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화군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봉화군(奉化郡)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북부에 있는 으로, 군청 소재지는 봉화읍이고, 행정구역은 1읍 9면이다.

봉화군
청량산

봉화군의 위치
봉화군의 위치
행정
국가대한민국
행정 구역1개 , 9개
청사 소재지봉화읍 봉화로 1111 (내성리 537)
단체장박현국(국민의힘)
국회의원박형수(국민의힘, 영주시·영양군·봉화군·울진군)
지리
면적1,200.99km2
인문
인구30,762명 (2021[1]년)
세대16,882세대 (2021[2]년)
상징
나무춘양목
산목련
산까치
지역 부호
웹사이트http://www.bonghwa.go.kr/

영화워낭소리》의 무대이기도 하며, 특산물로 봉화 송이가 유명하다.

역사 편집

도령 제2호
도령 제2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봉화군 춘양면(春陽面) 현동/죽기리/황기리/보로리 일부/(상동면)애당리 일부, 서리/거곡리/상촌리 일부/(와단면)운곡리 일부, 두내리/서벽리 일부/보로리 일부, 현동리/남산리 일부/상촌리 일부/(와단면)소로리 일부/운곡리 일부/한수리 일부, 조항리 춘양면 도심리, 서동리, 서벽리, 의양리, 학산리
봉화군 상동면(上東面) 덕구리, 석현리 일부/(춘양면)상촌리 일부, 애당리 일부/석현리 일부, 우구치리/(춘양면)서벽리 일부, 천평리/애당리 일부/(춘양면)서벽리 일부 덕구리, 석현리, 애당리, 우구치리, 천평리
봉화군 와단면(臥丹面) 장동/한수리 일부/소로리 일부/관무리 일부/(춘양면)남산리 일부/(중춘양면)소천리 일부, 법전리/사동/부둔리 일부/(중춘양면)척곡리 일부/풍정리 일부, 전교리/고로동/소지동/(중춘양면)삼의리 일부 법전면 소로리, 법전리, 소지리
봉화군 중춘양면(中春陽面) 눌산리 일부/매산리 일부/어지리 일부/(동면)삼동 일부, 소천리 일부/눌산리 일부/(와단면)관무리 일부, 어지리 일부/소천리 일부/매산리 일부, 척곡리 일부/삼의리 일부/(동면)수동 일부, 풍정리 일부/내을리 일부/(와단면)부둔리 일부 눌산리, 소천리, 어지리, 척곡리, 풍정리
봉화군 군내면(郡內面) 군내리/원둔리 일부/외삼리 일부, 외삼리 일부/(북면)세암리 일부, 원둔리 일부/(서면)문촌리 일부 봉성면 봉성리, 외삼리, 원둔리
봉화군 북면(北面) 금봉리/신기리 일부/세암리 일부/(내성면)탑평리 일부, 와단리/두동리/신기리 일부, 우곡리/진곡리, 창평리/세암리 일부/신기리 일부/(군내면)외삼리 일부/(서면)하눌리 일부 금봉리, 동양리, 우곡리, 창평리
봉화군 상남면(下南面) 고감리/고리내리 일부/여포리 일부, 고계리/운산리 일부, 운산리 일부/(재산면)서남면리 일부/(하남면)북곡리 일부, 비진리/여포리 일부 명호면 고감리, 고계리, 북곡리, 풍호리
봉화군 하남면(下南面) 신라리/탄당리/걸탄리, 갈동/관창리/(안동군 의동면)황석동 신라리, 관창리
봉화군 동면(東面) 포라리/구문리/쌍현리 일부/영동 일부/소천리 일부/(중춘양면)내을리 일부/(상남면)금포리 일부, 삼동 일부/소천리 일부, 양곡리/쌍현리 일부/(상남면)고리내리 일부 도천리, 삼동리, 양곡리
봉화군 서면(西面) 후평리 일부/익곡리 일부/운곡리 일부/가곡리 일부/반송리 일부/북평리 일부/(내성면)입석리 일부, 문촌리 일부/심곡리 일부/(임지면)상토리 일부, 운계리 일부/괘성리 일부/심곡리 일부/익곡리 일부, 산정리/북평리 일부/하눌리 일부/후평리 일부/(군내면)외삼리 일부 상운면 가곡리, 문촌리, 운계리, 하눌리
봉화군 임지면(林只面) 창팔리/익곡리 일부/구천리 일부/사촌리 일부/설매리 일부/(예안군 북면)원천동 일부, 내림리/상외리/중외리 일부, 하외리/두월리/중외리 일부, 사촌리 일부/설매리 일부/(서면)가곡리 일부, 중토리/신촌리/우촌리/상토리 일부/(서면)괘성리 일부/심곡리 일부/(예안군 북면)원천동 일부 구천리, 내림리, 두월리, 설매리, 토일리
봉화군 물야면(物野面) 가평리/팔은리/개단리 일부/(순흥군 수식면)산운리 일부, 개단리 일부, 방평리/북지리 일부/동막리 일부 물야면 가평리, 개단리, 북지리
순흥군 수식면(水息面) 천곡리/운평리/사동/(봉화군 물야면)구미리/수식리 일부, 황산리/창상리/창하리/(봉화군 물야면)수식리 일부, 조양리/압동/사곡리, 오록리/산운리 일부, 오전리/덕산리 두문리, 수식리, 압동리, 오록리, 오전리
봉화군 내성면(乃城面) 거촌리/유곡리 일부/황전리 일부/(서면)하눌리 일부/(북면)세암리 일부, 삼계리/(물야면)북지리 일부/(순흥군 화천면)신흥리, 호평리/입석리 일부/(서면)반송리 일부/(순흥군 수민단면)건정리 일부, 토곡리/유곡리 일부/탑평리 일부/(물야면)동막리 일부/(북면)신기리 일부, 포저리/황전리 일부 내성면 거촌리, 삼계리, 석평리, 유곡리, 포저리
순흥군 화천면(花川面) 도촌리 일부/망년리 일부, 도촌리 일부/(수민단면)건정리 일부/적덕리, 본리/망년리 일부 도촌리, 적덕리, 화전리, 해저리
순흥군 수민단면(壽民舟面) 사산리/상리/하리 문단리
봉화군 재산면(才山面) 하리/갈산리 일부/현동 일부, 현동 일부/동면리 일부, 남면리 일부/(상남면)운산리 일부/(하남면)북곡리 일부, 동면리 일부, 갈산리 일부/동면리 일부/현동 일부/(중춘양면)눌산리 일부 재산면 상리, 현동리, 남면리, 동면리, 갈산리
봉화군 소천면(小川面) 현동/분천리 일부, 고선리, 대현리, 석포리/승부리 일부, 승부리 일부, 서천리, 분천리 일부, 두음리, 남회룡리/분천리 일부, 임기리/(재산면)갈산리 일부/(중춘양면)매산리 일부 소천면 현동리, 고선리, 대현리, 석포리, 승부리, 서천리, 분천리, 두음리, 남회룡리, 임기리
9면 - 춘양면, 법전면, 명호면, 소천면, 재산면, 상운면, 봉성면, 물야면, 내성면
법률 제1172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봉화군 춘양면 덕구리, 천평리 강원도 영월군 상동면 일부
대통령령 제6542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봉화군 법전면 소로리 춘양면 일부
봉화군 상운면 내림리, 두월리 영주군 이산면 일부

