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산역
당산역(Dangsan station, 堂山驛)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동6가에 있는 서울 지하철 2호선과 서울 지하철 9호선의 환승역이다. 서울 지하철 2호선은 이 역에만 지상 구간이다. 서울 지하철 9호선은 샛강 하저터널로 국회의사당역과 연결된다.
당산
| |
---|---|
역명판(서울남산체 역명판 교체전) | |
승강장 | |
![]() | |
개괄 | |
관할 기관 | 서울교통공사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로 229 |
좌표 | 북위 37° 32′ 04″ 동경 126° 54′ 08″ / 북위 37.53444° 동경 126.90222° |
개업일 | 1984년 5월 22일 |
역 번호 | 237 |
승강장수 | 2면 2선(상대식) |
거리표 | |
● 서울 지하철 2호선 | |
시청 기점 40.8 km | |
|
당산
| |
---|---|
![]() 역명판 | |
![]() 승강장 | |
![]() | |
개괄 | |
관할 기관 | 서울시메트로9호선[1] 서울9호선운영[2]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평로 지하40 |
좌표 | 북위 37° 32′ 01.9″ 동경 126° 54′ 6.9″ / 북위 37.533861° 동경 126.901917° |
개업일 | 2009년 7월 24일 |
역 번호 | 913 |
승강장수 | 1면 2선(섬식) |
거리표 | |
● 서울 지하철 9호선 | |
개화 기점 14.5 km | |
|
역사 편집
- 1983년 6월 30일 : 당산역으로 역명 결정[3]
- 1984년 5월 22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대입구 ~ 을지로입구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 1996년 12월 31일 : 당산철교 재시공과 함께 임시 시·종착역이 됨, 회차선 설치
- 1999년 11월 16일 : 당산철교 재시공 완료로 회차선 철거
- 1999년 11월 22일 : 당산철교 재개통으로 다시 중간역이 됨, 당산역 - 합정역 구간 운행 재개
- 2008년 9월 18일 : 서울 지하철 9호선 역명을 당산역으로 결정[4]
- 2009년 7월 24일 :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화 ~ 신논현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됨
- 2009년 11월 20일 : 당산철교변에 선유도공원으로 직결되는 보행 육교 설치가 됨
역 구조 편집
서울 지하철 2호선은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 서울 지하철 9호선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두 노선 승강장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2호선 승강장 편집
영등포구청 ↑ |
내 | | 외 |
↓ 합정 |
내선 순환 | ● 서울 지하철 2호선 | 합정 · 홍대입구 · 신촌 · 시청 방면 |
---|---|---|
외선 순환 | 영등포구청 · 신도림 · 사당 · 강남 방면 |
9호선 승강장 편집
선유도 ↑ |
| 상 하 | |
↓ 국회의사당 |
하행 | ● 서울 지하철 9호선 | 염창 · 가양 · 마곡나루 · 김포공항 · 개화 방면 (일반, 급행) |
---|---|---|
상행 | 여의도 · 신논현 · 종합운동장 · 중앙보훈병원 방면 (일반, 급행) |
역 주변 편집
2호선 당산역 충돌 사고 편집
당산철교 재시공에 따라 당산역이 임시 종착역 기능을 수행했던 시기인 1999년 4월 22일, 3호선에서 이적한 광폭형 GEC 초퍼 전동차 278편성(열차번호 2226호)이 당산역에 정차하지 못하고 승강장 끝 차단막과 충돌하는 오버런 사고가 발생해 열차가 추락할 뻔했던 사고이다. 당시 서울지하철공사의 노조 파업 때문에 대체 근무자를 투입했는데, 해당 열차의 기관사가 대체 근무 중 피로가 누적되어 졸음운전을 했던 것이 원인으로 밝혀졌다. 이 사고로 열차가 파손됐으며, 승객 3명이 부상을 입었다.[5]
환승 통로 편집
2호선은 지상에, 9호선은 지하 깊은 곳에 있어서 환승통로에 있는 에스컬레이터의 길이가 48m로 매우 길다.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이 개통하기 전에는 이 역의 환승통로 에스컬레이터가 전국 도시철도 역들 중 가장 길었으나,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청라언덕역이 개통하면서 순위가 바뀌었다. 청라언덕역 환승통로에 이 역보다 더 긴 57m짜리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었다. (청라언덕역이 1위, 당산역이 2위)
사진 편집
이용객 변동 편집
9호선의 2009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9년 7월 24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161일치만이 반영된 것이다.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2호선 | 승차 | 33,445 | 36,672 | 38,500 | 36,942 | 37,766 | 38,943 | 38,821 | 39,039 | 39,181 | 35,701 | [6] |
하차 | 31,798 | 34,692 | 36,619 | 35,195 | 35,244 | 36,036 | 36,515 | 36,851 | 37,150 | 35,029 | ||
승하차 | 65,243 | 71,364 | 75,119 | 72,137 | 73,009 | 74,979 | 75,336 | 75,890 | 76,330 | 70,731 | ||
9호선 | 승차 | 미개통 | 27,846 | [7] | ||||||||
하차 | 27,570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2호선 | 승차 | 26,725 | 27,212 | 25,324 | 24,247 | 24,244 | 23,016 | 21,834 | 21,355 | 21,338 | ||
하차 | 27,738 | 28,405 | 26,783 | 26,100 | 26,130 | 25,282 | 24,564 | 24,081 | 23,878 | |||
승하차 | 54,463 | 55,617 | 52,107 | 50,347 | 50,374 | 48,298 | 46,398 | 45,436 | 45,216 | |||
9호선 | 승차 | 34,110 | 36,836 | 41,114 | 44,994 | 47,379 | 47,878 | 48,715 | 49,476 | 50,245 | ||
하차 | 35,033 | 37,492 | 41,677 | 45,846 | 48,314 | 49,300 | 50,366 | 51,080 | 51,830 |
인접한 역 편집
서울 지하철 2호선 을지로순환선 | ||
---|---|---|
236 영등포구청 외선 순환 |
● 서울 지하철 2호선 | 238 합정 내선 순환 |
서울 지하철 9호선 | ||
910 염창 김포공항 방면 |
● 서울 지하철 9호선 급행 |
915 여의도 중앙보훈병원 방면 |
912 선유도 개화 방면 |
● 서울 지하철 9호선 일반 |
914 국회의사당 중앙보훈병원 방면 |
각주 편집
- ↑ 건설/관리 및 열차 운행 업무
- ↑ 역무 관리 및 선로 유지보수운영 업무
- ↑ 서울특별시고시 제326호 , 1983년 6월 30일.
- ↑ 서울특별시고시 제2008-317호 , 2008년 9월 18일.
- ↑ [서울지하철파업]2호선 전동차, 끊어진 당산철교로 돌진[문호철], MBC, 1999년 4월 22일 방송.
- ↑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 ↑ “서울시메트로9호선 > 알림/소식 > 자료실”. 2016년 10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9월 2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