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종 (고려)

고려의 제18대 임금 (1127–1173)

의종(毅宗, 1127년 5월 23일 (음력 4월 11일[1]) ~ 1173년 11월 7일 (음력 10월 1일)[2] )은 고려의 제18대 국왕(재위 : 1146년 ~ 1170년)이다.

의종
毅宗
제18대 고려 국왕
재위 1146년 2월 28일 ~ 1170년 9월 2일 (음력)
전임 인종
후임 명종
고려국 왕태자
재위 1133년 2월 17일 ~ 1146년 2월 28일 (음력)
전임 왕태자 구 (인종)
후임 효령태자
이름
왕현(王晛)
시호 강과장효대왕(剛果莊孝大王)
묘호 의종(毅宗)
능호 희릉(禧陵)
신상정보
출생일 1127년 4월 11일(1127-04-11) (음력)
출생지 고려 개경 정궁
사망일 1173년 10월 1일(1173-10-01)(46세) (음력)
사망지 고려 동경 곤원사
부친 인종
모친 공예왕후 임씨
배우자 장경왕후 김씨, 장선왕후 최씨
자녀 1남 3녀 (4남 12녀)
효령태자, 경덕궁주, 안정궁주, 화순궁주

는 현(晛), 는 일승(日升), 묘호의종(毅宗), 시호강과장효대왕(剛果莊孝大王), 능호는 희릉(禧陵)이다. 인종공예태후 임씨(恭睿太后 任氏)의 맏아들이다.

내시와 환관들과 어울려 유흥과 오락에 깊이 빠지고, 측근들을 중용하다가, 측근 내시의 한사람인 김돈중이 무관들을 업신여겨 무신정변의 원인을 제공하였다. 정변으로 축출된 뒤 이의방이 보낸 이의민에 의해 살해당했다.

생애편집

생애 초반편집

의종은 인종임원후의 딸 공예왕후 임씨의 5남 중 장남으로 출생하였다. 그러나 모후인 공예왕후는 그보다 둘째 아들 대녕후 경을 유난히 편애하여 그를 태자로 앉히려 했으나, 정습명인종의 반대로 무산되었다.[3]

이후 둘째 동생인 대령후와 갈등하다가 후일 그를 역모로 몰아 유배보냈다.[4]

즉위편집

1134년에 태자(太子)가 되었으며 국자감 사업(國子監司業)으로 유학을 가르치던 정습명을 사부로 삼아 수학하였다. 1146년 인종이 죽자 즉위하였다.

즉위한 뒤에 그는 이미 인종 때에 일어난 이자겸의 전횡과 반란, 묘청의 난 등으로 크게 실추된 황실의 권위를 회복하여 쇠약해진 황권을 강화시키고자 노력하였다. 이를 위해 무신(武臣)들을 총애하여 친위군을 강화시켜 나갔다. 이 과정에서 정중부, 이의방, 이고, 이의민 등이 발탁되었다.

인종은 죽으며 정습명에게 아들 의종을 지도할 것을 부탁하였는데, 선제의 유지가 있다고하여 아는 것은 말하지 않는 것이 없었으며, 의종이 향락에 빠지자 이를 거침없이 지적, 질타하였다. 1148년(의종 2년) 정습명을 한림학사(翰林學士)에 발탁, 제수(除授)하였고 1149년 좌승선으로 고시관이 되어 시부(詩賦)로 오광윤(吳光允), 십운시로 조정시(趙挺時) 등을 선발하였고, 다시 정습명을 추밀원지주사로 앉혔다.

지적이 계속되자 의종은 정습명을 미워하고 기피하였다. 의종이 그를 꺼리는 데다가 김존중(金存中)과 정함 등은 밤낮으로 그를 헐뜯었다. 1151년 3월 정습명이 병으로 사직하자 왕은 즉시 김존중에게 임시로 그 직을 대신하게 하였다. 왕의 뜻을 이해한 정습명은 독약을 먹고 자결한다. 그러나 후일 의종은 무신정변으로 축출되며 뒤늦게 그를 찾았다고 한다.

무신정변과 폐위편집

그러나 말년에는 문신들 및 환관들과 어울려 유흥과 오락에 깊이 빠지고, 지나치게 불교·음양설, 선풍(仙風)을 중요시하고 유교를 멀리하는 등 정치적·사회적 혼란을 초래하였고, 이 과정에서 무신들을 소외시켜 천대받게 만들어 무신정변의 계기를 낳았다.