군수 편집

기후 편집

봉화군은 기상관측소(공식 무인)를 1988년에 설치하여 관측 개시한 이후 단 한번도 열대야를 기록한 적이 없다.

봉화군의 기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연간
최고 기온 기록 °C (°F) 13.2
(55.8)
19.5
(67.1)
25.2
(77.4)
31.2
(88.2)
33.0
(91.4)
34.6
(94.3)
36.6
(97.9)
37.8
(100.0)
33.8
(92.8)
27.8
(82.0)
24.4
(75.9)
16.2
(61.2)
37.8
(100.0)
평균 일 최고 기온 °C (°F) 3.0
(37.4)
5.9
(42.6)
11.2
(52.2)
18.1
(64.6)
23.3
(73.9)
26.6
(79.9)
28.0
(82.4)
28.6
(83.5)
24.5
(76.1)
19.5
(67.1)
12.1
(53.8)
5.1
(41.2)
17.2
(63.0)
일 평균 기온 °C (°F) −4.0
(24.8)
−1.6
(29.1)
3.7
(38.7)
9.9
(49.8)
15.5
(59.9)
19.6
(67.3)
22.8
(73.0)
22.9
(73.2)
17.8
(64.0)
11.1
(52.0)
4.2
(39.6)
−2.1
(28.2)
10.0
(50.0)
평균 일 최저 기온 °C (°F) −10.6
(12.9)
−8.4
(16.9)
−3.2
(26.2)
1.9
(35.4)
7.7
(45.9)
13.4
(56.1)
18.5
(65.3)
18.5
(65.3)
12.4
(54.3)
4.4
(39.9)
−2.2
(28.0)
−8.3
(17.1)
3.7
(38.7)
최저 기온 기록 °C (°F) −25.0
(−13.0)
−27.7
(−17.9)
−16.2
(2.8)
−9.1
(15.6)
−1.0
(30.2)
1.2
(34.2)
8.2
(46.8)
7.5
(45.5)
1.9
(35.4)
−7.3
(18.9)
−14.6
(5.7)
−21.4
(−6.5)
−27.7
(−17.9)
평균 강수량 mm (인치) 16.5
(0.65)
25.9
(1.02)
46.6
(1.83)
80.7
(3.18)
101.5
(4.00)
143.2
(5.64)
277.7
(10.93)
246.8
(9.72)
135.1
(5.32)
48.1
(1.89)
33.2
(1.31)
20.3
(0.80)
1,175.6
(46.28)
평균 강수일수 (≥ 0.1 mm) 5.2 5.1 7.6 8.0 8.7 10.3 15.4 14.5 9.2 5.5 6.6 5.4 101.5
평균 상대 습도 (%) 63.8 62.0 62.0 59.9 65.2 71.0 79.7 79.9 78.0 74.7 70.9 66.4 69.5
평균 월간 일조시간 187.3 183.8 203.5 215.4 234.5 196.0 145.1 155.8 152.8 176.9 164.2 182.5 2,197.8
출처: 대한민국 기상청 (평균값: 1991년~2020년, 극값: 1988년~현재)[9][10]

