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림역
신도림역(Sindorim station, 新道林驛)은 서울특별시 구로구 신도림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정지선의 환승역이다. 서울 지하철 2호선 본선은 심야에 2편성이 주박한다. 서울 지하철 2호선 본선은 도림천 하저터널로 문래역과 연결된다. 서울 지하철 2호선 본선은 이 역부터 영등포구청역까지 지하 구간이다.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정지선은 이 역부터 까치산역까지 모두 지하 구간이다.
신도림
| |
---|---|
역명판 | |
승강장 | |
개괄 | |
관할 기관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광역본부 영등포관리역 |
소재지 | 서울특별시 구로구 경인로 688 |
개업일 | 1984년 5월 22일 |
역 번호 | 140 |
종별 | 배치간이역 |
등급 | 3급 |
역 코드 | 010106 발매기 코드 : 823 수도권 전철 AFC : 1007 |
승강장수 | 3면 4선 |
거리표 | |
경부선 | |
서울 기점 10.6km[1] | |
|
신도림
| |
---|---|
2호선 본선 승강장 | |
신정지선 승강장 | |
![]() | |
개괄 | |
관할 기관 | 서울교통공사 |
소재지 | 서울특별시 구로구 새말로 117-21 |
좌표 | 북위 37° 30′ 31.56″ 동경 126° 53′ 27.51″ / 북위 37.5087667° 동경 126.8909750° |
개업일 | 1984년 5월 22일 |
역 번호 | 234 |
승강장수 | 3면 4선(쌍상대식) |
거리표 | |
서울 지하철 2호선 | |
시청 기점 37.6 km | |
| |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정지선 | |
신도림 기점 0.0 km | |
| |
|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지하철·전철역 중에서 이용률 1위를 기록하고 있는 역으로, 하루 평균 환승객 수는 약 31만 명이고[2][3][4], 승·하차 인원 수인 약 17만 명까지 포함하면 하루 평균 이용객 수는 약 50만 명에 이른다.[5][6]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경우 영등포역 방향에서 경부선과 경인선의 환승역인 구로역 방향으로 갈 경우 이 역에서는 경부선 방향과 경인선 방향 열차가 승강장을 공유하지만, 구로역에서는 승강장이 분리되기 때문에 사전 환승역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혼잡도가 높은 역임에도 불구하고 2013년까지는 출구가 서울 지하철 2호선 역의 2개 뿐이었으나, 이듬해인 2014년 1개의 출구가 증설되었고, 이어 2015년 5월에 1호선 측 역사가 준공되면서 3개의 출구가 증설되어 총 6개가 되었다.
역사편집
- 1983년 6월 30일 : 문래역(文來驛)으로 역명 결정[7]
- 1983년 10월 17일 : 신도림역으로 역명 변경[8]
- 1984년 5월 22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대입구 ~ 을지로입구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1호선과의 환승을 위해 1호선 상에도 역 설치[9]
- 1992년 5월 22일 : 2호선 신정지선 개통
- 1995년 5월 22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상의 역이 5급역으로 승격[10]
- 2006년 5월 : 2호선 본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 설치
- 2010년 : 1호선 신도림역 완행 승강장에 스크린도어 설치
- 2011년 12월 : 2호선 신정지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 설치
- 2012년 1월 : 2호선 출고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 설치
- 2013년 2월 16일 ~ 2014년 1월 31일 : 1호선 신도림역 지하 계단 폐쇄, 가설 육교 설치[11]
- 2015년 상반기 : 1호선 신도림역 가설 육교 폐쇄
- 2015년 5월 23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신도림역 선상역사 준공[12]
- 2017년 5월 1일 : ITX-청춘 (용산-대전간) 급행승강장 정차
- 2017년 7월 7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인선 구간 특급 운행 개시
- 2018년 3월 23일 : 경부선 ITX-청춘 폐지
- 2018년 신도림역 급행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 2027년말: GTX-B노선 준공예정
역 구조편집
두 노선 모두 쌍상대식 승강장이며 한국철도공사의 역은 지상 1층에, 서울교통공사의 역은 지하 2층에 있다. 역이 신설된 1984년부터 약 30년간 한국철도공사 측의 역무시설은 존재하지 않았고 모든 출입구를 서울메트로에서 관할하였으나, 2009년부터 추진된 수도권 전철 1호선 전용 역사가[13] 2015년 5월 준공되면서 경부선이나 경인선을 이용하기 위하여 반드시 지하철 2호선을 경유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되었다. 출구는 서울교통공사와 한국철도공사 쪽에 각 3개씩 총 6개가 있으며, 지하 1층 서울교통공사 역사를 통해 신도림 테크노마트 및 디큐브시티와 연결되어 있다.
