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재해

자연 현상으로 인해 생기는 인명피해, 재산손실 및 시설물의 피해 등
(자연 재해에서 넘어옴)

자연재해(自然災害, 영어: natural disaster) 또는 천재지변(天災地變)은 폭풍, 홍수, 해일, 지진, 산사태 등 자연 현상으로 인해 생기는 사망을 포함한 인명피해 및 재산손실[1], 그리고 시설물의 피해가 발생하여 생물의 활동에 큰 영향을 받는 것을 말한다.

1991년피나투보 화산이 분화하는 모습.

개요편집

재해에는 철도재해·자동차 사고와 같은 것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모두가 자연재해(일명 천재)라고는 할 수 없으나, 자연재해는 전(全)재해의 약 2할 정도라고 보면 타당하다. 이 자연재해 중 풍수해(風水害)가 가장 많아 약 4할을 상회하고, 다음이 지진으로 인한 재해가 약 3할 정도이다. 그 밖의 재해로서는 미국의 토네이도(tornado), 블리자드(blizzard)라고 불리는 대선풍과 폭풍설(暴風雪) 등이 있는데, 이들을 집계하여 보면 자연재해의 약 3할이 지진 등으로 인한 지상현상이고 약 6할이 기상 때문이다. 재해는 인구밀도와 관련하여 인간의 거주조건에 따라 크게 변할 수 있다. 국토의 면적을 그 국가의 재해 수로 나눈 값으로 천재국(天災國)의 우선순위를 정한 세계의 재해 통계를 보면, 제1위가 포르투갈, 제2위 쿠바, 제3위 일본의 순으로 되어 있고, 한국도 매년 기상 재해로 입는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1972년 여름의 경우도 예년에 유례 없는 풍수해가 있었다.

원인편집

매년 연중행사처럼 일어나고 있는 기상재해의 원인별 분석을 보면 호우 및 태풍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고, 다음으로 뇌우·저기압 등으로 되어 있다. 기상재해라 하면 풍해·건풍해(乾風害)·수해(水害)·뇌재(雷災)·설해(雪害)·가뭄·고조해(高潮害)·냉해(冷害)·서리해(凍害)·한해(寒害)·더위·안개해 등이 있다. 그 밖에 인위적인 원인과 복합된 화재·스모그(smog)·방사능 등에 의한 재해를 덧붙이면 그 종류는 더욱 많아지지만 재해를 생각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재해는 악조건이 중첩되어 일어나는 것으로서 어느 한 원인 또는 한 조건만으로 그 실태(實態)를 설명하는 것은 어렵다는 것이다. 풍해라고 하더라도 그것이 기상학적 원인에 의하여 일어난다고만 볼 수는 없다. 어떤 집은 아무런 피해도 입지 않았음에 비해 어떤 집은 바람에 의하여 붕괴되었다면, 그것은 그 집의 구조가 보통의 집에 비해 약하여 붕괴된 것이라는 사회적(인위적) 조건을 고려치 않고 생각할 수는 없다. 따라서 천재(天災)냐 인재(人災)냐 하는 문제를 형식적으로 아무리 논의하여도 재해의 실태가 명백해지지는 않는다.

종류편집

지질학적 재해편집

수해편집

기상재해편집

화재편집

우주편집

영향편집

자연재해의 영향으로 생기는 현상

영화편집

각주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기상재해"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