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화고속
삼화고속(三和高速)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와 경기도의 시외버스, 고속버스, 전세버스 등을 운행하는 업체로 1966년에 설립되었다. 본사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에 있다.[1]
![]() | |
형태 | 고속버스, 전세버스 자동주유기사업 |
---|---|
원어 | Samhwa Express |
창립 | 1966년 3월 12일(토요일) |
산업 분야 | 운수업 |
본사 소재지 |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대로 88[1][2] |
사업 지역 |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를 제외한 전 지역 |
핵심 인물 | 배홍철 (대표이사) |
매출액 | 17,712,918,253원(2020년) |
영업이익 | -4,098,036,101원(2020년) |
-3,407,199,785원(2020년) | |
자산총액 | 26,297,740,656원(2020년 12월) |
주요 주주 | 배홍철(55.17%), 기타(44.83%) |
종업원 수 | 204명 (2020년 12월) |
자본금 | 1,399,305,000원(2020년 12월) |
연혁 편집
- 1966년 3월 12일: 삼화교통 주식회사 설립
- 1970년 2월 23일: 고속버스 운송면허 취득
- 1973년 1월 1일: 금호그룹 출범과 동시에 금호 계열사에서 제외
- 1973년 9월 6일: 서울 - 부평 시외버스 운행
- 1975년 12월 20일: 용현동 인천버스터미널에서 고속버스 운행
- 1977년 12월 15일: 인천발 3개 노선 (천안, 아산, 대전)과 대전발 3개 노선 (목포, 마산, 울산) 신설
- 1980년 9월 13일: 본사를 코리아나호텔로 이전
- 1984년 12월 24일: 대구발 3개 노선 (동서울, 청주, 전주) 신설
- 1987년 12월 4일: 동서울 - 대구 고속버스 운행
- 1988년 2월 19일: 인천발 3개 노선 (광주, 대구, 부산) 신설
- 1988년 5월 17일: 해외관광 사업 영업 개시
- 1989년 7월 26일: 서울역 - 계산동 시외버스 신설
- 1992년 3월 6일: 서울역 - 서인천 시외버스 신설
- 1992년 10월 23일: 우등 고속버스 운행개시
- 1993년 2월 23일 관광 차고지 준공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 1993년 9월 7일: 회사명을 삼화교통 주식회사에서 주식회사 삼화고속으로 변경
- 1997년 2월 1일: 육군사관학교 관광사업 개시
- 1997년 3월 6일: 도시형버스 161번을 삼화상운에 매각하고, 마을버스 7번,7-2번을 삼하운수로 분리
- 1997년 4월 1일: 김포시 애기봉 안보관광사업 시작
- 1997년 7월 1일: 제3땅굴 안보관광사업 개시
- 1997년 11월 20일: 인천종합버스터미널이 관교동으로 이전
- 1999년 6월 1일: 인천 - 여의도역 시외버스 신설
- 2000년 10월 31일: 인천 - 남원 고속버스 신설
- 2001년 9월 30일: 국내 (전세) 영업 매각.
- 2002년 3월 25일: 수원 - 목포 고속버스 신설
- 2003년 4월 1일: 서울역 - 인천 간 시외버스를 광역버스로 형간 전환
- 2004년 4월 1일: 계열사 조일제지 (현 아세아제지 시화공장[3])를 금호그룹으로 매각
- 2004년 12월 17일: 연수동 - 서울역 시외버스가 1300번 광역버스로 전환[4]
- 2005년 1월 12일: 부평역 - 양재역 시외버스가 9500번 광역버스로 전환[5]
- 2005년 8월 20일: 인천터미널 - 서울역 시외버스가 1400번 광역버스로 전환[6]
- 2005년 12월 17일: 광역버스 1500번과 1600번 개통[7][8]
- 2006년 4월 12일: 광역버스 1101번 개통[9]
- 2006년 5월 25일: 시외버스 송도국제도시 - 강남고속버스터미널 노선(9900번)이 신설되었다.[10]
- 2006년 5월 27일: 광역버스 1301번 개통[11]
- 2006년 6월 16일: 광역버스 1601번 개통[12]
- 2006년 9월 2일: 광역버스 2500번 개통[13]
- 2006년 10월 26일: 시외버스 가좌동 - 양재역 노선(9800번)이 신설되었다.[14]
- 2006년 11월 1일: 인천광역시 남구 관교동 15 (인천종합버스터미널)에 지점 개설.