지질 편집

영남 육괴의 북동부에 위치한 봉화군은 전체적으로 현동역도래기재를 잇는 선을 경계로 그 북동쪽에는 선캄브리아기의 암석이, 남동쪽에는 중생대에 관입한 화강암이 분포한다.[11]

선캄브리아기 편마암 편집

봉화군 내 선캄브리아기의 주요 암석은 원남층군과 율리층군 그리고 분천 화강편마암이다.

  • 원남층군(Precambrian wonnam group, 遠南層群)은 봉화군과 울진군 일대에 분포하는 선캄브리아기 지층 중 최하부의 것으로, 봉화군 남부의 경상 분지와의 경계 지역인 청량산-일월산 북부, 장군봉 주변, 영양군 수비면과의 경계 지역에 조금 분포한다. 이 지층군은 하부에서부터 원남층, 동수곡층, 장군석회암층 및 두음리층으로 구분된다.[12]
    • 원남층(PCEw; Precambrinan wonnam group Wonnam formaiotn, 遠南層)은 원남층군 최하부 지층으로, 원남층군 중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며 경상 분지와의 경계를 따라 청량산 서부 상운면 문촌리에서 명호면 풍호리, 재산면 갈산리를 지나 영양군 수비면 신암리와의 경계 지역까지 이어진다. 주로 석영·장석 편마암류, 편암류, 미그마타이트 등으로 구성되며, 상부 지층인 동수곡층과는 정합적으로, 재산면 갈산리와 명호면 지역에서의 재산층 및 경상 누층군에서는 부정합으로 접하고 있다. 분천화강편마암 내에 본 층이 포획되어 있으며 춘양 화강암에 의해 관입당했다. 청량산 북쪽 명호면 고감리-풍호리-고계리-재산면 상리 간 지역에서의 주향은 동-서이고 북측으로 50~60°경사져 있다.[12][13]
    • 동수곡층(PCEdo; Precambrina wonnam group Donsugok formation, 東水谷 片巖層)은 원남층 상위의 지층으로, 재산면 갈산리-소천면 남회룡리-서천리 경계 지역에 위치한 장군봉(1136m) 바로 남쪽에 동-서 방향으로 발달한다. 북측 경계선은 장군석회암층에 의해 정합으로 덮이거나 및 장군봉 단층에 의해 단층 접촉을 하며, 남측에서는 평안 누층군에 대비되는 재산층에 의해 부정합으로 덮인다. 이 지역에서의 동수곡층은 노출이 불량하다. 주로 담갈색 천매암 및 견운모 편암으로 구성되어 있다.[12]
    • 장군석회암층(PCEja; Precambrina wonnam group Janggun limestone formation, 將軍石灰巖層)은 장군봉에서 그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주로 석회암으로 구성된 지층이다. 장군봉 주변에서 소천면과 재산면의 경계를 따라 대략 동-서 방향으로, 동수곡층 분포지역 바로 북쪽에서 발달한다. 소천면 서천리에서 춘양 화강암에 의해 관입당했고 북측에서 두음리층 또는 장산 규암층에 의해 덮이며 남측의 동수곡층을 정합으로 덮고 동측의 남회룡리에서는 율리층군에 의해 부정합으로 덮여 더 이상 나타나지 않는다. 이 지층 중에는 장군광산을 비롯 몇 개소의 망가니즈 광상이 발달하고 있다.[12]
    • 두음리층(PCEd; Precambrina wonnam group Dueumri formation, 斗音里層)은 소천면 두음리에서 그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장군봉 주변 서천리 그리고 두음리 서부와 현동리 남부에 분포한다. 주로 천매암편암류로 구성되며 장군석회암층을 정합으로 덮는다. 영동선 현동역 남측 1km 지점에 넓게 분포하는 본 층은 운모편암(mica schist), 천매암, 사질 점판암(sand slate)로 구성되어 있으며 (암)회색, 담황회색 등의 색을 띤다. 편리의 주향과 경사는 북서 50°및 북동 60°정도이다.[12]
  • 율리층군(Precambrian Yuli group, 栗里層群)은 소천면 두음리에서 고선리, 춘양면 우구치리에 이르기까지 서북서 방향으로 넓게 분포하는 지층군이다. 하부의 원남층군을 부정합으로 덮고 있으며 분천 화강편마암에과 홍제사화강암에 의해 관입당하고 있다. (암)회색 및 황회색의 편암류 및 천매암과 회색 변성사질암의 호층(互層)으로 구성되어 있다.[12] 스즈키와 아다치(1994)는 율리층군의 편마암에서 1720±50 Ma의 모나자이트 CHIME 연대를 보고하였다.[14] 이용일 외(2011)는 영월군 상동읍 국도 제31호선 절개지(북위 37° 7′ 3.8″ 동경 128° 45′ 36.3″ / 북위 37.117722° 동경 128.760083°  / 37.117722; 128.760083)에서 시료를 채취해 저어콘 U-Pb 연대측정을 실시하였다. 연대 범위는 2177±57 Ma~3520±55 Ma이고 최고 피크는 2491 Ma이며, 기존 연구 결과와 종합하여 율리층군의 퇴적시기를 약 22~20억 년(2180~2010 Ma)사이로 추정하였다.[15]
    • 각화사층(PCEyg; Precambrian yuil group Gakhwasa formation, 覺華寺層)은 춘양면 석현리 소재 각화사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소천면 고선리와 춘양면 석현리, 소로리의 경계를 따라 분포한다. 본 층의 주요 구성암인 녹니석 편암은 녹회색, 황록색을 띠며 녹니석, 견운모, 흑운모, 백운모 및 약간의 사장석으로 구성된다. 대체로 주향은 북서 50~70°이나 경사는 변화가 많다.[13]
    • 고선리층(PCEygo; Precambrian yuli group Goseonri formation, 古善里層)은 소천면 고선리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소천면 고선리, 석포면 대현리, 춘양면 애당리, 서벽리 산간 지역, 우구치리, 물야면 오전리, 북부 개단리에 걸친 넓은 지역에 분포한다. 암상으로 보아 흑운모·실리마나이트 편암과 두꺼운 규암이 호층을 이루고 있는 하부와 석회암, 석영·흑운모편암, 견운모·녹니석편암으로 구성된 상부로 구분된다. 본 층은 분천 화강편마암과 홍제사 화강암에 의해 관입당했으며 주향과 경사는 습곡 구조로 인하여 곳에 따라 다르다.[13]
  • 분천화강편마암(PCEgnb; Precambrian Bunchoen granite gneiss)은 소천면 분천리를 중심으로 소천면 북동부와 울진군 북서부 일대에 넓게 분포하는 화강편마암이다. 율리층군을 관입하고 있고 홍제사 화강암에 의해 관입당했으며 지질 시대는 선캄브리아기~고생대 초기로 보인다.[12]

고생대 편집

봉화군 남부 장군봉 주변에는 고생대 조선 누층군의 지층인 장산 규암층과 재산층이 소규모 분포한다. 장산 규암층은 원래 태백시-삼척시 지역에 분포하는 두위봉형 조선 누층군의 지층이다. 재산층은 평안 누층군에 대비된다.[12]

