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울 대칭
끈 이론과 수리물리학에서 거울 대칭(거울對稱, 영어: mirror symmetry 미러 시메트리[*])은 서로 다른 두 칼라비-야우 다양체 위에 정의된 초끈 이론이 서로 동치인 현상이다.[1][2][3][4][5][6]:411–415[7][8][9][10][11] T-이중성을 일반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정의
편집초끈 이론은 10차원에서 존재하는 이론이다. 4차원에서의 초대칭을 보존하려면 이론을 실수 6차원 (복소수 3차원) 콤팩트 연결 칼라비-야우 다양체에 축소화하여야 한다.
거울 대칭에 따르면, (거의) 모든 칼라비-야우 다양체 에 대하여, 이에 대응하는 공간 가 존재한다. 이들의 돌보 코호몰로지 는 다음 관계를 만족한다.
- .
이에 따라, 에 축소화한 ⅡA형 초끈 이론은 에 축소화한 ⅡB형 초끈 이론과 동형이다. 이에 대한 대응 관계는 다음과 같다.
ⅡA | ⅡB |
---|---|
복소구조 모듈라이 | 일반화 켈러 다양체 구조 모듈라이 |
D0-막 | 특수 라그랑주 부분 다양체를 감는 D3-막 |
호지 수 | 호지 수 |
호지 수 | 호지 수 |
개의 4차원 벡터 초다중항 | 개의 4차원 벡터 초다중항 |
개의 4차원 하이퍼 초다중항 (1개를 제외하면 ) | 개의 4차원 하이퍼 초다중항 (1개를 제외하면 ) |
1개의 4차원 중력 초다중항 | 1개의 4차원 중력 초다중항 |
이 표에서 등장하는 호지 수들은 단일 연결 콤팩트 복소수 3차원 칼라비-야우 다양체의 호지 수 가운데 자명하지 않은 두 수이다.
1 | ||||||
0 | 0 | |||||
0 | h1,1 | 0 | ||||
1 | h1,2 | h1,2 | 1 | |||
0 | h1,1 | 0 | ||||
0 | 0 | |||||
1 |
위 표에서, 추가로 등장하는 하이퍼 초다중항의 유래는 다음과 같다.
- ⅡA: 딜라톤 + 캘브-라몽 장 (의 쌍대 스칼라장) + 3차 라몽-라몽 장 ,
- ⅡB: 딜라톤 + 캘브-라몽 장 (의 쌍대 스칼라장) + 2차 라몽-라몽 장 (의 쌍대 스칼라장) + 0차 라몽-라몽 장
2차원 게이지 선형 시그마 모형
편집거울 대칭의 대표적인 예는 N=(2,2) 게이지 선형 시그마 모형이다. 게이지 선형 시그마 모형은 게이지 보손을 포함하는 초다중항(vector supermultiplet)과 물질을 포함하는 손지기 초다중항(chiral supermultiplet), 그리고 비틀린 손지기 초다중항(twisted chiral supermultplet)을 이루는 장세기(field strength)의 페예-일리오풀로스 항을 가진다. 거울 대칭은 손지기 초다중항과 비틀린 손지기 초다중항을 서로 맞바꾼다. 호리 겐타로(일본어: 堀 健太朗)와 캄란 바파는 2차원 게이지 선형 시그마 모형에 대하여 거울 대칭을 증명하였다.[4]:463–479[12]
이에 따라, 과녁 공간이 2차원 구인 비선형 시그마 모형은 사인-고든 모형과 대응하고, 보다 일반적으로 과녁 공간이 복소 사영 공간인 비선형 시그마 모형은 아핀 도다 모형(affine Toda model)에 대응한다.
일반적으로, 칼라비-야우 다양체 위의 2차원 초대칭 비선형 시그마 모형 (또는 란다우-긴즈부르크 모형)은 두 가지로 위상적 뒤틀림을 가해 위튼형 위상 양자장론을 이룰 수 있다. 이를 각각 A모형(영어: A-model)과 B모형(영어: B-model)이라고 한다.[13] 거울 대칭은 A모형과 B모형을 관계짓는다. 이 때, 이 두 시그마 모형의 과녁 공간은 일반적으로 다르다. 즉, 거울 대칭은 서로 다른 칼라비-야우 다양체를 관계짓는다.
이들 위상 시그마 모형을 세계면 이론으로 하는 끈 이론을 위상 끈 이론이라고 한다. 거울 대칭은 위상 끈 이론으로 확장된다.
3차원 게이지 이론
편집3차원 (8개 초전하) 초대칭 게이지 이론에서도 일종의 거울 대칭이 존재한다. 이는 4차원 거울 대칭을 3차원으로 차원 축소한 경우이다.