왕의 총애를 등에 업은 문신들은 약탈을 자행하였고, 무신들을 무시하기 시작했다. 이후 의종의 측근 김돈중오병수박희를 하던 정중부의 수염에 불을 지른 것[5]과 젊은 문신인 한뢰가 나이가 많은 무신이자 종 3품의 대장군인 이소응 장군의 뺨을 때린 것이 빌미가 되어 무신정변이 발생한다.[6]

1170년 음력 8월 30일 보현원에 거동하였을 때에 정중부, 이의방, 이고 등의 무신들이 반란을 일으켜 무신정변이 일어남으로써 음력 9월 2일 무신정권에 의해 폐위되어 3년간 거제도둔덕기성에 유폐되었다.[7]

김보당의 난과 최후편집

그 뒤 1173년김보당(金甫當) 등 의종 복위 세력이 무신정권에 항거하여 거병하면서 사람을 보내어 유배된 의종을 모셔와 받들고 경주로 가서 웅거하였다. 그러나 무신 정권이 보낸 군대에게 모두 패하였다.[8]

1173년, 의종은 총애하던 장수 이의민과 곤원사(坤元寺) 연못가에서 술을 마시다가 갑자기 그가 의종을 끌어안고서는 등뼈를 꺾어버린다. 그리고 온 몸의 마디, 관절을 부러뜨려 버리고 의종은 즉사한다. 의종은 대한민국 역사를 통틀어서 가장 처참한 최후를 당한 왕으로 불린다. 시체는 그대로 동경 (오늘날 경주)의 한 연못에 수장당하고 만다.[2]

이때 그의 나이 47세였으며 이후 동생인 명종에 의해 능이 조성되었는데 바로 희릉(禧陵)이다. 현재 희릉의 위치는 알 수 없으나 개성 동쪽에 위치하였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가족 관계편집

   고려 제18대 국왕       의종 장효대왕   
毅宗 莊孝大王
출생 사망
1127년 5월 23일 (음력 4월 11일)
  고려 개경 정궁
1173년 11월 7일 (음력 10월 1일) (46세)
  고려 동경 곤원사

부모편집

생몰년 부모 비고
인종 仁宗 1109년 - 1146년 예종 睿宗
문경태후 이씨 文敬太后 李氏
 제17대 국왕 
   공예태후 임씨   
恭睿太后 任氏
1109년 - 1183년 임원후 任元厚
진한국대부인 이씨 辰韓國大夫人 李氏

왕후편집

시호 생몰년 부모 비고
정비   장경왕후 김씨 莊敬王后 金氏[9] 생몰년 미상 강릉공 왕온 江陵公 王溫
김씨 金氏
의정왕후, 선정왕후의 언니
계비 장선왕후 최씨 莊宣王后 崔氏 최단 崔端 의종 2년(1148년) 왕비 책봉

후궁편집

생몰년 비고
궁인    무비 無比     미상  3남 9녀를 출생

왕자편집

이름 생몰년 생모 배우자 비고
1 효령태자 孝靈太子 기 祈 1149년 -   ?   장경왕후 김씨 태자비 왕씨 太子妃 王氏[10] 무신정변으로 폐위

왕녀편집

생몰년 생모 배우자 비고
1 경덕궁주 敬德宮主 생몰년 미상 장경왕후 김씨 연창공 왕평 延昌公 王評[11]
2 안정궁주 安貞宮主 함녕백 왕박 咸寧伯 王璞[12]
3 화순궁주 和順宮主 광릉공 왕면 廣陵公 王沔[13]


의종이 등장하는 작품편집


각주편집

  1. 『고려사』 권15, 「세가」15, 인종 5년(1127) 4월 11일(경오)
  2. 『고려사』 권19, 「세가」19, 명종 3년(1173) 10월 1일(경신)
  3. 『고려사』 권98, 「열전」11, 정습명
  4. 『고려사』 권90, 「열전」3, 왕경(王暻)
  5. 『고려사』 권128, 「열전」41, 정중부; 『고려사』 권98, 「열전」11, 김돈중
  6. 『고려사』 권128, 「열전」41, 정중부
  7. 『고려사』 권19, 「세가」19, 의종 24년(1170) 9월 2일(기묘)
  8. 『고려사』 권128, 「열전」41, 이의민; 『고려사』 권19, 「세가」19, 명종 3년(1173) 9월 13일(계묘)
  9. 모계 성씨를 사용
  10. 강릉공 왕감과 인종의 차녀 덕녕궁주의 딸
  11. 한남백 왕기와 예종의 장녀 승덕공주의 아들
  12. 한남백 왕기와 예종의 장녀 승덕공주의 아들
  13. 공화후 왕영과 인종의 장녀 승경궁주의 아들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