  • 장산 규암층(CEj; Cambrian Jangsan formation, 壯山硅巖層)은 장군봉을 중심으로 북서 방향으로 약 7 km 에 걸쳐 산릉을 따라 높은 부분을 이루며 대상(帶狀)으로 분포한다. 두음리층과 장군석회암층 및 율리층군을 부정합으로 덮고 있으며 춘양 화강암에 의해 관입당했다.[12]
  • 재산층(Pj; Permian Jaesan formation, 才山層)은 석탄을 함유한 지층으로 평안 누층군에 대비되는 지층이다. 장군봉 남쪽 재산면 갈산리 지역에 동-서 방향으로 길게 분포되어 있으며 동수곡층과 원남층을 부정합으로 덮고 있다. 암회색 내지 흑색 셰일과 사암의 호층(互層)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략 북동 80°~북서 85°의 주향을 가지고 북측으로 50~80°경사한다.[12]
  • 봉서동층(Pb; Permian pyeongan supergroup Bongseodong formation, 鳳栖洞層)은 춘양면 석현리의 각화사로 들어가는 계곡 하구에서 약 1.5 km 지점인 봉서동 부근에 극히 소규모(지질도에 나온 면적은 0.02 km2)로 발달된 지층이다. 흑색 셰일사암으로 구성되어 있고 탄질 셰일이 협재된다. 노출이 불량하여 주변에 분포하는 각화사층과의 관계는 확인할 수 없다.

중생대 화강암 편집

중생대에 관입한 화강암은 대부분 붕화군 남서부인 춘양면, 법전면, 물야면 일대에 넓게 분포한다.[11]

중생대 퇴적암 편집

중생대에 형성된 퇴적암 경상 누층군은 청량산과 일월산 사이 지역인 재산면명호면 남부에 분포한다.[11]

  • 묘곡층(Jm; Jurassic myogok formation, 卯谷層)은 재산면 갈산리와 상리의 경계 지역에 소규모로 분포하는 지층이다. 분포지역 동측과 북측에서는 원남층과 단층으로 접하고 서측에서는 부정합으로 덮는다. 본 층은 흑색 또는 암회색의 셰일 내지 사질 셰일과 (담)회색의 조립질 사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향은 북서 30~40°이나 경사는 동측에서 북동 30~70°이고 중앙에서는 남서 30°이며 서측에서는 다시 북동으로 경사하여 습곡 구조를 가진 것으로 보인다. 경상 누층군의 울련산층과 동화지층에 의해 부정합으로 덮인다.[13]
  • 울련산층(Ku; Kyeongsang supergroup nakdong/hayang group ulryeonsan formation, 蔚蓮山層)은 경상계 지층의 기저를 이루며 묘봉층 분포지역 바로 남쪽인 봉화군 재산면 상리에서 현동리 동부를 지나 동면리 동면저수지 부근에서 첨멸(尖滅; thinning out, 지층의 두께나 폭이 점점 줄어서 딴 지층 사이에 소실되어 버리는 것)되기까지 분포한다. 주로 둥근 역암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사이에 적색 이암과 (담)회색 알코스질사암이 협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본 층은 역(礫)의 크기가 불균질하여 층리의 발달이 좋지 않으며 건열, 연흔과 같은 퇴적암의 구조가 분명하지 못하다.[16]
  • 동화치층(Kd; Kyeongsang supergroup nakdong/hayang group donghwaji formation, 東花峙層)은 낙동층에 대비되는 지층[17]이며 하부의 알코스질사암층과 상부의 자색 이암층으로 구분된다. 원남층과 묘곡층을 부정합으로 덮으며 명호면 관창리 서쪽 끝 지역에 소규모, 그리고 고계리에서 현동리를 거쳐 동면리에 이르는 지역(이후 영양군으로 넘어감)에 이르기까지 분포한다. 주향은 명호면 고계리 지역에서 북서 40~70°이며 경사는 원남층과의 접촉부 부근에서 급하고 남쪽으로 갈수록 완만해져서 남서 45°내외이다.[13]
  • 가송동층(Kg; Kyeongsang supergroup nakdong group gasongdong formation, 佳松洞層)은 하위의 동화치층을 정합으로 덮으며 주로 녹회색 이회암으로 구성되어 있고 적색 이암, 회색 사암, 암회색 셰일 등이 협재된다. 명호면 관창리에서 풍호리와 고계리 남부와 현동리, 남면리를 지나 영양군으로 이어진다. 두께는 350~450 m이다.[16]
  • 청량산층(Kcho, Kchc; Kyeongsang supergroup sila group cheongnyangsan formation, 淸凉山層)은 가송동층 상위의 지층으로, 청량산을 중심으로 그 주변에 넓게 분포한다. 주로 역암으로 구성된 하부의 청량산층과 안산암질화산암류와 역암의 호층으로 구성된 상부의 오십봉층으로 구분된다. 청량산층은 도폭 내 최고봉인 청량산을 비롯하여 낙동강 상류 동부지역의 험준한 지형을 이룬다. 지층의 두께는 650~700 m이나 재산면 일부 지역에서 불규칙하게 발달하는데 이는 퇴적기저면의 부분적인 침식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오십봉층은 도폭 내에서 태곡 단층에 의해 서로 분리된 지역에 분포한다. 태곡 단층 서측의 청량산 일대와 동측의 재산면 남면리 일대이다. 안산암질 용암류 사이에 끼어 있는 여러 매(枚)의 원형 역암, 적갈색 사암, 이암으로 구성된다. 본 층의 하부는 전역에 걸쳐 비교적 두꺼운 안산암류가 발달한다. 청량산 남부에서 관찰된 바에 따르면 화산암류 속에 있는 현저한 퇴적암층은 3매가 확인되며 각 층의 두께는 아래의 것으로부터 각각 25~30 m, 10 m, 10 m이며 이들은 5~15 m 간격으로 떨어져 있다. 본 층의 두께는 행화동(杏花洞) 부근에서 약 250 m가 측정되었다.[16]
  • 도계동층(Kt; Kyeongsang supergroup sila group dogyedong formation, 道溪洞層)은 원래 영양군 지역에 넓게 분포하는 지층으로 봉화군 내에서는 재산면 남면리 지역에만 조금 분포한다. 주로 적갈색 이암과 응회질 사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형 역암, 석회질 사암, 알코스질사암, 녹회색 사암 및 두개 층의 화산암류를 수반한다.[16]