스트로민저-야우-재슬로 가설
편집스트로민저-야우-재슬로(SYZ) 가설(영어: Strominger–Yau–Zaslow conjecture)은 수학에서, 여러 가지 거울 대칭 가설의 형태들 가운데 하나이며, 거울 대칭 짝을 T-이중성으로 해석하는 가설이다.[14][15][16][17][18] SYZ 가설에 따르면, 거울 대칭 짝을 가지는 모든 복소 n차원 칼라비-야우 다양체는 Tn (실수 n차원 원환면) 올화(영어: fibration)를 가지며, 이 올들은 특수 라그랑주 부분 다양체를 이룬다. 거울 대칭쌍 는 같은 공간 위의 원환면 올다발 , 를 이루며, 임의의 올 에 대하여 와 는
의 관계를 가진다. 이는 n차원 원환면 올에 T-이중성을 가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SYZ 가설(보다 일반적으로, 거울 대칭 자체)은 임의의 칼라비-야우 다양체에 대하여 성립하지 않고, 오직 칼라비-야우 다양체의 족(family)의 특정한 극한에서만 성립한다.[17][19] 이는 큰 복소 구조 극한(영어: large complex structure limit)인데, 이는 부피를 고정시키고 복소 구조 모듈러스 공간의 경계로 극한을 취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복소 구조와 켈러 구조를 갖춘 실수2차원 원환면(타원 곡선) 의 경우, 원환면의 넓이를 고정시키며 복소 구조 의 극한 를 취하면 원환면은 길쭉하고 가는 직선으로 수렴하게 된다. 거울 대칭은 복소 구조와 켈러 구조를 맞바꾸므로, 큰 복소 구조 극한은 큰 부피 극한(영어: large volume limit)에 대응한다.
물리학적으로, SYZ 가설은 IIB종 초끈 이론의 BPS D3-막의 모듈러스 공간을 사용하여 유도된다. D3-막이 BPS이려면, 막은 3차원 특수 라그랑주 부분 다양체를 이루어야 한다. 따라서, D3-막의 모듈러스 공간은 D3-막의 가능한 위치들의 공간 와, 주어진 위치에서 D3-막의 순수 게이지 윌슨 고리들의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후자는 수학적으로 평탄한 U(1) 접속들의 집합이며, D3-막의 모양이 라면 코호몰로지 에 의하여 주어진다. 에 축소화한 IIB종 초끈 이론의 D3-막은 거울 대칭을 통해 에 축소화한 IIA종 초끈 이론의 D0-막과 같아야 한다. 즉, 에서의 D3-막의 모듈러스 공간은 에서의 D0-막의 모듈러스 공간과 같아야 한다. 그러나 후자는 이다. 즉, 는 올다발 구조를 가지며, 그 올은 가 된다.
호몰로지 거울 대칭
편집이 주제 또한 수학에서, 여러 가지 거울 대칭 가설의 형태들 가운데 하나이며, 막심 콘체비치는 호몰로지 대수학을 사용하여 거울 대칭을 수학적으로 엄밀하게 정의하였다. 이를 호몰로지 거울 대칭(영어: homological mirror symmetry)[20][21]
호몰로지 거울 대칭의 여러 특수한 경우가 증명되었다.
하지만 호몰로지 거울 대칭의 일반적인 증명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호몰로지 거울 대칭에 따르면, 거울 대칭 쌍 사이에 다음과 같은 관계가 존재한다.
여기서 양변은 다음과 같다.
- 후카야 범주는 특수 라그랑주 부분 다양체를 대상으로 하고, 플뢰어 사슬을 사상으로 하는 범주로, A-모형(영어: A-model)을 나타낸다. 3차원 칼라비-야우의 경우, BPS(초대칭) D3-막은 특수 라그랑주 부분 다양체를 감는다.
- 연접층의 범주는 B-모형(영어: B-model)을 나타낸다.[24][25]
이 A/B-모형은 위상 끈 이론의 두 종류로, 끈 이론의 위상수학적인 부분만을 나타내는 장난감 모형이다.
예
편집타원 곡선
편집거울 대칭의 가장 기본적인 경우는 (복소) 타원 곡선이다. 타원 곡선 는 위상수학적으로 2차원 원환면이다. 그 복소구조의 모듈라이 공간은
이다. 여기서 는 열린 상반평면이며, 는 모듈러 군이다. 만약 타원 곡선 대신 방향이 주어진 타원 곡선을 고려하면, 모듈러 군의 두 생성원
가운데 만이 허용되고, 따라서 복소구조 모듈라이 공간은
이다.