- 2006년 12월 2일: 광역버스 2300번 개통[15]
- 2007년 5월 10일: 광역버스 9501번 개통[16]
- 2007년 7월 25일: 시외버스 9802번 개통[17]
- 2007년 8월 30일: 광역버스 2400번 개통[18]
- 2007년 9월 13일: 광역버스 2100번 개통[19]
- 2007년 9월 13일: 시외버스 9901번 개통[20]
- 2007년 10월 10일: 시외버스 9803번 개통[21]
- 2007년 10월 16일: 시외버스 9902번 개통[22]
- 2008년 1월 23일: 시외버스 9900번과 9802번을 통합하여 9900번으로 변경하였다.[23]
- 2008년 5월 2일: 시외버스 9803번이 폐선되어 9801번과 통합되었다.[24]
- 2008년 9월 1일: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권선동 1189 (수원종합버스터미널)에 지점 개설.
- 2008년 12월 23일: 자회사 공항고속과 그 노선 (서울역 ~ 인천국제공항, 센트럴시티 ~ 인천국제공항[25])을 KD운송그룹의 대원공항 (대원교통)에 매각
- 2009년 12월 26일: 삼화고속 지하 신촌역 · 서울역행 노선 중 5개 노선 변경 (신촌로 - 양화로 중앙버스전용차로 개통에 따른 정류소 신설, 이전 · 변경)
- 2010년 6월 1일: 시외버스 9900번이 9900번과 9802번으로 재분리되었다.[26] 광역버스 7000번이 신설되었다.[27]
- 2011년 2월 22일: 9510번 광역버스 개통[28]
- 2011년 3월 10일: 9502번 시외버스 개통[29]
- 2011년 4월: 4월 6일에 9801번이,[30] 4월 8일에 9802번이,[31] 4월 13일에 9800번이,[32] 4월 20일에 9902번이 각각 시외버스에서 광역버스로 형간 전환되었다.[33]
- 2011년 4월 23일: 광역버스 2100번과 2400번이 폐선되었다.[34][35]
- 2011년 5월 1일: 고속버스 대전 - 마산 노선을 중부고속에 매각
- 2011년 6월 1일: 시외버스 9900번, 9901번 2개 노선이 통합하여 9901번 광역버스로 전환되었다.[36]
- 2011년 6월 18일: 본사를 서울특별시 서초구 잠원동에서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으로 이전하였다[1].
- 2011년 7월 1일: 광역버스 1600번 노선이 폐선되었다.[37]
- 2011년 9월 16일: 본점을 서울특별시 중구 태평로1가 61-1에서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 442-15, 부평대로 우체국 11층으로 이전.
- 2011년 10월 23일: 광역버스 1301번, 1601번, 2300번, 9902번 노선이 운행 중단되었다.[38] 현재 1301번은 천지교통이, 1601번은 신강교통이 운행한다.
- 2011년 11월 4일: 광역버스 9801번과 9802번이 9802번으로 통합되었다.[39]
- 2012년 5월 5일: 광역버스 7000번 노선이 폐선되었다.[40]
- 2012년 6월 1일: 광역버스 1100번, 1101번 신강교통으로 노선 양도
- 2012년 6월 2일: 본점을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대로 88 (부평동)에서 현 위치인 인천광역시 중구 서해대로418번길 70 (신흥동3가)로 이전하였다.
