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기하학 에서 호지-라플라스 연산자 (Hodge-Laplace演算子, 영어 : Hodge–Laplace operator ) 또는 호지-드람 라플라스 연산자 (Hodge-de Rham-Laplace演算子, 영어 : Hodge–de Rham Laplacian ) 또는 라플라스-드람 연산자 (Laplace-de Rham演算子, 영어 : Laplace–de Rham operator )는 콤팩트 리만 다양체 위의 미분 형식 에 대하여 정의되는 2차 타원형 미분 연산자 이다. 호지-라플라스 연산자의 값이 0인 미분 형식 을 조화 미분 형식 (調和微分形式, 영어 : harmonic differential form )이라고 하며, 호지 이론 에 따라 이는 실수 계수 코호몰로지류 와 표준적으로 대응된다.
콤팩트 리만 다양체
(
M
,
g
)
{\displaystyle (M,g)}
위의 미분 형식 의 실수 벡터 공간
Ω
∙
(
M
)
{\displaystyle \Omega ^{\bullet }(M)}
을 생각하자. 임의의
n
∈
{
0
,
1
,
…
,
dim
M
}
{\displaystyle n\in \{0,1,\dotsc ,\dim M\}}
에 대하여,
n
{\displaystyle n}
차 미분 형식의 벡터 다발 의
x
∈
M
{\displaystyle x\in M}
에서의 올공간
⋀
n
T
x
∗
M
{\displaystyle \bigwedge ^{n}\mathrm {T} _{x}^{*}M}
은
(
dim
M
n
)
{\displaystyle \textstyle {\binom {\dim M}{n}}}
차원 실수 벡터 공간 이며, 리만 계량
g
|
x
{\displaystyle g|_{x}}
로 인하여 이는 실수 내적 공간 을 이룬다. 즉,
n
{\displaystyle n}
차 미분 형식의 벡터 다발은 양의 정부호 내적을 가지게 되며, 이를 통하여 미분 형식의 공간에 다음과 같은 내적을 줄 수 있다.
⟨
α
|
β
⟩
=
1
(
n
!
)
2
∫
M
α
i
1
i
2
⋯
i
n
β
j
1
j
2
⋯
j
n
g
i
1
j
1
⋯
g
i
n
j
n
det
g
d
dim
M
x
∀
α
,
β
∈
Ω
n
(
M
)
{\displaystyle \langle \alpha |\beta \rangle ={\frac {1}{(n!)^{2}}}\int _{M}\alpha _{i_{1}i_{2}\dotsb i_{n}}\beta _{j_{1}j_{2}\dotsb j_{n}}g^{i_{1}j_{1}}\dotsm g^{i_{n}j_{n}}{\sqrt {\det g}}\,\mathrm {d} ^{\dim M}x\qquad \forall \alpha ,\beta \in \Omega ^{n}(M)}
이에 따라
Ω
(
M
)
{\displaystyle \Omega (M)}
의 완비화
Ω
¯
(
M
)
{\displaystyle {\bar {\Omega }}(M)}
를 취할 수 있으며, 이는 실수 힐베르트 공간 을 이룬다.
이 구조를 사용하여, 미분 형식 의 외미분
d
:
Ω
∙
(
M
)
→
Ω
∙
+
1
(
M
)
{\displaystyle \mathrm {d} \colon \Omega ^{\bullet }(M)\to \Omega ^{\bullet +1}(M)}
의 에르미트 수반
d
†
:
dom
(
d
†
)
→
Ω
¯
(
M
)
{\displaystyle \mathrm {d} ^{\dagger }\colon \operatorname {dom} (\mathrm {d} ^{\dagger })\to {\bar {\Omega }}(M)}
⟨
α
|
d
†
β
⟩
=
⟨
d
α
|
β
⟩
∀
α
,
β
∈
Ω
(
M
)
{\displaystyle \langle \alpha |\mathrm {d} ^{\dagger }\beta \rangle =\langle \mathrm {d} \alpha |\beta \rangle \qquad \forall \alpha ,\beta \in \Omega (M)}
dom
d
†
⊆
Ω
¯
∙
(
M
)
{\displaystyle \operatorname {dom} \mathrm {d} ^{\dagger }\subseteq {\bar {\Omega }}^{\bullet }(M)}
을
Ω
¯
(
M
)
{\displaystyle {\bar {\Omega }}(M)}
의 조밀 집합 위에 정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
d
†
)
2
=
0
{\displaystyle (\mathrm {d} ^{\dagger })^{2}=0}
이다.
호지-라플라스 연산자 는 미분 형식에 대하여 정의되는 2차 타원형 미분 연산자 이며, 다음과 같다.
Δ
dR
=
d
d
†
+
d
†
d
=
(
d
+
d
†
)
2
{\displaystyle \Delta _{\text{dR}}=\mathrm {d} \mathrm {d} ^{\dagger }+\mathrm {d} ^{\dagger }\mathrm {d} =(\mathrm {d} +\mathrm {d} ^{\dagger })^{2}}
그 핵 은 조화 미분 형식 이라고 한다.
Δ
dR
=
(
d
+
d
†
)
2
{\displaystyle \Delta _{\text{dR}}=(\mathrm {d} +\mathrm {d} ^{\dagger })^{2}}
이므로, 라플라스-드람 연산자의 스펙트럼 은 모두 음이 아닌 실수이다.