1호선 승강장편집
3면 4선의 승강장이다. 과거 쌍섬식 승강장(2면 4선)이었으나, 이용 승객이 많아 혼잡도를 줄이기 위하여 상행 완행 전용(1번) 승강장을 새로 신설하여 지금의 형태가 되었는데,[14][15] 이 승강장은 영등포역 방향에 있었던 석탄공장 전용선 때문에 다른 승강장보다 약간 구로역 방향으로 밀려나서 건설되었다. 해당 전용선은 2010년대에 철거되었다. 2, 3, 4번 영등포역 방향 승강장의 일부는 과거에 사용하다가 혼잡 완화를 위한 역 구조 개선 공사 이후에는 사용하지 않았다. 현재 3-4번 승강장에도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가동 중이다.
↑ 영등포 |
1 | 2 | | 34 | | | |
구로 ↓ |
1 | ● 수도권 전철 1호선 | 영등포 · 대방 · 용산 · 광운대 · 소요산 방면 (일반, 급행) |
---|---|---|
2 | 구로 · 인천 · 서동탄 · 천안 · 신창 방면 (일반, 급행) | |
3 | 영등포 · 대방 · 노량진 · 용산 방면 (급행•특급•완행) | |
4 | 구로 · 부천 · 부평 · 동인천 (급행•특급) · 광명 (완행) 방면 |
2호선 승강장편집
3면 4선의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다. 국내 유일의 쌍상대식 지하 역사로, 승강장은 지하 2층에 있으며, 신정지선 승강장은 다른 승강장에 비해 약간 낮은 곳에 있다. 지하 1층이나 지하 3층의 통로를 통하여 승강장 사이를 건너갈 수 있다. 신정차량사업소가 있기 때문에 신도림역에서는 종착뿐만 아니라 출발도 한다. 신도림역 종착 열차는 성수역 종착 열차에 비해서 많다. 본선은 주로 1번과 2번 승강장을 쓰며 스크린도어도 본선에 우선 설치되었고, 성수역과는 달리 3번(신정지선)과 4번(입·출고선/당역 종착)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았으나, 혼잡으로 인한 사고가 우려되어 출고선/당역 종착 승강장과 신정지선 승강장 역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
신도림역에서 운행을 마치고 종착하는 열차는 3번(신정지선)·4번(입·출고선/당역 종착) 승강장을 통하여 신정차량사업소로 입고한다.
지하 1층 | 맞이방 · 1호선 환승 통로 | |
---|---|---|
지하 2층 | 3 | |
● 신정지선 | ← 도림천 · 까치산 방면 | |
● 서울 지하철 2호선 내선순환 | ← 문래 · 시청 방면 | |
1 | 왼쪽 문 열림 | |
2 | 왼쪽 문 열림 | |
● 서울 지하철 2호선 외선순환 | 대림 · 강남 방면 → | |
● 서울 지하철 2호선 외선순환 | 대림 방면 (신도림 출발) → | |
4 | 오른쪽 문 열림 | |
지하 3층 | 환승 통로 |
- 4번 승강장
이 승강장은 외선 방향 승강장과 마주보고 있고, 신정지선을 통하여 신정차량사업소와 연결되어 있다. 과거 신정차량사업소로 입·출고하는 열차들이 통과하는 용도로만 사용되었으나, 2호선 본선 중 외선(강남 방향) 승강장의 혼잡도를 줄이기 위하여 2008년 1월 2일부터 평일 출근 시간대(07:34~08:23)에만 신정차량사업소에서 대림역 방향으로 출고하는 차량들은 4번 승강장에서 여객을 취급하고, 그 외의 시간대에는 폐쇄하였다. 토요일과 일요일, 공휴일은 이전처럼 본선 2번 승강장에서 신정차량사업소 출고 차량을 취급하였다. 4번 승강장은 여객 취급을 거의 하지 않기 때문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았으며, 기관사들이 수동으로 정차시켰다. 현재는 아침 시간대 신도림발 외선순환 출고열차만 4번 승강장에서 출발하며, 스크린도어도 설치되었다. 그 외 시간대는 외선방면 신도림행 종착열차가 해당 승강장에서 운행을 마치고 신정차량사업소로 입고되며, 외선 출고 차량은 2번 승강장에서 출발한다. 내선 출고 차량은 이 승강장을 통과하여 회차선으로 주박하였다가 1번 승강장에서 출발한다.