- 2012년 12월 1일: 고속버스, 시외버스 노선 중 인천 ↔ 속초, 남원, 수원 ↔ 순천, 대전 ↔ 울산 노선 KD운송그룹에 매각
- 2013년 6월 13일: 시외버스 노선 중 인천 ↔ 천안 · 아산, 부천 · 인천 ↔ 공주 노선 동양고속에 매각
- 2014년 8월 25일: 광역버스 9510번이 선진여객의 9300번에 통합되었다.[41]
- 2015년 1월 1일: 광역버스 9800번이 폐선되었다.[42]
- 2015년 4월 1일: 광역버스 2500번 강화교통으로 노선 양도[43]
- 2015년 6월 16일: 광역버스 9501번, 9802번 신강교통으로 노선 양도
- 2015년 7월 21일: 시외버스 9502번 김포운수로 양도 및 직행좌석버스로 형간전환[44]
- 2015년 11월 6일: 광역버스 1300번 천지교통으로 노선 양도
- 2016년 3월 5일: 광역버스 1200번 신동아교통으로 노선 양도
- 2016년 4월 29일: 부천 - 연무대 고속버스 신설
- 2016년 8월 1일: 광역버스 9500번 부일운수(현 세운교통)로 노선 양도
- 2016년 12월 6일: 광역버스 1400번 세운교통으로 노선 양도
- 2017년 4월 16일: 광역버스 1000번 마니교통으로 노선 양도
- 2017년 6월 1일: 광역버스 1501번 신설
- 2017년 6월 10일: 광역버스 1501번 마니교통으로 노선 양도
- 2017년 9월 6일: 광역버스 1500번 마니교통으로 노선 양도
현황 편집
2021년 1월 기준이다.[45]
운행업체 | 보유 노선수 | 등록 대수 | |||||
---|---|---|---|---|---|---|---|
노선 합계 | 시외버스 | 고속버스 | 대수 합계 | 시외버스 | 고속버스 | ||
삼화고속 | 27 | 4 | 23 | 94 | 5 | 89 |
운행 노선 편집
인천종합버스터미널로 운행하는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노선을 주로 운행하며, 단독운행 노선은 대전 ↔ 인천 노선이 유일하다.
고속버스 편집
2019년 4월 기준이다.[46]
경부선 편집
운행 노선 |
공동 운행사 |
운행구간 | 경유지 | 운행 대수 | 비고 | ||||
---|---|---|---|---|---|---|---|---|---|
일반 | 우등 | 고급 | |||||||
서울 ↔ 대구 | 금호고속 동양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
서울경부 | ↔ | 동대구 | 선산휴게소, 서대구 | - | 1 | 2 | |
선산휴게소, 신서혁신도시 | - | 1 | - | 2018년 3월 1일 신설 | |||||
서울 ↔ 부산 | 금호고속 동양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
서울경부 | ↔ | 부산 | 낙동강휴게소 | 1 | 1 | 3 | 2019년 4월 10일 중간경유지 변경 |
서울 ↔ 서부산 | 금호고속 동양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
서울경부 | ↔ | 부산서부 | 선산휴게소 | - | 1 | - | |
서울 ↔ 세종 | 금호고속 동부익스프레스 동양고속 속리산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
서울경부 | ↔ | 세종시 | 세종청사 | - | 1 | 1 | 2013년 12월 16일 신설 2016년 1월 12일 우등 증차 |
죽전[47], 세종국책연구단지 | - | 1 | - | 2018년 1월 31일 신설 | |||||
서울 ↔ 울산 | 금호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
서울경부 | ↔ | 울산 | 낙동강휴게소, 신복 | - | 1 | 1 | 2019년 4월 10일 중간경유지 변경 |
동서울 ↔ 대구 | 금호고속 동양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
