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천 허씨
양천 허씨(陽川許氏)는 서울특별시 강서구·양천구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공암 허씨(孔巖許氏)라고도 한다.
![]() 양천 허씨 종문 | |
이칭 | 공암 허씨(孔巖許氏) |
---|---|
나라 | 한국 |
관향 | 서울특별시 강서구 |
시조 | 허선문(許宣文) |
집성촌 | 경기도 장단군·연천군·안성시·파주시 함경북도 학성군·길주군 평안북도 구성시 충청북도 청주시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진안군 전라남도 순천시 |
주요 인물 | 허재, 순비 허씨, 허백, 허종, 허침, 허자, 허엽, 허준, 허성, 허욱, 허봉, 허교, 허균, 허난설헌, 허완, 허후, 허목, 허적, 허윤, 허유, 허헌, 허백련, 허길, 허혁, 허무인, 허경만, 허길, 허영만, 허정무, 허재, 허은아 |
인구(2015년) | 149,505명 |
비고 | 양천 허씨 대종회 |
역사
편집양천 허씨(陽川 許氏)의 시조 허선문(許宣文)은 가락국(駕洛國) 수로왕비(金首露王妃) 허황옥(許黃玉)의 30세손으로 전한다. 허선문(許宣文)은 공암촌(孔巖 : 현 서울특별시 강서구 가양동)에 살면서 농사(農事)에 힘써 많은 양곡(糧穀)을 비축(備蓄)하였는데, 고려 태조(太祖) 왕건(王建)이 후백제(後百濟) 견훤(甄萱)을 정벌할 때 군량이 부족하여 사기가 떨어지는 것을 보고 군량(軍糧)을 제공해주어 병사들이 사기가 충전되어 후백제와의 싸움에서 승리하여 후삼국 통일에 큰 힘을 보태게 되었는데, 고려 태조 왕건이 그의 충의에 감동하여 공암촌주(孔岩村主)로 임명하여 공암촌을 식읍으로 내렸고, 허선문은 고려 건국에 대한 공으로 삼한공신(三韓功臣)이 되었다. 이로 말미암아 본관을 공암허씨(孔巖許氏)로 했다. 고려 말에 지명 '공암'이 '양천'으로 변경됨에 '공암허씨'들은 '양천허씨(陽川許氏)'로 불려지게 되었다.
허선문의 손자 허원(許元)이 고려 목종(穆宗) 때 과거에 급제하여 내사사인(內史舍人)·지제고(知制誥)·태자사의(太子司議)등을 지냈으며, 증손 허정(許正)은 예부상서(禮部尙書)를 지낸후 태자재보(太子太保)에 이르렀다. 허정의 아들 허재(許載)가 는 일찍이 병마사(兵馬使)에 재임 시 여진의 정세를 파악하여 변경수비의 방책을 왕에게 올려 채택되기도 하였다.[1] 10세손 허공(許珙)은 고려 고종(高宗) 때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주요 관직을 두루 역임한 후 1284년(충렬왕 10) 수국사(修國史)를 겸하여 원부(元傅) 등과 함께 「고금록(古今錄)」을 찬술(撰述)하고 첨의중찬(僉議中贊)에 올랐다.[2] 허공의 딸은 충선왕의 제6비 순비(順妃)로 책봉되었다.
