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급자책임
불법행위법 |
---|
영미법 시리즈 |
과실 |
주의의무 · 주의기준 |
근인 · 사실추정의 원칙 |
과실계산 · 가해자 완전책임 |
과실의 정신적 가해행위 |
구조원칙 · 구조의무 |
법률상 불법행위 |
제조물책임법 · 고위험 행위 |
불법침입인 · 승낙출입자 · 고객 |
유인적 위험물 |
재산관련 불법행위 |
불법침해 · 컨버전 |
압류동산회복소송 · 동산점유회복소송 · 횡령물회복소송 |
유해물 |
근린방해 · 라일랜즈 대 플레처 판결 |
의도적 불법행위 |
폭행위협 · 폭행 · 불법감금 |
정신적 피해 |
승낙 · 필요 · 자기방어 |
명예관련 불법행위 |
명예훼손 · 사생활 침해 |
신뢰훼손 · 절차악용 |
악의적 기소 |
경제적 불법행위 |
사기 · 불법적 간섭 |
음모 · 영업방해 |
의무, 변론, 구제방법 |
상대적 과실과 과실 기여 |
명백한 회피 기회 원칙 |
상급자책임 · 동의는 권리침해 성립을 조각 |
패륜적 계약에서 채권발생 없다 |
손해배상 · 금지명령 |
영미법 |
미국의 계약법 · 미국의 재산법 |
미국의 유언신탁법 |
미국의 형법 · 미국의 증거법 |
상급자책임(책임상위전도, 라틴어: respondeat superior)는 영미법내 불법행위법의 한 개념으로 고용주와 같이 위에 있는자가 법적 책임을 가진 다는 원칙이다.
17세기 영국에서 창안되었으며 원리는 손해를 입은 제3자에게 주인 또는 고용주를 상대로 대리인의 행위에 대한 책임을 물을 수 있으며 그 근거는 고용주가 고용인의 행동을 감독하기 때문에 그 고용인의 행위에 대해 일정한 책임을 져야만 한다는 것이다.[1] 예를 들어 기업들은 사용자 책임(respondeat superior)의 원칙에 따라 법인은 직원의 행동에 대해 책임을 지므로 1명 이상의 직원이 그들의 고용 업무와 관련된 불법 행위에 가담한 경우 그들의 행동은 고용주의 행위로 간주될 수 있으며, 고용주는 형사 제재를 받을 수 있다[2].
같이 보기편집
참고 문헌편집
- 서철원,《미국 불법행위법》,법원사, 2005. (ISBN 8991512011)
- 이상윤,《영미법》,박영사, 2003.
- Black's Law Dictionary 1486 (8th ed. 2004).
- 이태희,임홍근 지음, 법률영어사전, 법문사. 2007. (ISBN 978891801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