동서울 | ↔ | 동대구 | 선산휴게소, 서대구 | 1 | 1 | - | |
청주 ↔ 대구 | 속리산고속 | 청주 | ↔ | 동대구 | 선산휴게소, 서대구 | 1 | 2 | - | 2013년 9월 12일 우등 감차 |
인천공항 ↔ 양산 | 대원고속 동양고속 |
인천국제공항 | ↔ | 양산 | 인천, 낙동강휴게소 | - | 2 | - | 2018년 2월 9일 신설 2019년 4월 10일 중간경유지 변경 |
호남선 편집
운행 노선 |
공동 운행사 |
운행구간 | 경유지 | 운행 대수 | 비고 | ||||
---|---|---|---|---|---|---|---|---|---|
일반 | 우등 | 고급 | |||||||
서울 ↔ 남원 | 금호고속 | 서울호남 | ↔ | 남원 | 정안알밤휴게소 | 1 | 5 | - | 2013년 9월 12일 우등 감차 2015년 9월 23일 우등 증차 |
수원 ↔ 광주 | 금호고속 | 수원 | ↔ | 광주 | 정안알밤휴게소, 비아 | 1 | 5 | - | |
수원 ↔ 목포 | 금호고속 | 수원 | ↔ | 목포 | 정안알밤휴게소, 비아 | 3 | - | ||
천안 ↔ 광주 | 동양고속 속리산고속 |
천안 | ↔ | 광주 | 정안알밤휴게소, 비아 | 1 | 2 | - | 2015년 9월 23일 중간경유지 추가 |
남해선 편집
운행 노선 |
공동 운행사 |
운행구간 | 경유지 | 운행 대수 | 비고 | ||||
---|---|---|---|---|---|---|---|---|---|
일반 | 우등 | 고급 | |||||||
부산 ↔ 광주 | 금호고속 | 부산 | ↔ | 광주 | 섬진강휴게소, 운암동 | - | 3 | 1 | 2014년 1월 10일 우등 감차 2015년 9월 23일 우등 증차 |
경인선 편집
운행 노선 |
공동 운행사 |
운행구간 | 경유지 | 운행 대수 | 비고 | ||||
---|---|---|---|---|---|---|---|---|---|
일반 | 우등 | 고급 | |||||||
인천 ↔ 광주 | 금호고속 한일고속 |
인천 | ↔ | 광주 | 정안알밤휴게소, 비아 | 1 | 3 | 2 | |
인천 ↔ 대구 | 동양고속 | 인천 | ↔ | 동대구 | 선산휴게소, 서대구 | - | 4 | - | 2013년 9월 10일 일반 1대 우등전환 |
인천 ↔ 대전 | 인천 | ↔ | 대전 | 2 | 13 | 2 | 2013년 7월 22일 일반 1대 우등전환 2014년 1월 10일 우등 4대 일반전환 및 우등 감차 2015년 9월 17일 평일,주말 인가대수 상이 | ||
인천 ↔ 부산 | 동양고속 천일고속 |
인천 | ↔ | 부산 | 낙동강휴게소 | - | 3 | 1 | 2019년 4월 10일 중간경유지 변경 |
인천 ↔ 서부산 | 동양고속 천일고속 |
인천 | ↔ | 부산서부 | 선산휴게소 | - | 1 | - | 2013년 9월 12일 우등 감차 |
인천 ↔ 순천 | 금호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
인천 | ↔ | 순천 | 정안알밤휴게소, 순천대학교 | - | 1 | - | 2013년 9월 12일 우등 감차 2015년 2월 23일 중간경유지 추가 |
인천 ↔ 전주 | 천일고속 | 인천 | ↔ | 전주 | 정안알밤휴게소, 호남제일문 | 1 | 5 | 1 | 2014년 5월 1일 중간경유지 추가 |
인천공항 ↔ 김해 | 동양고속 | 인천국제공항 | ↔ | 김해 | 인천, 선산휴게소, 장유 | - | 2 | 1 | 2015년 6월 19일 신설 2016년 9월 13일 노선연장 |
88선 편집
운행 노선 |
공동 운행사 |
운행구간 | 경유지 | 운행 대수 | 비고 | ||||
---|---|---|---|---|---|---|---|---|---|
일반 | 우등 | 고급 | |||||||
전주 ↔ 대구 | 동양고속 | 전주 | ↔ | 동대구 | 서대구 | - | 2 | - | 2013년 9월 12일 일반 감차 2015년 9월 23일 우등 증차 |
이전 보유 노선 편집
- ● 1000번: 석남동 경남아너스빌 ~ 서울역 (2017년 4월 16일 마니교통으로 노선 양도.)