분파도
편집1 허선문 許宣文 공암촌주 | |||||||||||||||||||||||||||||||||||||||||||||||||
2 허현 許玄 소부소감 | |||||||||||||||||||||||||||||||||||||||||||||||||
3 허원 許元 예빈성경 | |||||||||||||||||||||||||||||||||||||||||||||||||
4 허원 許正 예부시랑 | |||||||||||||||||||||||||||||||||||||||||||||||||
5 허재 許載 평장사 | |||||||||||||||||||||||||||||||||||||||||||||||||
6 허순 許純 공부상서 | |||||||||||||||||||||||||||||||||||||||||||||||||
7 허이섭 許利涉 전구서령 | |||||||||||||||||||||||||||||||||||||||||||||||||
7 허경 許京 좌복야 | |||||||||||||||||||||||||||||||||||||||||||||||||
9 허수 許遂 예부상서 | |||||||||||||||||||||||||||||||||||||||||||||||||
10 허공 許珙 문경공 | |||||||||||||||||||||||||||||||||||||||||||||||||
11 허정 許程 동주사공파 (東州使公派) | 11 허숭 許嵩 | 11 허관 許冠 판도좌랑공파 (版圖佐郞公派) | 11 허총 許寵 | 11 허부 許富 대제학공파 (大提學公派) | |||||||||||||||||||||||||||||||||||||||||||||
분파
편집- 동주사공파(東州使公派): 허정(許程)
- 판도좌랑공파(版圖佐郞公派): 허관(許冠)
- 대제학공파(大提學公派): 허부(許富)
본관
편집양천은 서울특별시 강서구, 양천구 일대의 지명이다. 고구려의 제차파의현(齊次巴衣縣)이었는데, 통일신라 경덕왕 때 공암현(孔岩縣)으로 고쳤다. 공암 허씨로 불리다가 1310년(고려 충선왕 2)에 양천현(陽川縣)으로 개칭되어 양천 허씨(陽川 許氏)가 되었으며 조선시대에도 이어졌다. 1895년(고종 32)에 양천군(陽川郡)으로 개편됐다. 1914년 경기도 김포군에 통합돼 양동면, 양서면이 됐다가 1963년 서울특별시로 편입되었다.
인물
편집조선조에 와서는 재령군수(載寧郡守) 허손(許蓀)의 아들로 우의정(右議政)에 오른 허종(許琮)과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허침(許琛) 형제가 뛰어났다. 허종과 허침은 형제 정승으로 유명하다.
한편 선조 때 좌의정(左議政)에 오른 허욱(許頊)은 허종(許琮)의 현손으로 광해군(光海君) 때 능창군(綾昌君) 추대사건에 관련하여 원주에 유배된 후 배소(配所)에서 임종하였으나 인조반정후 청백리(淸白吏)에 녹선 되었다.
조선조에서 허씨가문을 빛낸 인물로는 초당(草堂) 허엽(許曄)과 미수(眉叟) 허목(許穆)을 빼놓을 수 없다. 허엽(許曄)은 선조때 동서붕당에서 동인의 영수였다. 그의 슬하에 허성(許筬), 허봉(許篈), 허균(許筠), 허난설헌(許蘭雪軒) 4남매가 있는데, 모두 시문(詩文)에 뛰어나 이들 모두를 그와 함께 '허씨 5문장가'라 부른다.
숙종 때 우의정(右議政)에 오른 허목(許穆)은 송시열(宋時烈)과 쌍벽을 이루던 학자로 남인의 영수였으며 학문(學問)이 높았고, 문장(文章)·그림·서예(書藝)에 뛰어났다. 특히 전서(篆書)에 능하여 동방(東方)의 제일인자(第一人者)로 일컬어졌다. 과거를 보지 않았음에도 벼슬이 우의정에 이르렀으며, 숙종으로부터 집을 하사 받았다.
그이외 20세손 허준(許浚)은 선조 때 명의로 동의보감(東醫寶鑑)을 편찬하였으며 호성삼등공신(扈聖三等功臣)에 올랐다. 그리고 22세손 허적(許積)은 현종, 숙종때 세차례 영의정(領議政)에 올랐고 탁남의 영수였으며, 재정의 고갈을 막기 위해 1678년(숙종 4) 상평통보(常平通寶)를 주조하여 유통시켰다.