주변편집
- 신도림현대아파트
- 경인로
- 신도림중학교
- 신도림테크노마트
- 씨네Q
- 이마트 신도림점
- 홈플러스 신도림점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서울제2지역대학
- 신도림 디큐브시티(현재:현대백화점 디큐브시티점)
- 나이스 게임 TV
대중 문화편집
사진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전)
이용객 변동편집
1호선의 2004년 자료는 정확히 나온 자료가 없다.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1호선 | 승차 | 20,473 | 15,444 | 12,876 | 13,959 | 미상 | 11,898 | 13,607 | 14,407 | 17,039 | 18,020 | [17] | ||
하차 | 4,552 | 4,602 | 4,353 | 10,431 | 미상 | 10,926 | 12,683 | 13,486 | 16,413 | 17,641 | ||||
2호선 | 승차 | 38,364 | 39,402 | 38,745 | 37,900 | 39,023 | 40,472 | 40,736 | 42,585 | 49,201 | 52,590 | [18] | ||
하차 | 35,811 | 36,198 | 35,817 | 34,367 | 34,907 | 36,629 | 37,956 | 39,459 | 46,937 | 51,340 | ||||
승하차 | 74,174 | 75,600 | 74,562 | 72,267 | 73,930 | 77,101 | 78,692 | 82,044 | 96,138 | 103,930 | ||||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1호선 | 승차 | 18,821 | 20,523 | 21,697 | 21,612 | 21,831 | 20,780 | 21,174 | 20,906 | 20,565 | 20,607 | 14,434 | 14,316 | [17] |
하차 | 18,533 | 20,407 | 21,658 | 21,605 | 21,931 | 20,707 | 21,179 | 20,929 | 20,533 | 20,591 | 14,364 | 14,191 | ||
2호선 | 승차 | 54,335 | 58,966 | 63,009 | 65,384 | 67,774 | 65,434 | 63,111 | 61,142 | 59,880 | [18] | |||
하차 | 53,432 | 58,459 | 62,661 | 65,004 | 67,582 | 65,243 | 62,967 | 61,127 | 59,534 | |||||
승하차 | 107,767 | 117,425 | 125,670 | 130,388 | 135,356 | 130,677 | 126,078 | 122,269 | 119,414 |
인접한 역편집
경부선 | ||
---|---|---|
139 영등포 소요산 방면 광운대 방면 용산 방면 청량리 방면 영등포 방면 |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경인선 완행 · 경원선 급행 경부선 완행 경인선 급행 경부선 급행 A 광명셔틀 |
141 구로 인천 방면 서동탄 · 신창 방면 동인천 방면 신창 방면 광명 방면 |
136 노량진 용산 방면 |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인선 특급 |
141 구로 동인천 방면 |
서울 지하철 2호선 을지로순환선 | ||
233 대림 외선 순환 |
● 서울 지하철 2호선 |
235 문래 내선 순환 |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정지선 | ||
시·종착역 | ●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정지선 |
234-1 도림천 까치산 방면 |
각주편집
- ↑ 소요산 기점 61.2km
- ↑ 승·하차 인원이 많은 강남역의 약 1.7배의 수준이다.
- ↑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5&aid=0000872032
- ↑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5&aid=0003550549
- ↑ http://m.asiatoday.co.kr/kn/view.php?r=articles/20150607010004273
- ↑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6&aid=0000609695
- ↑ 서울특별시고시 제326호 , 1983년 6월 30일.
- ↑ 서울특별시고시 제541호, 1983년 10월 17일.
- ↑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23호 (1984년 5월 25일)
- ↑ 대한민국관보 서울지방철도청 공고 제1995-103호 (1995년 7월 25일)
- ↑ 1호선 신도림역 모든 승강장의 지하 계단이 동시에 폐쇄되지는 않았고, 각 승강장이 교대로 폐쇄되었다.
- ↑ 대보실업, 신도림역 선상 역사 23일 개통, 《매일경제》, 2015.05.21.
- ↑ 서울 신도림역 선상역사 조감도, 《연합뉴스》, 2009.09.16.
- ↑ 신도림역 철도역
- ↑ 지하철 신도림역 승강장 증설, 《연합뉴스》, 1996.04.19.
- ↑ '신도림역 스트립쇼' 실천하는 개그, 《오마이뉴스》, 2006.11.23.
- ↑ 가 나 코레일 > 사업분야 > 광역철도사업 > 수송통계 > 자료실
- ↑ 가 나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