- ● 1100번: 왕길동 기점 ~ 서울역 (2012년 6월 1일 신강교통으로 노선 양도.)
- ● 1101번: 검단동 마전 풍림아파트 ~ 서울역 (2006-04-11 ~ 2012-06-01, 신강교통으로 노선 양도.)
- ● 1200번: 가좌동 미주탕 ~ 서울역 (2004-12-17 ~ 2016-03-04, 신동아교통으로 노선 양도.)
- ● 1300번: 동막역 ~ 서울역 (2004-12-17 ~ 2015-11-06, 천지교통으로 노선양도.)
- ● 1301번: 인천대학교 ~ 서울역 (2006-05-27 ~ 2011-10-23, 인강여객으로 노선 양도 후 천지교통으로 노선 재양도.)
- ● 1400번: 인천종합버스터미널 ~ 서울역 (2005-08-20 ~ 2016-12-06, 세운교통으로 노선 양도 후 마니교통으로 노선 재양도)
- ● 1500번: 계산동 롯데마트 ~ 서울역 (2005-12-17 ~ 2017-09-06, 마니교통으로 노선 양도.)
- ● 1501번: 계양구청 ~ 서울역 (2017년 6월 10일 마니교통으로 노선 양도.)
- ● 1600번: 항동 연안부두 ~ 서울역 (2005-12-17 ~ 2011-07-01)
- ● 1601번: 용현동 인하대학교 병원 ~ 서울역 (2006-06-16 ~ 2011-10-23, 신강교통으로 노선 양도)
- ● 2100번: 연희동 서구청 ~ 종로2가 (2007-09-13 ~ 2011-04-23)
- ● 2300번: 청학동 시대아파트 ~ 종로2가 (2006-12-02 ~ 2011-10-23)
- ● 2400번: 인천종합버스터미널 ~ 종로2가 (2007-08-30 ~ 2011-04-23)
- ● 2500번: 계산동 그랜드마트 ~ 종로2가 (2006-09-02 ~ 2015-04-01, 강화교통으로 노선 양도 후 천지교통으로 노선 재양도)
- ● 7000번: 가정동 ~ 가양역 (2010-06-01 ~ 2012-05-05)
- ● 9500번 : 부평역 - 양재시민의숲역(2003년경 개통된 부평역 - 경인고속도로 - 강남역 - 남부터미널 - 계산동 - 경인고속도로 - 강남역 - 남부터미널 구간을 운행하는 시외버스가 전신임. 당시 남부터미널 내부에서 이용할 수 있었음. 이후 두 노선이 통합되면서 '부평역 - 작전동 - 계산동 - 양재역' 구간을 운행하게 되면서 남부터미널 구간이 단축됨. 2005년 1월 12일(수요일)에 광역버스로 전환됨. 2005년 7월 17일(일요일)부터 강남대로에서 가변차로 정류장 대신 버스중앙차로 정류장을 이용하게 됨. 신반포로 버스중앙차로가 개통됨에 따라 2009년 6월 13일(토요일)부터 버스중앙차로를 경유하게 됨. 2009년 8월 26일(수요일)부터 강남역과 신논현역은 중앙차로 정류장 대신 가변차로 정류장을 경유하게 됨. 2014년 6월 1일(일요일)에 '인천종합터미널 - 길병원 - 올리브백화점 - 간석5거리 - 현대아파트 - 부평역' 구간이 연장됨. 