반면, 그 켈러 구조는 켈러 형식 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 모듈라이 공간은 타원 곡선의 넓이
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는 타원 곡선의 기본류이다.) 켈러 구조 에 끈 이론에서 등장하는 캘브-라몽 장 를 더하여 다음과 같은 복소화 켈러 구조(영어: complexified Kähler structure) 를 생각할 수 있다.
복소화 켈러 구조의 모듈라이 공간은 타원 곡선의 ‘복소화 넓이’에 의하여 분류된다.
즉, 복소화 켈러 구조의 모듈라이 공간(복소화 켈러 뿔 영어: complexified Kähler cone)은 이다. 따라서 유향 타원 곡선의 복소 구조 모듈러스 공간과 복소화 켈러 구조 모듈러스 공간이 로 일치함을 알 수 있다.
물리학적으로, 한 타원 곡선 위에 축소화한 ⅡA종 초끈 이론이, 그 복소구조와 복소화 켈러 구조 모듈러스를 맞바꾼 타원 곡선 위에 축소화한 ⅡB종 초끈 이론과 동형이다. 이 경우의 거울 대칭은 단순히 T-이중성의 특수한 경우이다.
K3 곡면
편집대표적인 예로, K3 곡면 위의 IIA종 끈 이론을 생각하자.[6]:425 K3 곡면의 모듈라이 공간은 총 58차원이다. 이 가운데 개는 켈러 모듈라이, 나머지 38개는 복소구조 모듈라이에 해당한다. 여기에, 캘브-라몽 장에 의하여
개의 모듈라이가 추가된다. 이 가운데 개의 모듈라이는 K3 곡면 켈러 모듈라이와 함께 복소수 20차원(실수 40차원)의 모듈러스를 이룬다. 나머지 40개의 모듈라이들은 (일반화) 복소구조 모듈라이로 간주한다. 이 밖에도, 딜라톤에 의한 하나의 모듈라이가 더 있다. 즉, 총 40+40+1=81개의 모듈라이가 존재한다.
거울 대칭은 40개의 (일반화) 복소구조 모듈라이를 40개의 (일반화) 켈러 구조 모듈라이와 맞바꾼다. 즉, K3 곡면에 축소화한 IIA종 끈 이론은, 복소구조와 켈러 구조 모듈라이를 맞바꾼 K3 곡면에 축소화한 ⅡA종 끈 이론과 동형이다. 딜라톤 모듈라이(끈 결합 상수)는 바뀌지 않는다.
사실, 이 이론은 4차원 원환면 위에 축소화한 잡종 끈 이론과 동치이다. 차원 원환면 위의 나레인 축소화의 모듈라이의 수는 (딜라톤 진공 기댓값 = 끈 결합 상수를 포함하면) 인데, 일 때 이는 ⅡA의 81개의 모듈라이와 대응된다.
역사
편집거울 대칭은 1990년에 최초로 발견되었다. 1990년에 필립 칸델라스(영어: Philip Candelas)와 모니카 링커(Monika Lynker), 롤프 심리크(Rolf Schimmrigk)는 4차원 끈 이론 축소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가중 사영 공간 속의 3차원 칼라비-야우 다양체들을 컴퓨터를 사용하여 모두 계산하였는데, 이 경우 오일러 수 와 초다중항 수 를 그래프로 표시하였더니 그 그래프가 오일러 수의 부호 에 대하여 거의 대칭이 되는 기적적인 현상을 발견하였다.[26] 거의 동시에, 이와 독자적으로 브라이언 그린 · 로넨 플레세르(히브리어: מ. רוֹנֶן פְלֶסֶר)[27]와 폴 스티븐 애스핀월(영어: Paul Stephen Aspinwall) · 카르스텐 안드레브 뤼트켄(노르웨이어: Carsten Andrew Lütken) · 그레이엄 갈런드 로스(영어: Graham Garland Ross)[28] 등은 거울 대칭이 되는 칼라비-야우 다양체의 쌍을 발견하였다.[29][30]
1994년에 막심 콘체비치는 거울 대칭의 일부분을 수학적으로 공리화한 호몰로지 거울 대칭을 제안하였다.[20] 이후 1996년에 앤드루 스트로민저와 야우싱퉁, 에릭 재슬로(Eric Zaslow)가 거울 대칭을 T-이중성의 특별한 경우로 해석하였다.[31]
각주
편집- ↑ 남순건 (2001년 11월). “끈으로 본 시공간” (PDF). 《물리학과 첨단기술》 10 (11): 29–34. ISSN 1225-2336. 2019년 7월 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7월 6일에 확인함.