화석 편집

봉화군에서는 경상 누층군 묘곡층 등에서 이매패류, 복족류의 화석이 발견되었다. <한국화석도감> 에 의하면 봉화군에서 발견된 화석은 다음과 같다.[18]

이매패류
  • Trigonioides (Koreanaia) cheongi Yang, 1976 (묘곡층, 재산면 묘곡의 계곡)
  • Nagdongia leei Yang, 1976 (낙동조개, 묘곡층, 재산면 묘곡의 계곡)
  • Cuneopsis kihongi Yang, 1984 (중생대 조개, 묘곡층, 재산면 갈산 북서 계곡)
  • Nagdongia leei Yang, 1976 (낙동조개, 묘곡층, 재산면 묘곡의 계곡)
복족류
  • Viviparus sp. cf. V. onogoensis Kobayashi & Suzuki, 1937 (오노고의 비비파루스 복족류, 묘곡층,재산면 묘곡 계곡)

단층 편집

봉화군에는 대규모의 단층은 없고 소규모의 단층만이 분포한다.[11]

  • 현동 단층대소천면 현동리를 중심으로 북서 방향으로 발달하는 일련의 단층들이다.[12]
  • 재산 단층재산면 갈산리에서 장군봉 장군광산 동부에 이르는 동북동 주향의 단층이다.[12]
  • 장군봉 단층은 장군봉에서 영양군 수비면 신암리까지 발달하는 동-서 주향의 단층이다.[12]

지하자원과 광물 편집

봉화군에 소재한 광산들에 대해 설명한다. 각 광산들의 설명은 삼근리 및 춘양 지질도폭에 따른다. 봉화도폭 지역에는 을 비롯하여 아연, 회중석, 몰리브데넘, 망가니즈, 흑연 광상 등이 발달한다.[13]