또한 운행 거리가 길어짐에 따라 강남 첫차는 늦춰졌으며, 인천 막차는 빨라짐. 오랜만에 생겨난 '인천터미널 - 강남' 광역버스가 됨. 2014년 7월 8일(화요일)부터 '부평역 - 삭은다리' 구간을 왕복으로 경유하게 됨. 이후 인천시 소재 삼화고속 1400번과 유사하게 부평대로 왕복으로 변경됨. 2016년 8월 1일(월요일)에 인천시 소재 삼화고속에서 인천시 소재 부일운수로 이관됨. 이관 초기에는 운행 대수가 3분의 1에 불과한 5대로 운행하여 1달 동안 40분~80분 간격으로 다녀 한동안 혼잡도가 크게 상승함. 2016년 10월 4일(화요일)에 사명이 세운교통으로 변경됨. 정체로 인해 운행 시간이 지연되고, 배차 간격이 늘어난다는 이유로 2017년 3월 31일(금요일)에 광역버스 전환 초기 노선대로 원상복구됨. 이에 따라 기점이 부평역으로 변경됨. 다만 정차 위치가 살짝 달라졌는데 광역버스 전환 초기 삼화고속 부평영업소 앞 정류소보다 약간 앞쪽에 있는 시내버스 정류장에 정차함. 2017년 4월에 인천시 소재 세운교통이 광역버스 지점을 인천시 소재 마니교통으로 분사하면서 이 노선의 운행 회사도 인천시 소재 마니교통으로 변경됨.)
- ● 9501번 : 검단동 마전풍림아파트 - 양재시민의숲역(2007년 5월 10일(목요일)에 신설됨. 당시에서는 삼화고속에서 운행하였으며, 원래는 김포시를 경유하지 않을 예정이었으나 건설교통부의 조정을 거쳐 김포시를 경유하게 됨. 김포시에 진출하게된 삼화고속은 이후 9502번을 신설하게 되는 계기기 됨. 2008년 10월 20일(월요일)에 해피하임에 추가로 정차하도록 변경됨. 인가받지 않은 정류장인 산호아파트를 경유한다는 민원이 발생하여 2009년 5월 1일(금요일)에 산호아파트를 통과하게 됨. 2009년 5월 22일(금요일)에 정식으로 인가를 받고, 다시 산호아파트에 정차하도록 변경됨. 신반포로에 중앙차로가 개통되면서 2009년 6월 13일(토요일)부터 중앙차로를 경유하게 됨. 2009년 8월 26일(수요일)부터 강남역과 신논현역은 중앙차로 대신 가변차로를 경유하게 됨. 2012년 8월 6일(월요일)에 기점이 풍림2차아파트로 연장됨. 2015년 6월 16일(화요일)에 9802번과 함께 인천시 소재 신강교통으로 이관됨. 2018년 1월 7일(일요일)에 마전지구 내부에 버스차고지가 조성되면서 기점이 차고지로 연장됨. 기점 연장을 제외하면 노선의 변동은 없음.)
- ● R9502번: 김포한강신도시 ~ 양재시민의숲역 (2011-03-10 ~ 2015-07-21, 직행좌석버스로 형간 전환하고 김포운수로 노선 양도.)
- ● 9510번: 청라동 청라국제도시 ~ 양재시민의숲역 (2011-02-22 ~ 2014-08-25, 선진여객 9300번과 통폐합.)
