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대칭 대수(超對稱代數, 영어: supersymmetry algebra)는 푸앵카레 대칭초대칭을 나타내는 리 초대수다.

정의 편집

푸앵카레 대수는 시공에 대한 병진  로런츠 변환  로 이루어진다. 이들은 보손적 생성자다. 여기에 일련의 페르미온적 생성자   를 추가한다. (만약  개의 초대칭이 있으면  .) 이들은 초대칭을 나타낸다.

푸앵카레 대수는  차원의 시공에서  개의 병진 생성자와  개의 로런츠 변환으로 총  차원이다. ( 일 경우에는 물론 10차원.) 여기에  개의 초대칭이 있는 경우에는 (중심 전하를 무시하면) 초대칭 대수는 총  차원이 된다.

주어진 시공간 차원에서, 초전하(영어: supercharge)의 수는 그 차원에서의 최소 스피너 표현의 차원의 정수배이다. 이 정수를 통상적으로  이라고 쓴다. 가장 간단한 초대칭은  이며,  인 경우를 확장 초대칭(영어: extended supersymmetry)이라고 한다. 4차원 민코프스키 공간에서의 최소 스피너 표현은 4차원 바일 또는 마요라나 스피너이므로,   초대칭은 4개의 초전하를 가진다.

초대칭은 서로 다른 스핀의 입자들을 연관지으므로, 초대칭이 더 많을 수록 더 높은 스핀의 입자가 필요하다. 스핀이 2를 초과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이론을 정의할 수 없다. 만약 초전하의 수가 32를 초과하는 경우 스핀이 2를 초과하는 입자가 필요하므로, 초전하는 최대 32개가 존재할 수 있다. 32개의 초전하의 경우 스핀이 2인 입자(중력자)가 필요하므로, 이는 초중력 이론을 이룬다. 11차원 초중력이나 10차원 IIA/B 초중력, 4차원   초중력[1] 등이 그 예이다.

만약 중력을 포함하지 않으려면, 입자의 스핀은 최대 1이어야 한다. (스핀이 1½인 경우는 그래비티노로, 중력이 없이는 상호작용하는 그래비티노를 포함할 수 없다.) 이 경우에는 초전하의 수는 최대 16이다. 10차원   초대칭 양-밀스 이론이나 4차원   초대칭 양-밀스 이론[2] 이 그 예이다.

다양한 시공간 차원에서 가능한 초대칭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12차원 이상에서는 자명하지 않은 초대칭 이론이 존재할 수 없다고 여겨진다.)

시공간의 차원  의 초전하수
다양한 차원의 민코프스키 공간에서의 최소 초대칭 수
11 32
10, 9, 8, 7 16
6, 5 8
4 4
3 2
2,1 1
시공간의 차원 32개의 초전하 16개의 초전하 8개의 초전하 4개의 초전하 2개의 초전하
차원 축소에 따른 초대칭. 주어진 칸의 초대칭을 차원 축소하면 그 밑에 있는 초대칭들을 얻는다.
11   (불가능)
10   (IIA종)   (IIB종)   (I종) (불가능)
9    
8    
7    
6         (불가능)
5      
4         (불가능)
3           (불가능)
2            

4차원 초대칭 편집

4차원에서,   초대칭은 (디랙 스피너이므로) 총 4개의 초전하를 가진다. 즉, 일반적으로는  개의 초전하가 존재한다. 이 경우,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  ,    초중력이다. 중력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인 경우는 와인버그-위튼 정리에 걸려 자명한 이론이 되고, 중력을 포함한다고 해도  까지만 가능하다.

주어진  에 대하여, 초대칭 대수의 생성원은 다음과 같다.

  • 병진 변환  
  • 회전  
  • 초대칭  ,   ( ). 이는 R대칭군의 크기가  인 "벡터 표현"을 따른다. 이 표현을  라고 쓰자.
  • R대칭  R대칭 딸림표현을 따른다. 이 표현을  라고 쓰자.
  • 중심 원소  

이들의 리 초괄호는 다음과 같다.

 
 
 
 
 
 
 
 
 
 
 
 
 

즉, 초대칭 전하는 일종의 운동량의 제곱근으로 생각할 수 있다.

위상 뒤틀림 편집

4차원에서는   또는  인 경우 위상 뒤틀림(영어: topological twist)을 가해 위상 양자장론으로 만들 수 있다. 이 경우,  인 경우는 SU(2) R대칭  로런츠 대칭의 두 좌·우 성분 가운데 하나와 대각군을 취하며,  인 경우는 서로 동일하지 않는 3가지의 가능한 뒤틀림이 존재한다.

