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금역
서울지하철 3, 5호선의 전철역 중 하나
오금역(Ogeum station, 梧琴驛)은 서울특별시 송파구 오금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3호선, 수도권 전철 5호선 마천지선의 환승역이다. 2010년 2월 18일 수도권 전철 3호선이 수서역에서 이 역까지 연장 개통되면서 수도권 전철 3호선 종점 및 환승역이 되었다. 수도권 전철 3호선은 이 역부터 압구정역까지 지하 구간이다. 수도권 전철 3호선은 이 역부터 지축역까지 서울교통공사 구간이다. 수도권 전철 3호선은 심야에 1편성이 주박한다.[1]
3호선 승강장 | ||
![]() 5호선 승강장(2018년 9월) | ||
개괄 | ||
관할 기관 | 서울교통공사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송파구 오금로 지하321 | |
좌표 | 북위 37° 30′ 6.8″ 동경 127° 7′ 41.3″ / 북위 37.501889° 동경 127.128139° | |
개업일 | 5호선 : 1996년 3월 30일 3호선 : 2010년 2월 18일 | |
역 번호 | 3호선 : 352 5호선 : P552 5호선 : P552 | |
승강장 구조 | 2면 2선 (상대식) | |
노선 | ||
서울 지하철 3호선 | ||
대화 기점 57.5 km | ||
● 수도권 전철 3호선
| ||
| ||
서울 지하철 5호선 마천지선 | ||
방화 기점 44.9km | ||
● 수도권 전철 5호선 | ||
|
연혁편집
- 1996년 3월 30일 : 서울 지하철 5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 2010년 2월 18일 : 수도권 전철 3호선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됨
구조편집
개통은 서울 지하철 5호선이 앞섰으나, 당초부터 서울 지하철 3호선 연장 개통 및 환승을 대비하여 건설되었다. 서울 지하철 3호선 역은 기존 5호선 역에 증설되는 형태로 건설되어 출입구와 대합실 일부를 공유한다.
개찰구는 두 역 모두 각각 지하 1층에 있으며, 지하 3층에 환승 통로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은 5호선이 지하 2층에, 3호선이 지하 4층에 위치한다. 두 노선 모두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으로,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3호선의 경우 이 역 진입 전에 건넘선이 존재하여 대화 방면 플랫폼 상행방향으로 역주행해 정차한 후, 회차선을 거치지 않고 바로 구파발, 대화 방면으로 출발할 때가 가끔 있으며 이 때가 X자형 선로를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3호선 승강장편집
경찰병원 ↑ |
하 | | 상 |
시·종착역 |
상행 | ● 수도권 전철 3호선 | 수서 · 도곡 · 교대 · 옥수 · 충무로 · 대화 방면 |
---|---|---|
하행 | 당역 종착 |
5호선 승강장편집
방이 ↑ |
하 | | 상 |
↓ 개롱 |
상행 | ● 수도권 전철 5호선 | 강동·왕십리·여의도·방화 방면 |
---|---|---|
하행 | 개롱·거여·마천 방면 |
주변편집
사진편집
3호선 스크린도어
이용객 변동편집
3호선의 201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0년 2월 18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317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3호선 | 승차 | 미개통 | [2] | |||||||||
하차 | ||||||||||||
승하차 | ||||||||||||
5호선 | 승차 | 4,148 | 4,496 | 4,531 | 4,560 | 4,699 | 4,674 | 4,598 | 4,549 | 4,606 | 4,667 | [3] |
하차 | 4,009 | 4,359 | 4,387 | 4,453 | 4,667 | 4,690 | 4,621 | 4,621 | 4,729 | 4,813 | ||
승하차 | 8,157 | 8,855 | 8,918 | 9,013 | 9,366 | 9,364 | 9,219 | 9,169 | 9,335 | 9,480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3호선 | 승차 | 4,255 | 5,977 | 6,498 | 6,911 | 6,972 | 6,739 | 6,822 | 6,907 | 7,060 | ||
하차 | 3,834 | 5,318 | 5,674 | 6,009 | 6,123 | 5,967 | 6,093 | 6,197 | 6,336 | |||
승하차 | 8,089 | 11,295 | 12,172 | 12,920 | 13,095 | 12,706 | 12,915 | 13,104 | 13,396 | |||
5호선 | 승차 | 4,115 | 4,072 | 4,092 | 4,012 | 4,018 | 3,925 | 3,772 | 3,654 | 3,572 | ||
하차 | 4,277 | 4,209 | 4,199 | 4,094 | 4,051 | 3,921 | 3,745 | 3,638 | 3,537 | |||
승하차 | 8,392 | 8,280 | 8,292 | 8,106 | 8,069 | 7,846 | 7,517 | 7,292 | 7,109 |
인접한 역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서울 지하철 3호선 | ||
---|---|---|
351 경찰병원 대화 방면 |
● 수도권 전철 3호선 | 시·종착역 |
서울 지하철 5호선 지선 | ||
P551 방이 방화 방면 |
● 수도권 전철 5호선 | P553 개롱 마천 방면 |
각주편집
- ↑ 주중: K3383 -> K3040, 주말: K3343 -> K3018
- ↑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 ↑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