- ● 9800번: 가좌동 미주탕 ~ 양재시민의숲역 (2006-10-26 개통 당시 시외버스. 2011-04-13 ~ 2015-01-01)
- ● 9801번: 연희동 서구청 ~ 양재시민의숲역 (2007-01-22 노선 번호 부여, 2011-04-06 시외버스에서 광역버스로 전환, 2011-11-04 9802번과 통합)
- ● 9802번: 왕길동 기점 ~ 양재시민의숲역 (2007-07-25 ~ 2008-01-23, 2010-06-01 ~ 2011-04-08 당시 시외버스. 2011-04-08 ~ 2015-06-16, 신강교통으로 노선 양도)
- ● 9803번: 가정오거리 ~ 강남역 (2007-10-10 ~ 2008-05-02)
- ● 9900번: 송도국제도시 ~ 강남역 (2006-05-25 ~ 2011-06-01)
- ● 9901번: 인천종합버스터미널 ~ 강남역 (2007-09-13 개통 당시 시외버스. 2011-06-01 ~ 2011년 11월. 인강여객으로 노선 양도)
- ● 9902번: 연수동 ~ 대방역 (2007-10-16 개통 당시 시외버스. 2011-04-20 ~ 2011-10-23)
- ● R8399번: 인천 ~ 천안 · 아산(2013년 6월 12일 동양고속으로 노선 양도)
- ● 부천 ~ 공주 (인천 경유)(2013년 6월 12일 동양고속에 노선 양도)
관할 면허지 편집
광역시에 고속버스 차적지를 둘 수 없는 관련 법에 따라, 면허(차적)지는 경기도 수원시로 되어 있다. 고속버스 차량 내에는 주 사무소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 185-23번지로 부평역 북부 광장 인근에 있는 사무소다. 수원종합버스터미널의 주소가 찍힌 차량도 있다.
운행 차량 편집
현대자동차 편집
- 현대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프레스티지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프레스티지
기아 편집
- 기아 뉴 그랜버드 이노베이션 선샤인
회사 현황 편집
갤러리 편집
-
로얄크루저Ⅱ(현재는 퇴역)
각주 편집
- ↑ 가 나 다 이상택 (2011년 6월 14일). “삼화고속, 광역버스 회사로 변신 중”. 교통신문. 2012년 4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상법 상 본점 주소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중구 서해대로418번길 70이며, 정비공장의 소재지다.
- ↑ 2006년 3월 10일자로 금호그룹에서 아세아그룹으로 매각되었다.
- ↑ 광역버스 개통안내(연수동 ~ 서울역) Archived 2015년 11월 17일 - 웨이백 머신, 삼화고속
- ↑ 광역버스 개통안내(부평역 ~ 양재역) Archived 2015년 11월 17일 - 웨이백 머신, 삼화고속
- ↑ 광역 1400번 개통 안내 Archived 2015년 11월 17일 - 웨이백 머신, 삼화고속
- ↑ 광역 1500번 개통 안내 Archived 2013년 12월 12일 - 웨이백 머신, 삼화고속
- ↑ 광역 1600번 개통 안내 Archived 2013년 12월 12일 - 웨이백 머신, 삼화고속
- ↑ 광역 1101번 개통 안내 Archived 2015년 11월 17일 - 웨이백 머신, 삼화고속
- ↑ [송도-강남TR] 노선 신설 안내 Archived 2015년 11월 17일 - 웨이백 머신, 삼화고속
- ↑ 개통 광역1301번(송도신도시~논현~부천~서울역) Archived 2015년 11월 17일 - 웨이백 머신, 삼화고속
- ↑ 광역1601번 개통 안내 Archived 2015년 11월 17일 - 웨이백 머신, 삼화고속
- ↑ [https://web.archive.org/web/20151117063351/http://www.samhwaexpress.co.kr/customer/notice01_view.asp?num=55 Archived 2015년 11월 17일 - 웨이백 머신 광역 2500번 개통 [계산동-종로]], 삼화고속
- ↑ 직행 가좌-부천-양재 노선 신규 개통 안내 Archived 2015년 11월 17일 - 웨이백 머신, 삼화고속
- ↑ [https://web.archive.org/web/20151117024945/http://www.samhwaexpress.co.kr/customer/notice01_view.asp?num=64 Archived 2015년 11월 17일 - 웨이백 머신 [광역] 2300번 개통예정 안내[인천연수<->부천<->종로]], 삼화고속
- ↑ (광역)9501번 개통 Archived 2015년 11월 17일 - 웨이백 머신, 삼화고속
- ↑ (직행)9802번 신규개통 안내 Archived 2015년 11월 17일 - 웨이백 머신, 삼화고속
- ↑ (광역)2400번 신규 개통 안내 Archived 2015년 11월 17일 - 웨이백 머신, 삼화고속
- ↑ (광역)2100번 신규 개통 안내 Archived 2015년 11월 17일 - 웨이백 머신, 삼화고속
- ↑ (직행)9901번 신규 개통 안내 Archived 2015년 11월 17일 - 웨이백 머신, 삼화고속
- ↑ (직행)9803번 신규 개통 안내 Archived 2015년 11월 17일 - 웨이백 머신, 삼화고속
- ↑ (직행)9902번 신규 개통 안내 Archived 2016년 3월 5일 - 웨이백 머신, 삼화고속
- ↑ (직행)9802번,9900번노선통합 안내 Archived 2014년 3월 8일 - 웨이백 머신, 삼화고속
- ↑ (9803) 영업 종료 안내 Archived 2015년 11월 17일 - 웨이백 머신, 삼화고속
- ↑ 2009년 7월 20일 6010번과 6020번 공항버스를 리무진버스로 변경하여 운행하고 있다. 현재는 고속터미널역 앞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장에서 승하차한다.
