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상대수학 에서 군환 (群環, 영어 : group ring 그룹링[* ] )은 군 의 원소로 생성되는 자유 가군 이다. 가군과 환 의 구조를 가진다.
집합
G
{\displaystyle G}
와 환
R
{\displaystyle R}
가 주어졌을 때,
G
{\displaystyle G}
로부터 생성되는
R
{\displaystyle R}
-자유 가군 을 다음과 같이 표기하자.
R
[
G
]
=
{
∑
g
∈
G
r
g
g
r
∈
R
G
,
|
{
g
∈
G
:
r
g
≠
0
}
|
<
ℵ
0
}
}
{\displaystyle R[G]=\left\{\sum _{g\in G}r_{g}g\qquad r\in R^{G},\;|\{g\in G\colon r_{g}\neq 0\}|<\aleph _{0}\}\right\}}
C
{\displaystyle {\mathcal {C}}}
가 유한 개의 대상(및 유한 또는 무한 개의 사상)을 갖는 작은 범주 이며,
R
{\displaystyle R}
가 환 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C
{\displaystyle {\mathcal {C}}}
의 사상의 집합
Mor
(
C
)
{\displaystyle \operatorname {Mor} ({\mathcal {C}})}
으로부터 생성되는
R
{\displaystyle R}
-자유 가군
R
[
Mor
(
C
)
]
{\displaystyle R[\operatorname {Mor} ({\mathcal {C}})]}
위에 다음과 같은
R
{\displaystyle R}
-선형 곱셈 연산을 줄 수 있다.
f
⋅
g
=
{
g
∘
f
dom
g
=
codom
f
0
dom
g
≠
codom
f
{\displaystyle f\cdot g={\begin{cases}g\circ f&\operatorname {dom} g=\operatorname {codom} f\\0&\operatorname {dom} g\neq \operatorname {codom} f\end{cases}}}
즉, 다음과 같다.
(
r
1
f
1
+
r
2
f
2
+
⋯
+
r
m
f
m
)
⋅
(
s
1
g
1
+
s
2
g
2
+
⋯
+
s
n
g
n
)
=
∑
i
=
1
m
∑
j
=
1
n
r
i
s
j
(
f
i
⋅
g
j
)
(
r
i
,
s
j
∈
R
,
f
i
,
g
j
∈
Mor
(
C
)
)
{\displaystyle (r_{1}f_{1}+r_{2}f_{2}+\cdots +r_{m}f_{m})\cdot (s_{1}g_{1}+s_{2}g_{2}+\cdots +s_{n}g_{n})=\sum _{i=1}^{m}\sum _{j=1}^{n}r_{i}s_{j}(f_{i}\cdot g_{j})\qquad \left(r_{i},s_{j}\in R,\;f_{i},g_{j}\in \operatorname {Mor} ({\mathcal {C}})\right)}
이 곱셈은 결합 법칙 및 분배 법칙 을 따르며, 항등원
1
R
[
C
]
=
∑
X
∈
Ob
(
C
)
id
X
{\displaystyle 1_{R[{\mathcal {C}}]}=\sum _{X\in \operatorname {Ob} ({\mathcal {C}})}\operatorname {id} _{X}}
을 가진다. (만약
C
{\displaystyle {\mathcal {C}}}
가 무한 개의 대상들을 갖는다면, 곱셈 항등원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는 환 을 이루며, 이를
C
{\displaystyle {\mathcal {C}}}
위의 범주환 (영어 : category ring )
R
[
C
]
{\displaystyle R[{\mathcal {C}}]}
이라고 한다.
특히, 만약
C
{\displaystyle {\mathcal {C}}}
가 하나의 대상만을 갖는다면, 이는 모노이드 로 여길 수 있다. 이 경우 범주환을 모노이드 환 (영어 : monoid ring )이라고 한다. 만약 추가로
C
{\displaystyle {\mathcal {C}}}
가 군 이라면, 이 경우 범주환을 군환 이라고 한다.
모노이드
M
{\displaystyle M}
에 대한
R
{\displaystyle R}
계수 모노이드 환은 자연스럽게
(
R
,
R
)
{\displaystyle (R,R)}
-쌍가군 의 구조를 가진다. 이는 왼쪽 자유 가군 이자 오른쪽 자유 가군 이다.
R
{\displaystyle R}
가 체
k
{\displaystyle k}
일 경우, 군환
k
[
G
]
{\displaystyle k[G]}
는 벡터 공간 을 이룬다. 이 경우,
k
[
G
]
{\displaystyle k[G]}
의 차원은
|
G
|
{\displaystyle |G|}
이다. (이는
G
{\displaystyle G}
가 무한 반군일 경우에도 하멜 차원(Hamel dimension )으로서 성립한다.)
군
G
{\displaystyle G}
위의 가군 (영어 : G -module )은 그 정수 계수의 군환
Z
[
G
]
{\displaystyle \mathbb {Z} [G]}
의 가군 이다. 이는 군 표현 을 일반화한 개념이며, 군 코호몰로지 에 쓰인다. 구체적으로, 군의 가군
(
M
,
ρ
)
{\displaystyle (M,\rho )}
는 아벨 군
M
{\displaystyle M}
과 군의 작용
ρ
:
G
×
M
→
M
{\displaystyle \rho \colon G\times M\to M}
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g
∈
G
{\displaystyle g\in G}
,
a
,
b
∈
M
{\displaystyle a,b\in M}
에 대하여
g
(
a
+
b
)
=
g
a
+
g
b
{\displaystyle g(a+b)=ga+gb}
을 만족시킨다.