- ↑ 김범식 (2010년 4월 1일). “거울대칭, 그리고 곡선 세기” (PDF). 《과학의 지평》 42: 4–10.
- ↑ 조철현 (2010년 4월 1일). “호몰로지 거울대칭 가설(HMS)이란 무엇인가” (PDF). 《과학의 지평》 42: 11–17. 2019년 7월 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7월 6일에 확인함.
- ↑ 가 나 Hori, Kentaro; Katz, Sheldon; Klemm, Albrecht; Pandharipande, Rahul; Thomas, Richard; Vafa, Cumrun; Vakil, Ravi; Zaslow, Eric (2003). 《Mirror Symmetry》 (PDF). Clay Mathematical Monographs 1.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Clay Mathematical Institute. ISBN 0-8218-2955-6. MR 2003030. Zbl 1044.14018.
- ↑ Douglas, Michael R.; Gross, Mark; Aspinwall, Paul S.; Bridgeland, Tom; Craw, Alastair; Kapustin, Anton; Moore, Gregory W.; Segal, Graeme; Szendröi, Balázs; Wilson, P.M.H. (2009). 《Dirichlet Branes and Mirror Symmetry》. Clay Mathematical Monographs 4.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Clay Mathematical Institute. ISBN 0-8218-3848-2. Zbl 1188.14026. 2013년 10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2월 5일에 확인함.
- ↑ 가 나 Becker, Katrin; Becker, Melanie; Schwarz, John H. (2006년 12월). 《String Theory and M-Theory: A Modern Introduction》 (영어). Cambridge University Press. Bibcode:2007stmt.book.....B. doi:10.2277/0511254865. ISBN 978-0511254864. 2015년 1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9월 1일에 확인함.
- ↑ Berglund, Per; Katz, Sheldon (1994). “Mirror symmetry constructions: a review”. arXiv:hep-th/9406008. Bibcode:1994hep.th....6008B.
- ↑ Rickles, Dean (2013년 1월 1일). “Mirror symmetry and other miracles in superstring theory”. 《Foundations of Physics》 43 (1): 54-80. arXiv:1004.4491. Bibcode:2013FoPh...43...54R. doi:10.1007/s10701-010-9504-5.
- ↑ Hosono, S.; Klemm, A.; Theisen, S. (1994). 〈Lectures on mirror symmetry〉. 《Integrable models and strings: Proceedings of the 3rd Baltic Rim Student Seminar Held at Helsinki, Finland, 13–17 September 1993》. Lecture Notes in Physics 436. Springer-Verlag. 235–280쪽. arXiv:hep-th/9403096. Bibcode:1994LNP...436..235H. doi:10.1007/3-540-58453-6_13. ISBN 978-3-540-58453-7.
- ↑ Lerche, Wolfgang (2003). “Special geometry and mirror symmetry for open string backgrounds with N=1 supersymmetry”. arXiv:hep-th/0312326. Bibcode:2003hep.th...12326L.
- ↑ Voisin, Claire (1996). 《Mirror Symmetry》. SMF/AMS Texts and Monographs 1. Roger Cooke 역.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Société Mathématique de France.
- ↑ Hori, Kentaro; Vafa, Cumrun (2000년 2월). “Mirror Symmetry” (영어). arXiv:hep-th/0002222. Bibcode:2000hep.th....2222H.
- ↑ Witten, Edward. “Mirror manifolds and topological field theory” (영어). arXiv:hep-th/9112056. Bibcode:1991hep.th...12056W.
- ↑ Gross, Mark. “The Strominger–Yau–Zaslow conjecture: From torus fibrations to degenerations” (영어). arXiv:0802.3407. Bibcode:2008arXiv0802.3407G. doi:10.1090/pspum/080.1/2483935.
- ↑ Gross, Mark. “Mirror symmetry and the Strominger–Yau–Zaslow conjecture” (영어). arXiv:1212.4220. Bibcode:2012arXiv1212.4220G.
- ↑ Thomas, R. P. (2006). 〈Mirror symmetry: a geometric survey〉. 《Encyclopaedia of Mathematical Physics》 (영어). Elsevier. 439–448쪽. arXiv:math/0512412. Bibcode:2005math.....12412T. doi:10.1016/B0-12-512666-2/00037-7. ISBN 978-0-12-512666-3.
- ↑ 가 나 Yau, Shing-Tung (2009). “Calabi-Yau manifold”. 《Scholarpedia》 (영어) 4 (8): 6524. doi:10.4249/scholarpedia.6524. ISSN 1941-6016. MR 2537089.