- ↑ (9900) 노선 분리운행 안내 Archived 2015년 11월 17일 - 웨이백 머신, 삼화고속
- ↑ (7000) 노선 신설 운행 안내 Archived 2015년 11월 17일 - 웨이백 머신, 삼화고속
- ↑ (9510) 신규노선 개통 안내 Archived 2015년 11월 17일 - 웨이백 머신, 삼화고속
- ↑ (9502) 신규노선 개통 안내 Archived 2015년 11월 17일 - 웨이백 머신, 삼화고속
- ↑ (9801) 업종전환(시외▶광역) 안내 Archived 2015년 11월 17일 - 웨이백 머신, 삼화고속
- ↑ (9802) 업종전환(시외▶광역) 안내 Archived 2015년 11월 17일 - 웨이백 머신, 삼화고속
- ↑ (9800) 업종전환(시외▶광역) 안내 Archived 2015년 11월 17일 - 웨이백 머신, 삼화고속
- ↑ (9902) 업종전환(시외▶광역) 안내 Archived 2015년 11월 17일 - 웨이백 머신, 삼화고속
- ↑ (2100) 노선운행 중단 안내 Archived 2015년 11월 17일 - 웨이백 머신, 삼화고속
- ↑ (2400) 노선운행 중단 안내 Archived 2015년 11월 17일 - 웨이백 머신, 삼화고속
- ↑ (9900.9901) 노선통합안내 Archived 2014년 2월 27일 - 웨이백 머신, 삼화고속
- ↑ (1600) 노선 운행 중단 안내 Archived 2013년 12월 12일 - 웨이백 머신, 삼화고속
- ↑ 광역 일부노선 중단 안내문 Archived 2015년 7월 4일 - 웨이백 머신, 삼화고속
- ↑ (9801.9802) 노선 통합 안내문 Archived 2015년 11월 17일 - 웨이백 머신, 삼화고속
- ↑ 광역 7000번 노선 운행중단 안내 Archived 2015년 11월 17일 - 웨이백 머신, 삼화고속
- ↑ 9510번 노선 변경안내 Archived 2016년 3월 5일 - 웨이백 머신, 삼화고속
- ↑ 9800번 노선 운행중단 안내 Archived 2016년 3월 5일 - 웨이백 머신, 삼화고속
- ↑ 2500번 운행사 변경 안내 Archived 2015년 7월 6일 - 웨이백 머신, 삼화고속
- ↑ 9502번 운행사 및 경로 변경 알림 Archived 2015년 11월 17일 - 웨이백 머신, 삼화고속
- ↑ 버스 등록 현황, 경기도청, 2021년 3월 29일 작성.
- ↑ 고속버스 운행계통표, 국토교통부, 2019년 4월 12일.
- ↑ 서울방향 하차만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