항렬자
편집- 대동항렬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41세 | 42세 | 43세 | 44세 | 45세 | 46세 | 47세 | 48세 | 49세 | 50세 | 51세 | 52세 |
---|---|---|---|---|---|---|---|---|---|---|---|---|---|---|---|---|---|---|---|---|---|
만(萬) | 욱(旭) | 회(會) | 행(行) | 무(茂) | 범(範) | 강(康) | 재(宰) | 정(廷) | 규(揆) | 학(學) | 병(秉) | 연(演) | 경(卿) | 진(振) | 용(龍) | 남(南) | 수(洙) | 창(暢) | 상(商) | 국(國) | 곤(袞) |
유적지
편집구분 | 인물 | 소재지 |
---|---|---|
초현원(招賢院) | 허공(許珙) | 경기 장단군 진서면 어룡리 |
일성재(一誠齋) | 허부(許富) | 경기 파주시 조리읍 장곡리 588-3 |
이정재(頤正齋) | 허균(許稛) | 서울 강서구 등촌2동 |
명천서원(溟川書院) | 허징(許徵)·허유례(許惟禮) | 함경북도 김책시 학중면 임명동 |
세수재(世守齋) | 허형(許亨) | 전남 순천시 조례동 150 |
영모재(永慕齋) | 허당(許瑭) | 전남 나주시 삼영동 내영산 |
첨모재(瞻慕齋) | 허규(許珪) | 전북 남원시 화정동393 |
송양재(松陽齋) | 허천익(許天益) | 경남 고성군 거류면 송산리 701-2 |
단제재실(壇祭齋室) | 허천적(許天迪) | 충북 단양군 가곡면 여천리 915 |
충열사(忠烈祠) | 허일(許鎰)·허경(許鏡)·허곤(許坤) | 전남 순천시 조례동150 |
충렬사(忠烈祠) | 허일(許鎰) | 함북 명천 |
갈양재(葛陽齋) | 허국초(許國礎) | 경남 고성군 대가면 갈천리1209 |
감모재(感慕齋) | 허항(許恒) | 전북 남원시 주천면 용담리 |
구암재(龜巖齋) | 허준(許浚) | 경기 파주시 진동면 하포리 산 129 |
화곡서원(花谷書院) | 허엽(許曄) | 경기 개풍군 영남면 현화리 |
사모당(思慕堂) | 허탁(許탁) | 전북 남원시 화정동393 |
월산재(月山齋) | 허첨(許檐) | 경남 창녕군 이방면 석리 |
금화사(金華祠) | 허한(許僩) | 경남 산청군 단성면 백운리 |
상고재(尙古齋) | 허창(許菖) | 경기 용인군 원삼면 맹2리 436 |
성남재(城南齋) | 허감(許橄) | 전북 남원시 산곡동 |
삼절당(三節堂) | 허방(許邦)·허윤공(許允恭)·허지(許智) | 경북 영주시 단산면 사천리 |
정충묘(精忠廟) | 허완(許完) | 경기 광주시 초월읍 대쌍령리 |
도천서원(陶川書院) | 허후(許厚) | 강원 원주시 문막읍 건등리 |
은거당(恩居堂) | 허목(許穆) | 경기 연천군 왕징면 강서리 798 |
경행서원(景行書院) | 허목(許穆) | 강원 동해시 송정동 |
도강영당(道江影堂) | 허목(許穆) | 충남 부여군 부여읍 관북리 28-4 |
도연서원(道淵書院) | 허목(許穆) | 경북 봉화군 춘양면 서동리 |
동산서원(東山書院) | 허목(許穆)·허후(許厚) | 전북 익산시 동산동 |
미강서원(嵋江書院) | 허목(許穆) | 경기 연천군 미산면 동이리 737-2 |
미연서원(嵋淵書院) | 허목(許穆) | 경남 의령군 대의면 중촌리 765-1 |
미천서원(眉泉書院) | 허목(許穆) | 전남 나주시 안창동383 |
석포재서원(石浦齋書院) | 허목(許穆) | 충남 금산군 부리면 창평리 |
정산서원(井山書院) | 허목(許穆) | 경남 함양군 지곡면 보산리 879 |
회원서원(檜原書院) | 허목(許穆) |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교방동 237 |
미수사(眉叟祠) | 허목(許穆) | 강원 삼척시 정상동 147-3 |
삼화재(三和齋) | 허서(許瑞) | 경남 고성군 거류면 송산리 |
수당재(修堂齋) | 허응(許應) | 경남 고성군 거류면 송산리 |
송덕재(松德齋) | 허종(許宗) | 경남 고성군 거류면 송산리 |
도양재(道陽齋) | 허현(許現) | 경남 고성군 마암면 도전리 |
금옥사(嶔玉祠) | 허국인(許國仁) | 인천 강화군 송해면 당산리 산55 |
노양재(魯陽齋) | 허변(許玣) | 전북 임실군 삼계면 덕계리 |
오류재(五柳齋) | 허형(許珩) | 전북 임실군 삼계면 후천리 오류동 |
경선재(景先齋) | 허안(許岸) | 경남 고성군 거류면 송산리 |
원효재(原孝齋) | 허익(許瀷) | 전남 보성군 득량면 오봉리 |
배양재(培陽齋) | 허외(許碨) | 경남 사천시 축동면 배춘리382 |
이회서실(以會書室) | 허격(許格) | 경남 고성군 구만면 효락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