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화상운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2년 5월) |
삼화상운은 서울특별시 노원구의 시내버스 회사이며, 주 사무소는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에 있으며, 상계동과 월계동에 차고지를 두고 있다. 계열사로는 관악교통, 한성여객, 흥안운수, 서울교통네트웍, 흥안마을버스 등이 있다.
형태 | 주식회사 |
---|---|
원어 | Samwha Transportation Co., Ltd. |
창립 | 1966년 3월 19일 |
산업 분야 | 운수업 |
본사 소재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노원구 덕릉로 811 (상계동) |
사업 지역 | 월계동 1영업소 :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로 280 (월계동) 월계동 2영업소: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로45길 41 (월계동) 상계1영업소 : 서울특별시 노원구 덕릉로126길 24 상계2영업소: 서울특별시 노원구 노원로 487 |
핵심 인물 | 조장우, 조장용 (대표이사) |
제품 | 시내버스 |
매출액 | 25,127,377,502원 (2020) |
영업이익 | 757,123,268원 (2020) |
2,492,280,913원 (2020) | |
자산총액 | 51,777,548,692원 (2020.12) |
주요 주주 | 조성봉: 54.96% 조장우: 16.52% 이경순: 13.04% 조장용: 10.00% 기타(3인): 5.48% |
종업원 수 | 332명 (2020.12) |
모기업 | 흥안운수 |
자본금 | 2,500,000,000원 (2020.12) |
웹사이트 | 흥안운수 |
삼화상운 연혁 편집
2004년 서울시내버스 체계개편 이전 편집
- 1966년 3월 19일: 회사 설립
- 1979년: 본사 및 면허등록지를 서울특별시 성북구 장위동 158에서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동 850으로 이전하였다.
- 1987년: 흥안운수에 인수되어 자회사로 편입되면서 계열사가 되었다. 동시에 본사 및 면허등록지도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
- 1997년: 삼화교통(현 삼화고속) 161번을 인수하여 운행하기 시작하였다.
- 2000년: 월계동을 차고로 두고 있던 상신교통을 인수하였다. 동시에 월계동영업소를 개설하였다.
2004년 서울시내버스 체계개편 이후 편집
운행 노선 편집
노선 번호 |
운행구간 | 배차 간격 (분) |
인가 대수 (대) |
비고 | ||
---|---|---|---|---|---|---|
102번 | 상계주공7단지 | ↔ | 동대문 | 7~10 | 2 | 구 7번. 흥안운수와 공동배차로 운행한다. |
103번 | 월계동 | ↔ | 서울역 | 5~10 | 24 | 구 32번. 구 1016번 단축 |
146번 | 상계주공7단지 | ↔ | 강남역 | 1~12 | 11 | 구 960번 좌석버스. 흥안운수와 공동배차로 운행한다. |
173번 | 월계동 | ↔ | 신촌기차역 | 7~11 | 25 | 구 163번 단축. |
1129번 | 상계8동 | ↔ | 창동역 | 10~35 | 3 | 구 410번 변경. 개편전에는 한성여객이 운행하였다. |
1130번 | 청백아파트 | ↔ | 석계역 | 7~20 | 5 | 구 409-1번. 운행순서: 염광고등학교 → 청백아파트 → 석계역 → 염광고등학교 |
1133번 | 염광고등학교 | ↔ | 염광고등학교 | 8~18 | 9 | 구 409번. 운행순서: 염광고등학교 → 수유역 → 석계역 → 염광고등학교 |
1137번 | 상계동 | ↔ | 미아사거리 | 7~12 | 18 | 구 35번 단축 |
1140번 | 월계동 | ↔ | 중계동 | 18~20 | 3 | 한성여객과 공동배차로 운행한다. |
1143번 | 중계본동 | ↔ | 상계1동 | 10~20 | 2 | 구 484번 연장. 서울교통네트웍, 한성여객, 흥안운수와 공동배차로 운행한다. |
1224번 | 상계4동 | ↔ | 청량리 | 5~13 | 8 | 구 10-1번 단축. 이 노선은 흥안운수와 공동배차로 운행한다. |
N61번 | 양천공영차고지 | ↔ | 상계주공7단지 | 20~30분, 13회 | 8 | 관악교통, 영인운수와 공동배차로 운행한다. |
과거 노선 (변경, 폐선, 통폐합 등) 편집
- ● 1016번: 월계동 - 용산역 (구 32번): 간선버스 103번 노선으로 2005년 중반 단축 및 형간전환. (지선버스)
- ● 1138번: 남양주 별내신도시 - 수유역 <구.7번 단축> (이 노선은 흥안운수, 한성여객과 공동 배차했다.)
- ● 1220번: 월계동 - 고려대학교앞 (구 30번 단축): 2004년 하반기 폐선. (지선버스)
- ● 3475번: 송파공영차고지 - 고속터미널: 2005년 중반 폐선.(남성교통, 동성교통에서 운영하다 3012번으로 연장된 3573번과 무관. 지선버스)[2]
- ● 5144번: 상계동 주공 7단지 - 강남역: 2009년 7월 11일 폐선. (흥안운수, 한성여객과 공동배차. 맞춤버스)
- ● 214번: 월계동 - 목동, 구 328-1번 일부 구간 승계>. 2017년3월25일 414번변경(현재 동아운수에서 운행하는 415번과는 무관)
보유 차량 편집
KGM커머셜 편집
현대자동차 편집
하이거 버스 편집
- 하이거 하이퍼스 EV
비야디 자동차 편집
사진 편집
-
서울시내버스 구 163번 (현 173번)
-
서울시내버스 1137번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외부 링크 편집
- 삼화상운 - 공식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