- ↑ Gross, Mark; Huybrechts, Daniel; Joyce, Dominic (2003). 《Calabi-Yau Manifolds and Related Geometries: Lectures at a Summer School in Nordfjordeid, Norway, June 2001》 (영어). Universitext. Berlin: Springer. doi:10.1007/978-3-642-19004-9. ISBN 978-3-540-44059-8. ISSN 0172-5939. MR 1963559. Zbl 1001.00028.
- ↑ Joyce, Dominic (2003). “Singularities of special Lagrangian fibrations and the SYZ Conjecture”. 《Communications in Analysis and Geometry》 (영어) 11 (5): 859–907. arXiv:math/0011179. Bibcode:2000math.....11179J. ISSN 1019-8385. MR 2032503.[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가 나 Kontsevich, Maxim (1995). 〈Homological Algebra of Mirror Symmetry〉.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gress of mathematicians, ICM '94, August 3-11, 1994, Zürich, Switzerland. Volume 1》. Basel: Birkhäuser. 120–139쪽. arXiv:alg-geom/9411018. Bibcode:1994alg.geom.11018K. ISBN 3-7643-5153-5. Zbl 0846.53021.
- ↑ Kontsevich, Maxim; Soibelman, Yan (2001년 11월). 〈Homological mirror symmetry and torus fibrations〉. 《Symplectic Geometry And Mirror Symmetry: Proceedings of the 4th KIAS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Seoul, South Korea, 14 – 18 August 2000》. World Scientific. 203–263쪽. arXiv:math/0011041. Bibcode:2000math.....11041K. doi:10.1142/9789812799821_0007. ISBN 978-981-02-4714-0. Zbl 1072.14046.
- ↑ Polishchuk, Alexander; Zaslow, Eric. “Categorical mirror symmetry: the elliptic curve” (영어). arXiv:math/9801119. Bibcode:1998math......1119P.
- ↑ Seidel, Paul (2003년 10월). “Homological mirror symmetry for the quartic surface” (영어). arXiv:math/0310414. Bibcode:2003math.....10414S.
- ↑ Sharpe, Eric. “Lectures on D-branes and sheaves” (영어). arXiv:hep-th/0307245.
- ↑ Aspinwall, Paul. “D-Branes on Calabi-Yau Manifolds” (영어). arXiv:hep-th/0403166. Bibcode:2004hep.th....3166A.
- ↑ Candelas, Philip; Lynker, Monika; Schimmrigk, Rolf (1990). “Calabi–Yau manifolds in weighted ℙ₄”. Nuclear Physics B (영어) 341 (2): 383–402. doi:10.1016/0550-3213(90)90185-g.
- ↑ Greene, Brian Randolph; Plesser, M. Ronen (1990년 7월 2일). “Duality in Calabi-Yau moduli space”. 《Nuclear Physics B》 (영어) 338 (1): 15-37. doi:10.1016/0550-3213(90)90622-K.
- ↑ Aspinwall, Paul Stephen; Lütken, Carsten Andrew; Ross, Graham Garland (1990). “Construction and couplings of mirror manifolds”. 《Physics Letters B》 (영어) 241 (3): 373–380. doi:10.1016/0370-2693(90)91659-y.
- ↑ Candelas, Philip; de la Ossa, Xenia C.; Green, Paul S.; Parkes, Linda (1991년 4월 4일). “An exactly soluble superconformal theory from a mirror pair of Calabi-Yau manifolds”. 《Physics Letters B》 (영어) 258 (1–2): 118–126. Bibcode:1991PhLB..258..118C. doi:10.1016/0370-2693(91)91218-K.
- ↑ Candelas, Philip; de la Ossa, Xenia C.; Green, Paul S.; Parkes, Linda (1991년 7월 29일). “A pair of Calabi-Yau manifolds as an exactly soluble superconformal theory”. 《Nuclear Physics B》 359 (1): 21–74. Bibcode:1991NuPhB.359...21C. doi:10.1016/0550-3213(91)90292-6.
- ↑ Strominger, Andrew; Yau, Shing-Tung; Zaslow, Eric (1996년 11월 11일). “Mirror symmetry is T-duality”. 《Nuclear Physics B》 (영어) 479 (1–2): 243–259. arXiv:hep-th/9606040. Bibcode:1996NuPhB.479..243S. doi:10.1016/0550-3213(96)00434-8. Zbl 0896.14024.
- ↑ Brumfiel, Geoff (2012년 7월 31일). “Theoretical physicists win massive awards”. 《Nature》. doi:10.1038/nature.2012.11094.
외부 링크
편집- Tong, David (2007년 2월 19일). “Quantum geometry: What the string saw” (PDF).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 강의 슬라이드)
- “Mirror symmetry”. 《nLab》 (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