  • 옥방광산(玉房鑛山) : 울진군 서면 광회리와 봉화군 소천면 분천리의 경계에 위치한 광산으로, 광산 사무소는 북위 36°55'23", 동경 129°08'20"에 위치한다. 광산 주변의 지질은 선캄브리아기의 변질 퇴적암류인 원남층(PCEw), 각섬질암(PCEam), 분천 화강편마암(PCEgnb)으로 구성되어 있다. 1939년 금은광으로 등록되었으며 광상(鑛床)은 각섬질암 내에 포함되는 수 매의 회중석형석 광맥으로 구성되어 있다. 광상은 행정 구역 경계를 이루는 회룡천을 중심으로 양쪽에 걸쳐 발달하여 봉화 지구와 영양 지구로 구분할 수 있다. 봉화 지구는 한때 총 길이 1,365 m의 갱도가 개발되어 활발히 개발되었으나 현재는 방치되어 출입이 불가능하다. 울진 지구는 총 길이 7,119 m의 8개 갱도가 존재한다. 광맥들의 주향은 대체로 북동 70~80°에 경사는 북서 40~55°이다. 광물은 회중석형석이며 자류철석(磁硫鐵石), 황동석 등을 수반하는 곳도 있다.[12]
  • 장군 망가니즈광산(將軍Manganese鑛山) : 장군봉이 소재한 봉화군 소천면 서천리와 재산면 갈산리의 경계 지역에 위치한다. 1936년 일본 중천(中川)광업주식회사에 의해 금, 은광으로 출현된 후 1941년 망간 노두가 발견되어 개발에 착수하였으며 본격적인 채광은 1943년 시작되어 해방될 때까지 한 달에 2~3천 M/T씩을 생산하였다. 한국전쟁으로 채광이 잠시 중단되었다가 1951년 7월 다시 시작되었다. 일제강점기에 68,900 M/T, 해방 후 1962년까지 23,574 M/T를 생산하였다. 광산 주변에는 선캄브리아기의 원남층군과 율리층군, 장산 규암층과 재산층, 춘양 화강암이 분포하며 망가니즈 광상은 장군석회암층과 춘양 화강암이 접하는 부근에 발달한다. 망간 광체 내에는 방연석, 황동석 등의 유화(硫化) 광물이 발달되어 있어 열수 광화 작용이 여러 차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망가니즈광상은 남광상, 동광상, 서광상, 재동광상, 두림곡광상, 110호광상 등 7개 광상에서 산출된다.[12][19]
  • 분천 형석광산(汾川螢石鑛山) : 영동선 분천역에서 동북방으로 1.9 km 지점인 북위 36°56'35", 동경 129°49'34" 에 위치한다. 형석노두는 1938년에 발견되었으며 1940년 일본 경금속주식회사에서 광업권을 인수한 후 해방될 때까지 약 3,260t(CaF2 40~75%)을 생산하였다. 광산 부근은 분천 화강편마암으로 구성되어 있고 형석 광상의 모암(母巖)을 이루는 리파라이트(liparite) 등의 암맥이 이를 관입하고 있다. 이 암맥은 북서 75~80°의 주향에 거의 수직으로 섰으며 폭은 10~15 m 정도고 지표에서 1 km 이상 추적된다. 이 암맥 내에는 암맥의 주향과 거의 평행하게 발달한 단층이 있으며 갱내에서의 단층 파쇄대의 폭은 1 m이다. 암석은 대체로 회색을 띤다.[12]
  • 대곡탄광(大谷炭鑛) : 재산층이 재산 단층에 의해 절단된 곳 서부에 위치하며 삼근 지역 제 130호 광구에 해당한다. 분천역-일월광산을 연결하는 도로에서 장군광산으로 분기하는 곳 남방 500 m 지점에 광산 사무소가 위치한다. 대체로 단층대를 굴착하였으며 지층들이 심하게 교란당하여 정상적인 상태에 있지 않고 지층의 주향이 함탄층 전체의 연장 방향과 다소 사교(斜交)하거나 단층에 의해 끊기는 곳이 많다.[12]
  • 명법광산(明法鑛山) : 명호면 가래곡(家來谷; 현재의 명호면 삼동리 서부지역)으로 인근의 지질은 각섬석 화강암)에 위치한 금광산이다. 일제강점기 가행되었으며 광상은 석영 반암중의 열하(裂罅; 찢어지거나 갈라진 틈)를 충전한 석영맥이다. 석영맥은 1~2 cm의 폭을 갖는 것이 대부분이며 부광체(富鑛體)를 이룰 때는 5~20 cm에 달하기도 한다.[13]
