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너 환
대수적 K이론에서 밀너 환(Milnor環, 영어: Milnor ring)은 각 등급 성분이 대수적 K군으로 가는 자연스러운 군 준동형을 갖는 등급환이다. 그 0~2등급 성분은 대수적 K군과 동형이지만, 이는 고차 등급 성분에서 성립하지 않는다.
정의
편집체 위의 차 밀너 환 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이는 자연수 계수 등급환을 이룬다. 자연수 에 대하여, 밀너 환의 등급 성분을 차 밀너 K군( 次Milnor K群, 영어: th Milnor K-group) 이라고 한다.
밀너 환의 등급 원소는 보통
로 표기하며, 차 기호(記號, 영어: symbol)라고 하기도 한다. (이는 힐베르트 기호 등과 비유한 것이다. 힐베르트 기호는 밀너 환과 유사한 이라는 항등식을 만족시킨다. 여기서 우변이 0 대신 1인 것은 군 연산을 덧셈 대신 곱셈으로 표기하기 때문이다.)
성질
편집밀너 환은 등급 가환 등급환이다.
밀너 K군에서 (퀼런) 대수적 K군으로 가는 자연스러운 군 준동형이 존재한다.
이는 에 대하여 동형 사상이지만, 일 때는 일반적으로 동형 사상이 아니다.
블록-가토 추측
편집임의의 체 및 의 표수의 배수가 아닌 정수 이 주어졌다고 하자. 이 1의 거듭제곱근으로 구성된, 의 주어진 분해 가능 폐포 에 대한 절대 갈루아 군 의 가군이라고 하자.
블록-가토 추측(Bloch-[加藤]推測, 영어: Bloch–Kato conjecture)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군의 동형이 존재한다.
여기서 좌변은 차 꼬임 군이 되는 몫군이며, 우변은 절대 갈루아 군의 군 코호몰로지(=에탈 코호몰로지)이다. 이 동형 사상을 갈루아 기호(Galois記號, 영어: Galois symbol)라고 한다.
블록-가토 추측은 스펜서 재니 블록(영어: Spencer Janney Bloch)과 가토 가즈야가 제시하였고, 블라디미르 보예보츠키가 2008년에 모티브 코호몰로지를 사용하여 증명하였다.[1]
이차 형식과의 관계
편집가 표수가 2가 아닌 체라고 하자. 그 비트 환 의 기본 아이디얼(영어: fundamental ideal) 은 다음과 같은 군 준동형의 핵이다.
즉, 기본 아이디얼은 짝수 차원 벡터 공간 위의 비퇴화 이차 형식들의 비트 동치류들로 구성된 아이디얼이다.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군 준동형이 존재한다.
여기서 는 대각화된 2차원 이차 형식을 뜻하며, 우변의 는 이차 형식의 텐서곱이다. (우변과 같은 꼴의 이차 형식을 피스터 형식(Pfister形式, 영어: Pfister form)이라고 하며, 이는 알브레히트 피스터(독일어: Albrecht Pfister)가 1965년에 도입하였다.[2])
밀너 추측(Milnor推測, 영어: Milnor conjecture)에 따르면, 이는 항상 아벨 군의 동형 사상을 이룬다. 이는 존 밀너가 추측하였으며, 2007년에 드미트리 오를로프(러시아어: Дми́трий Орло́в) · 알렉산드르 비시크(러시아어: Алекса́ндр Вишик) · 블라디미르 보예보츠키가 증명하였다.[3]
예
편집임의의 체 에 대하여,
이다.
유한체의 경우
이다.
유리수체의 2차 K군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은 차 순환군을 뜻한다.
역사
편집존 밀너가 1970년에 도입하였다.[4] 이는 역사적으로 2차 대수적 K군의 최초의 올바른 구성이였다. 밀너는 마찬가지로 고차 밀너 K군을 정의하였는데, 이는 사실 고차 대수적 K군과 다르다는 것이 훗날 밝혀졌다. 그러나 고차 밀너 K군은 대수적 K군보다 더 다루기 편하며, 또 그 자체로 여러 흥미로운 성질(블록-가토 추측 등)을 가진다는 것이 밝혀졌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Voevodsky, Vladimir (2008). “On motivic cohomology with Z/l coefficients” (영어). arXiv:0805.4430. Bibcode:2008arXiv0805.4430V.
- ↑ Pfister, Albrecht (1965). “Multiplikative quadratische Formen”. 《Archiv der Mathematik》 (독일어) 16 (1): 363–370. doi:10.1007/BF01220043. ISSN 0003-889X.
- ↑ Orlov, Dmitri; Vishik, Alexander; Voevodsky, Vladimir (2007). “An exact sequence for K*M/2 with applications to quadratic forms”. 《Annals of Mathematics》 (영어) 165: 1–13. doi:10.4007/annals.2007.165.1. MR 2276765. Zbl 1124.14017.
- ↑ Milnor, John (1970). “Algebraic K-theory and quadratic forms” (PDF). 《Inventiones Mathematicae》 (영어) 9: 318–344. doi:10.1007/BF01425486. ISSN 0020-9910. 2016년 2월 1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3일에 확인함.
- Merkurjev, A. (2010). 〈Developments in algebraic K-theory and quadratic forms after the work of Milnor〉. 《Collected papers of John Milnor. Volume V: Algebra》. Collected Works (영어) 19.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399–418쪽. ISBN 978-0-8218-4876-0. 2016년 4월 1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Milnor K-theory”. 《nLab》 (영어).
- “Why is Milnor K-theory not ad hoc?”. 《Math Overflow》 (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