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익희

조선 효종 시대의 문신

김익희(한국 한자: 金益熙, 1610년 3월 29일[4][5]~1656년 5월 1일[6][7])는 형조판서 등을 지낸 조선 효종 시대의 문신이었다.

김익희
金益熙
김익희의 묘(대전 유성구 가정동 소재)
김익희의 묘(대전 유성구 가정동 소재)
조선형조판서
재임 1655년 장월 하순~1656년 여월 하순
임금 효종 이호
이름
중문(仲文)
창주(滄洲)
시호 문정(文貞)
신상정보
출생일 1610년 3월 29일(1610-03-29)[1][2]
출생지 조선 충청도 논산군
거주지 조선 한성부
사망일 1656년 5월 1일(1656-05-01)(46세)[3]
사망지 조선 한성부에서 병사
국적 조선
경력 승정원 승지
승정원 동부승지
승정원 우부승지
이조판서
홍문관 대제학
성균관 대사성
당파 무소속
부모 김반(부)
안동 김씨 부인(모)
연산 서씨 부인(계모)
형제자매 김익겸(이복 적출 아우)
김익훈(이복 서얼 아우)
김익경(이복 서얼 아우)
배우자 한산 이씨 부인
자녀 4남(그 중 장남 김만균)
친인척 김장생(친조부)
창녕 조씨 부인(친조모)
순천 김씨 부인(계조모)
김진려(외조부)
서주(계외조부)
이덕수(빙부)
심익성(손녀사위)
김만기(배다른 조카)
김만중(배다른 조카)
김만채(배다른 조카)
김만길(배다른 조카)
김집(동복 둘째 큰아버지)
김진구(조카손자)
김진규(조카손자)
인경왕후(조카손녀)
숙종 이돈(조카손녀사위)
이일상(사돈댁)
인조 이종(사돈댁)
효종 이호(사돈댁)
현종 이연(사돈댁)
묘소 김익희 묘(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동 소재)
학문 활동
분야 유교 성리학

승정원 승지·성균관 대사성·형조판서 등을 지낸 그의 본관광산(光山)이고 강원도 철원부사 등을 지낸 사계 김장생(金長生)의 손자이며, 이조참판 등을 지낸 사일 김반(金槃)의 차남이고, 병자호란청나라 군사에 맞서 결사항전(決死抗戰)을 결행(決行)한 정치 사회 운동여남 김익겸(金益兼)의 둘째 형이기도 하다.

1656년 5월 1일(향년 47세)에 하세한 그는, 1627년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며, 1633년 증광문과병과 급제하는 등 이렇게 그는 인조문과에 급제하여 사헌부 검열, 사헌부 봉교, 홍문관 사서, 홍문관 부수찬, 홍문관 부수찬, 사간원 정언, 성균관 시독관, 사헌부 헌납, 사헌부 부교리, 승정원 교리, 이조좌랑, 승정원 사간, 홍문관 부응교, 예문관 집의, 예문관 응교 등을 했고 사간원 도청 등과 사간원 문사낭청 등도 했다. 그 이후 당상관 등으로 승진하여 선혜청 당상, 승정원 동부승지, 승정원 우부승지, 사간원 대사간 등으로 명성을 날렸으며, 그 이후 예문관 참찬관 등과 예문관 지제교 등을 겸했고, 예문관 지제교 시절에 인조 임금의 붕어(서거)를 목도하였으며, 효종 임금 때 홍문관 교명문 제술관 등을 역임하다가 홍문관 부제학, 이조참의, 사간원 대사간, 승정원 도승지, 성균관 대사성, 사헌부 대사헌을 두루 역임했는데 그러던 그 와중에는, 성균관 동지경연사 등과 사헌부 참찬관 등을 지냈고, 이후 홍문관 대제학 등에 올랐으며, 이조판서형조판서를 역임했다.

1656년 5월 1일 향년 47세로 하세했으며, 그로부터 한달후 1656년 6월 5일 둘째 큰아버지 김집(金集)도 향년 83세로 하세했다.

가족 및 친인척 관계

편집

관련 등장 대중문화 작품

편집

영화

편집
  • 1966년 《민며느리》의 김삼룡 - (배우: 장원배) ... 김익희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
  • 2022년 《올빼미》의 김익희[8] - (배우: 이지호)

같이 보기

편집
  • 김익희의 묘
  • 김집(金集, 1574년 7월 4일(1574-07-04)~1656년 6월 5일(1656-06-05), 둘째 큰아버지, 1656년 5월 1일(1656-05-01) 조카 김익희(金益熙)가 둘째 큰아버지 김집(1656년 6월 5일(1656-06-05)[9] 하세.)보다는 한달 먼저 하세.)

각주

편집
  1. 음력 1610년 3월 5일
  2. 1610년 음력 3월 5일
  3. 1656년 음력 4월 8일(향년 만46세)
  4. 음력 1610년 3월 5일
  5. 1610년 음력 3월 5일
  6. 음력 1656년 4월 8일
  7. 1656년 음력 4월 8일
  8. 김상헌·김신국·최명길·송준길 등과 같이 함께 아울러 토론과 논의 및 논박 등을 담론하는 1644년 당시의 조선 인조 시대의 말기의 5대신(五對臣)의 구성원 가운데 일원.
  9. 1656년 윤 음력 5월 13일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