유한군
G
{\displaystyle G}
와 체
K
{\displaystyle K}
가 주어졌고, 또
char
K
∤
|
G
|
{\displaystyle \operatorname {char} K\nmid |G|}
라고 하자. (즉,
G
{\displaystyle G}
의 크기 는
K
{\displaystyle K}
의 표수 를 소인수 로 갖지 않는다.) 그렇다면 군환
K
[
G
]
{\displaystyle K[G]}
를 정의할 수 있다. 이는 유한 차원
K
{\displaystyle K}
-벡터 공간 이므로 자명하게 왼쪽 아르틴 환 이자 오른쪽 아르틴 환 이다. 마슈케 정리 (영어 : Maschke’s theorem )에 따르면, 군환
K
[
G
]
{\displaystyle K[G]}
는 반단순환 이다. 즉, 모든 왼쪽 또는 오른쪽
K
[
G
]
{\displaystyle K[G]}
-가군은 반단순 가군 이다.
이는 하인리히 마슈케(영어 : Heinrich Maschke , 1853~1908)가 증명하였다.[ 1] [ 2]
자연수 의 덧셈 모노이드
(
N
,
+
)
{\displaystyle (\mathbb {N} ,+)}
를 생각하자. 이는 곱셈 표기법으로
{
1
,
x
,
x
2
,
x
3
,
…
}
{\displaystyle \{1,x,x^{2},x^{3},\dots \}}
로 적을 수 있다. 임의의 환
R
{\displaystyle R}
에 대하여, 모노이드 환
R
[
N
]
{\displaystyle R[\mathbb {N} ]}
은 다항식환
R
[
x
]
{\displaystyle R[x]}
와 같다.
마찬가지로, 무한 순환군
Cyc
(
∞
)
=
{
…
,
x
−
2
,
x
−
1
,
1
,
x
,
x
2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Cyc} (\infty )=\{\dots ,x^{-2},x^{-1},1,x,x^{2},\dots \}}
위의 군환은 다음과 같다.
R
[
Cyc
(
∞
)
]
≅
R
[
x
,
x
−
1
]
=
R
[
x
,
y
]
/
(
x
y
−
1
)
{\displaystyle R[\operatorname {Cyc} (\infty )]\cong R[x,x^{-1}]=R[x,y]/(xy-1)}
마찬가지로, 유한 순환군
Cyc
(
n
)
=
{
1
,
x
,
x
2
,
…
,
x
n
−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Cyc} (n)=\{1,x,x^{2},\dots ,x^{n-1}\}}
위의 군환은 다음과 같다.
R
[
Cyc
(
n
)
]
≅
R
[
x
]
/
(
x
n
)
{\displaystyle R[\operatorname {Cyc} (n)]\cong R[x]/(x^{n})}
집합
S
{\displaystyle S}
에 대하여, 순서쌍 준군
Pair
(
S
)
{\displaystyle \operatorname {Pair} (S)}
는 다음과 같은 준군 이다.
대상은
S
{\displaystyle S}
의 원소이다. 즉, 대상 집합은
S
{\displaystyle S}
이다.
임의의 두 대상
s
,
t
∈
S
{\displaystyle s,t\in S}
에 대하여 유일한 사상
(
s
,
t
)
:
s
→
t
{\displaystyle (s,t)\colon s\to t}
이 존재한다. 따라서, 사상 집합은 순서쌍 으로 구성된 곱집합
S
×
S
{\displaystyle S\times S}
로 생각할 수 있다.
만약
S
{\displaystyle S}
가 크기
n
{\displaystyle n}
의 유한 집합 일 때, 임의의 환
R
{\displaystyle R}
에 대하여 준군환
R
[
Pair
(
S
)
]
{\displaystyle R[\operatorname {Pair} (S)]}
는 행렬환
Mat
(
n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Mat} (n;R)}
와 동형이다.
유한 집합
S
{\displaystyle S}
위의 이산 범주 (모든 사상이 항등 사상 인 범주) 위의 범주환
R
[
S
]
{\displaystyle R[S]}
는
S
{\displaystyle S}
위의
R
{\displaystyle R}
값의 함수들의 환
R
S
{\displaystyle R^{S}}
이다.
Passman, D. S. (1976년 3월). “What is a group ring?” (PDF) .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영어): 173–185. doi :10.2307/2977018 . JSTOR 2977018 . Zbl 0318.16002 .
Gilmer, R. (1984). 《Commutative semigroup rings》 (영어). University of Chicago Press.
Milies, César Polcino; Sehgal, Sudarshan K. (2002). 《An introduction to group rings》. Algebras and applications (영어) 1 . Springer. ISBN 978-1-4020-0238-0 .
Passman, D. S. (1977). 《The algebraic structure of group rings》 (영어). Wil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