  • 천보광산(天寶鑛山) : 명호면 가래곡 동남방 1 km 지점에 위치한 금광산다. 맥(脈)의 주향은 북서 35°이고 경사는 수직이다.[13]
  • 삼가광산(三嘉鑛山) : 명호면 포나리(浦羅理)에 소재한 금광산이다. 석영 분암맥(脈)에 따르는 석영맥으로서 주향은 북서 45°이고 북측으로 경사한다. 금은 섬아연석에 수반된다고 한다.[13]
  • 서벽리광산(西碧里鑛山) : 법전면 척곡리에 위치한 금광산이다. 각섬석 화강암의 변질암중에 부존되어 있으며 금을 함유한 석영맥의 주향은 북서 18°로서 북측으로 경사한다.[13]
  • 금관광산(金關鑛山) : 법전면 금곡리에 위치한 금광산이다. 각섬석 화강암중에 부존되어 있으며 주향은 북서 16°이고 남쪽으로 경사한다. 수반 광물은 주로 섬아연석과 황동석이며 광맥 중에 엽편(葉片) 모양의 석영방해석이 나타나며, 이 엽편상 석영은 방해석을 교대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맥폭이 좁고 금광으로의 실적을 볼 때 금광으로도 아연광으로도 가치가 없어 보인다.[13]
  • 다덕광산(多德鑛山) : 갈방리(葛坊理)에 부근 일대에 소재한 아연광산이다. 6개 구(區)로 구분되는데 1구는 갈방리 북측 부둔(浮屯) 부근에 위치하고 2구는 국도 제36호선 도로변에 위치한다. 3구는 법전면 풍정리 부근에, 4구는 명호면 양곡리, 5구는 석교(石橋) 부근, 6구는 내을리(內乙理) 부근에 있다. 본 광은 각섬석 화강암과 춘양 화강암 중의 열하(裂罅)를 충전한 석영맥이다. 수반 광물로는 1구에서 황철석, 황동석, 섬아연석, 방연광, 자류철석 등을 볼 수 있고 2구에서는 방연석, 섬아연석, 황철석, 황동석 등이 있고 다른 구에서도 대체로 이와 같다.[13]
  • 명화광산(明和鑛山) : 법전면 유교리(由橋理)에 소재한 아연 광산이다. 춘양 화강암중에 부존되어 있으며 수반 광물은 방연석, 황동석, 황철석이다.[13]
  • 방현광산(芳峴鑛山) : 춘양 화강암 중에 포획된 원남층에 속하리라고 보이는 석회암이 변질되어 이루어진 곳에 부존된 몰리브데넘 광상이다. 휘수연석(輝水鉛石) 외에 수반광물로서 황철석이 있다.[13]
  • 춘양 망가니즈 광산(春陽Manganese鑛山) : 춘양면 애당리 동북방에 위치한다. 주변에 선캄브리아기 율리층군 고선리층과 춘양 화강암이 분포하며 광상은 흑운모·실리마나이트 편암 중에 부존되어 있고 모암의 편리는 주향 북동 71°, 경사 남동 50°로서 광상인 석영맥은 편리에 따라서 발달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13]
  • 공리곡 형석광산(公利谷螢石鑛山) : 재산면 공리곡(公利谷)에 소재한 형석 광산이다.[13]
  • 금정광상 : 춘양면 금정리에 위치하며 선캄브리아기 율리층군 고선리층의 알라스카이트맥 내에 자연금의 형태로 발달한 광상이다. 본 광상은 광산 부근에 저반상으로 관입한 화강암과 관계되어 생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광미(鑛尾) 적치장 주변을 분석한 결과 선광장과 폐석/광미 적치장의 비소 농도가 최고 7,500 ppm에 이를 정도로 매우 높았고 논밭에서 토양 1 kg당 15 mg 이상의 비소가 산출되어 광미의 유입에 의해 토양이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20]


