
{\displaystyle f^{*}X{\xrightarrow {\phi _{f,X}}}X}
가 주어졌고, 항등 사상의 올림이 항등 사상이라고 하자. 또한,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각
i
∈
I
{\displaystyle i\in I}
에 대하여, 대상
F
i
∈
F
(
U
i
)
{\displaystyle F_{i}\in {\mathcal {F}}(U_{i})}
각
i
,
j
∈
I
{\displaystyle i,j\in I}
및 당김
U
i
←
proj
U
i
U
i
×
U
U
j
→
proj
U
j
U
j
{\displaystyle U_{i}{\xleftarrow {\operatorname {proj} _{U_{i}}}}U_{i}\times _{U}U_{j}{\xrightarrow {\operatorname {proj} _{U_{j}}}}U_{j}}
에 대하여, 동형 사상
ϕ
i
j
:
proj
U
j
∗
F
j
→
proj
U
i
∗
F
i
{\displaystyle \phi _{ij}\colon \operatorname {proj} _{U_{j}}^{*}F_{j}\to \operatorname {proj} _{U_{i}}^{*}F_{i}}
이 데이터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모든
i
∈
I
{\displaystyle i\in I}
에 대하여
ϕ
i
,
i
=
id
{\displaystyle \phi _{i,i}=\operatorname {id} }
이며,
ϕ
i
,
j
∘
ϕ
j
,
i
=
id
{\displaystyle \phi _{i,j}\circ \phi _{j,i}=\operatorname {id} }
이다.
(공사슬 조건 영어 : cocycle condition ) 모든
i
,
j
,
k
∈
I
{\displaystyle i,j,k\in I}
에 대하여,
proj
13
∗
ϕ
i
,
k
=
proj
12
∗
ϕ
i
,
j
∘
proj
23
∗
ϕ
j
,
k
:
proj
3
∗
F
i
→
proj
1
∗
F
k
{\displaystyle \operatorname {proj} _{13}^{*}\phi _{i,k}=\operatorname {proj} _{12}^{*}\phi _{i,j}\circ \operatorname {proj} _{23}^{*}\phi _{j,k}\colon \operatorname {proj} _{3}^{*}F_{i}\to \operatorname {proj} _{1}^{*}F_{k}}
. 여기서
proj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proj} _{(-)}}
는
U
i
×
U
U
j
×
U
U
k
{\displaystyle U_{i}\times _{U}U_{j}\times _{U}U_{k}}
의 각종 사영 사상이다.
그렇다면, 임의의 사상
f
:
X
→
U
i
{\displaystyle f\colon X\to U_{i}}
에 대하여
F
i
,
f
=
dom
f
∗
F
i
{\displaystyle F_{i,f}=\operatorname {dom} f^{*}F_{i}}
인 내림 데이터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모든 내림 데이터는 이러한 꼴의 내림 데이터와 동형이다. 즉, 위와 같이, 쪼갬과 공사슬 조건을 통해 정의한 내림 데이터의 범주는 체를 통하여 정의한 내림 데이터의 범주와 동치 이다.
올범주
Π
:
E
→
B
{\displaystyle \Pi \colon {\mathcal {E}}\to {\mathcal {B}}}
및
B
{\displaystyle {\mathcal {B}}}
위의 그로텐디크 위상 및 대상
U
∈
B
{\displaystyle U\in {\mathcal {B}}}
및 그 덮개
{
U
i
→
U
}
i
∈
I
{\displaystyle \{U_{i}\to U\}_{i\in I}}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두 범주를 생각할 수 있다.
U
{\displaystyle U}
위의 올
E
(
U
)
{\displaystyle {\mathcal {E}}(U)}
덮개
{
U
i
→
U
}
i
∈
I
{\displaystyle \{U_{i}\to U\}_{i\in I}}
에 대한 내림 데이터의 범주
Desc
(
{
U
i
→
U
}
i
∈
I
)
{\displaystyle \operatorname {Desc} (\{U_{i}\to U\}_{i\in I})}
또한,
Π
{\displaystyle \Pi }
위의 쪼갬이 주어졌다면, 자연스러운 함자
E
(
U
)
→
Desc
(
{
ι
i
:
U
i
→
U
}
i
∈
I
)
{\displaystyle {\mathcal {E}}(U)\to \operatorname {Desc} (\{\iota _{i}\colon U_{i}\to U\}_{i\in I})}
가 존재한다. 이 함자는
F
∈
E
(
U
)
{\displaystyle F\in {\mathcal {E}}(U)}
에 대하여,
F
i
{\displaystyle F_{i}}
에 대하여
F
i
=
ι
i
∗
F
{\displaystyle F_{i}=\iota _{i}^{*}F}
를 대응시킨다.