초다중항 편집

4차원 민코프스키 공간에서 상호작용이 가능한 초다중항들은 다음과 같다.

  •  
    • 손지기 초다중항(영어: chiral multiplet): 복소 스칼라장, 바일 스피너
    • 벡터 초다중항(영어: vector multiplet): 바일 스피너, 게이지장
    • 중력자 초다중항(graviton supermultiplet): 중력자, 바일 그래비티노
  •  
    • 하이퍼 초다중항(영어: hypermultiplet): 복소 스칼라장(×2), 디랙 스피너
      • 서로 다른 나선도의 두   손지기 초다중항으로 구성된다. 게이지 대칭이 있는 경우, 하나는 표현 R, 다른 하나는 그 복소 켤레 표현 R을 따른다.
    • 벡터 초다중항: 복소 스칼라장, 디랙 스피너, 게이지장
      •   벡터 초다중항과 (게이지 딸림표현)   손지기 초다중항으로 구성된다.
    • 중력자 초다중항: 중력자, 디랙 그래비티노, 중력광자
  •  
    • 벡터 초다중항: 실수 스칼라장 (×6), 바일 스피너 (×6), 게이지장
    • 중력자 초다중항
  •  
    • 중력자 초다중항

3차원 초대칭 편집

3차원 민코프스키 공간에서의 초대칭은 다음과 같다.[3] 이 경우   초대칭은 2개의 초대칭을 가지며, 마요라나 스피너가 된다.

 

여기서 중심 확대  는 반대각화하여  개의 실수 고윳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초대칭에서는 하나의 중심 전하  가 존재하며, 이 경우 모든 물리적 상태들의 질량  은 BPS 부등식

 

를 만족시킨다.[3]:(19)

3차원 민코프스키 공간에서 상호작용이 가능한 초다중항들은 다음과 같다. 3차원에서는 게이지장을  로 실수 스칼라로 이중화할 수 있다. 즉, 3차원에서는 스칼라장 및 (마요라나) 페르미온만이 존재한다.

  •  : 실수 스칼라장 (×1), 마요라나 스피너 (×1). R대칭은 없다.
  •  [4]: 실수 스칼라장 (×2), 마요라나 스피너 (×2). R대칭은 U(1). 이 경우는 4차원  축소화하여 얻는다. 이 경우 게이지 이론의 거울 대칭이 존재한다.
  • 마찬가지로   등이 존재한다.

6차원 초대칭 편집

6차원 민코프스키 공간에서는 2차 미분형식 퍼텐셜 게이지장이 존재한다. 이 경우, 질량껍질 위에서, (1차 미분형식) 게이지장은 4개의 자유도를, 바일 스피너는 4개의 자유도를, 2차 미분형식 게이지장은 3개의 자유도를 가진다.

  •  . R대칭은 SU(2)이다.
    • 하이퍼 초다중항: 실수 스칼라장 (×4), 바일 스피너 (×1)
    • 벡터 초다중항: 1차 형식 게이지장 (×1), 바일 스피너 (×1)
    • 텐서 초다중항: 2차 형식 게이지장 (×1), 바일 스피너 (×1), 실수 스칼라 (×1)
  •  . R대칭은 SO(4)이다.
    • 벡터 초다중항: 1차 형식 게이지장 (×1), 디랙 스피너 (×1), 실수 스칼라장 (×4)
  •  . R대칭은 SO(5)이다.
    • 텐서 초다중항: 2차 형식 게이지장 (×1), 왼쪽 바일 스피너 (×2), 실수 스칼라장 (×5)

2차원 초대칭 편집

참고 문헌 편집

  1. Ferrara, Sergio; Alessio Marrani (2011년 3월). “Perturbative and non-perturbative aspects of   supergravity” (영어). arXiv:1103.5138. Bibcode:2011arXiv1103.5138F.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46) (도움말)
  2. Seiberg, Nathan (1998). “Notes on theories with 16 supercharges”. 《Nuclear Physics B Proceedings Supplement》 (영어) 67 (1–3): 158–171. arXiv:hep-th/9705117. Bibcode:1998NuPhS..67..158S. doi:10.1016/S0920-5632(98)00128-5. 
  3. McKeon, D. G. C.; T. N. Sherry. “Supersymmetry in three dimensions” (영어). arXiv:hep-th/0108074. 
  4. Aharony, O.; Hanany, A.; Intriligator, K.; Seiberg, N.; Strassler, M.J. “Aspects of N=2 supersymmetric gauge theories in three dimensions” (영어). arXiv:hep-th/9703110.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