리만 다양체
M
{\displaystyle M}
위의 임의의
(
p
,
q
)
{\displaystyle (p,q)}
차 텐서장
X
j
1
…
j
q
i
1
…
i
p
{\displaystyle X_{j_{1}\dotsc j_{q}}^{i_{1}\dotso i_{p}}}
에 대하여, 레비치비타 접속 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라플라스-벨트라미 연산자 를 정의할 수 있다.
(
Δ
X
)
X
j
1
…
j
q
i
1
…
i
p
=
g
k
l
∇
k
∇
l
X
j
1
…
j
q
i
1
…
i
p
{\displaystyle (\Delta X)X_{j_{1}\dotsc j_{q}}^{i_{1}\dotso i_{p}}=g^{kl}\nabla _{k}\nabla _{l}X_{j_{1}\dotsc j_{q}}^{i_{1}\dotso i_{p}}}
만약
p
=
0
{\displaystyle p=0}
일 경우,
(
0
,
q
)
{\displaystyle (0,q)}
차 텐서장 은
q
{\displaystyle q}
차 미분 형식 과 같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라플라스-벨트라미 연산자는 라플라스-드람 연산자와 다르며, 그 차는 리만 곡률 에 비례하는 (0차 미분) 국소 선형 연산자이다. 이 관계를 바이첸뵈크 항등식 (영어 : Weitzenböck identity )이라고 한다.
다만, 스칼라 함수의 경우 (
p
=
q
=
0
{\displaystyle p=q=0}
), 라플라스-벨트라미 연산자는 라플라스-드람 연산자(의 −1배)와 같다.
g
i
j
∇
j
∂
i
f
=
−
d
†
d
f
=
−
Δ
dR
f
{\displaystyle g^{ij}\nabla _{j}\partial _{i}f=-\mathrm {d} ^{\dagger }\mathrm {d} f=-\Delta _{\text{dR}}f}
증명 :
차수로 인하여,
f
∈
Ω
0
(
M
)
{\displaystyle f\in \Omega ^{0}(M)}
에 대하여
d
†
f
=
0
{\displaystyle \mathrm {d} ^{\dagger }f=0}
이다. 따라서
Δ
dR
f
=
d
d
†
f
+
d
†
d
f
=
d
†
d
f
{\displaystyle \Delta _{\text{dR}}f=\mathrm {d} \mathrm {d} ^{\dagger }f+\mathrm {d} ^{\dagger }\mathrm {d} f=\mathrm {d} ^{\dagger }\mathrm {d} f}
이다. 따라서, 임의의 함수
g
∈
Ω
0
(
M
)
{\displaystyle g\in \Omega ^{0}(M)}
에 대하여
∫
M
g
i
j
∇
i
∇
j
f
det
g
d
x
=
⟨
d
g
|
d
f
⟩
{\displaystyle \int _{M}g^{ij}\nabla _{i}\nabla _{j}f\,{\sqrt {\det g}}\,\mathrm {d} x=\langle \mathrm {d} g|\mathrm {d} f\rangle }
임을 보이면 족하다. 그런데 스토크스 정리 에 의하여
∫
M
g
i
j
∇
i
∇
j
f
det
g
d
x
=
−
∫
M
g
i
j
∇
i
f
∇
j
g
det
g
=
−
⟨
d
f
|
d
g
⟩
{\displaystyle \int _{M}g^{ij}\nabla _{i}\nabla _{j}f\,{\sqrt {\det g}}\,\mathrm {d} x=-\int _{M}g^{ij}\nabla _{i}f\nabla _{j}g\,{\sqrt {\det g}}=-\langle \mathrm {d} f|\mathrm {d} g\rangle }
이다.
Δ
dR
{\displaystyle \Delta _{\text{dR}}}
가 타원형 미분 연산자 이므로, 조화 미분 형식들의 실수 벡터 공간 은 유한 차원이며, 호지 이론 에 따라 드람 코호몰로지
H
(
M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H} (M;\mathbb {R} )}
와 표준적으로 동형이다.
구체적으로, 닫힌 미분 형식
α
∈
Ω
k
(
M
)
{\displaystyle \alpha \in \Omega ^{k}(M)}
의 동치류
[
α
]
=
{
β
∈
Ω
k
(
M
)
:
∃
γ
∈
Ω
K
−
1
(
M
)
:
α
−
β
=
d
γ
}
{\displaystyle [\alpha ]=\{\beta \in \Omega ^{k}(M)\colon \exists \gamma \in \Omega ^{K-1}(M)\colon \alpha -\beta =\mathrm {d} \gamma \}}
를 생각하자. 이 위에 힐베르트 공간 노름 은 함수
‖
−
‖
:
[
α
]
→
[
0
,
∞
)
{\displaystyle \|-\|\colon [\alpha ]\to [0,\infty )}
를 정의하며, 조화 미분 형식은 이 함수를 최소화한다. 이러한 대표원은 각 동치류 속에서 유일하게 존재함을 보일 수 있다.
Warner, Frank (1971). 《Foundations of Differentiable Manifolds and Lie Groups》 (영어). Springer-Verlag. ISBN 0-387-90894-3 . MR 72229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