만약 이 함자
E
(
U
)
→
Desc
(
{
ι
i
}
i
∈
I
)
{\displaystyle {\mathcal {E}}(U)\to \operatorname {Desc} (\{\iota _{i}\}_{i\in I})}
가 충실충만한 함자 라면, 덮개
{
ι
i
}
i
∈
I
{\displaystyle \{\iota _{i}\}_{i\in I}}
가 충실충만한 내림 (充實充滿-, 영어 : fully faithful descent )을 보인다고 한다. 만약 이 함자가 범주의 동치 라면, 덮개
{
ι
i
}
i
∈
I
{\displaystyle \{\iota _{i}\}_{i\in I}}
가 효과적 내림 (效果的-, 영어 : effective descent )을 보인다고 한다. 충실충만한 내림의 경우, 특정 내림 데이터로부터
E
(
U
)
{\displaystyle {\mathcal {E}}(U)}
속의 올을 재구성할 수 있으며, 효과적 내림의 경우 모든 내림 데이터로부터 이러한 올을 재구성할 수 있다. (이 조건들은 올범주의 쪼갬의 손택에 의존하지 않는다.)
올범주
Π
:
E
→
B
{\displaystyle \Pi \colon {\mathcal {E}}\to {\mathcal {B}}}
및
B
{\displaystyle {\mathcal {B}}}
위의 그로텐디크 위상 에 대하여,
만약
B
{\displaystyle {\mathcal {B}}}
위의 모든 덮개에 대하여 충실충만한 내림이 성립한다면,
Π
{\displaystyle \Pi }
를 준스택 (영어 : prestack )이라고 한다.
만약
B
{\displaystyle {\mathcal {B}}}
위의 모든 덮개에 대하여 효과적 내림이 성립한다면,
Π
{\displaystyle \Pi }
를 스택 (영어 : stack )이라고 한다.
위상 공간의 범주의 화살표 범주
Top
→
{\displaystyle \operatorname {Top} ^{\to }}
를 생각하자. 연속 함수 를 그 공역 으로 대응시키는 함자
cod
:
Top
→
→
Top
{\displaystyle \operatorname {cod} \colon \operatorname {Top} ^{\to }\to \operatorname {Top} }
에 의하여, 이는 올범주를 이루며,
X
{\displaystyle X}
위의 올은 조각 범주
Top
/
X
{\displaystyle \operatorname {Top} /X}
이다.
이 경우, 위상 공간의 통상적인 그로텐디크 위상 에서, 덮개는 (위상수학의) 열린 덮개 이며, 모든 열린 덮개에 대하여 효과적 내림이 성립한다. 즉,
Top
→
{\displaystyle \operatorname {Top} ^{\to }}
은
Top
{\displaystyle \operatorname {Top} }
위의 스택 을 이룬다.
준연접층
QCoh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QCoh} (-)}
는 스킴의 범주
Sch
{\displaystyle \operatorname {Sch} }
위의 올범주를 이룬다.
Sch
{\displaystyle \operatorname {Sch} }
위의, fpqc 위상 에서의 모든 덮개에 대하여 유효 내림이 성립한다. 따라서,
QCoh
{\displaystyle \operatorname {QCoh} }
는 (fpqc 위상 을 부여한)
Sch
{\displaystyle \operatorname {Sch} }
위의 스택 을 이룬다. fpqc 위상은 매우 섬세하며, 이보다 더 엉성한 위상 (에탈 위상 , 자리스키 위상 ) 등에서도 따라서 효과적 내림이 성립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스킴
S
∈
Sch
{\displaystyle S\in \operatorname {Sch} }
에 대하여,
QCoh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QCoh} (-)}
는 조각 범주
Sch
/
S
{\displaystyle \operatorname {Sch} /S}
위의 올범주를 이루며, fpqc 위상 을 부여한다면 이 역시 스택 을 이룬다.
내림 이론 및 내림 데이터는 《마리 숲 대수기하학 세미나》 1권[ 1] 에서 도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