행정 구역 편집

봉화군의 행정 구역은 1읍 9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봉화군의 면적은 1,201.46 km2이며, 인구는 2017년 7월 1일 기준으로 16,552세대 33,385명이고 그 중 31.7%가 봉화읍에 거주한다.

읍면 한자 세대 인구 면적 행정지도
봉화읍 奉化邑 4,722 10,596 74.32  
물야면 物野面 1,694 3,359 109.27
봉성면 鳳城面 1,105 2,255 66.69
법전면 法田面 1,138 2,175 70.21
춘양면 春陽面 2,365 4,588 167.30
소천면 小川面 1,325 2,336 264.44
석포면 石浦面 1,070 2,213 150.16
재산면 才山面 904 1,663 126.05
명호면 明湖面 1,222 2,333 114.49
상운면 祥雲面 1,007 1,867 58.53

인구 편집

  • 봉화군(에 해당하는 지역)의 연도별 인구 추이[21]
연도 총인구  
1960년 106,861명      
1966년 119,644명  
1970년 115,038명      
1975년 114,606명     
1980년 97,513명    
1985년 78,557명    
1990년 58,168명     
1995년 42,968명   
2000년 38,238명   
2005년 32,413명      
2010년 31,242명     
2013년 33,894명     
2017년 33,358명

    

교통 편집

철도 편집

한국철도공사 영동선 강릉, 안동, 부산(부전역), 대구(동대구역)로 가는 많은 열차가 운행되는 철도의 요충지이다.

서산↔️울진 동서횡단철도(예정)

국도 · 고속도로 편집

국도 제36호선이 동서로 봉화를 관통한다. 남북으로 국도 제31호선, 국도 제35호선이 지난다.

국가지원지방도 편집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이 있다.

고속버스 · 시외버스 편집

항공 편집

봉화군에는 공항이 입지하고 있지 않으며 2004년까지는 인근의 예천공항을 통해 김포제주와 연결되었으나, 현재는 폐쇄된 상태이다.[22] 국내선 및 중국 · 동남아시아행 항공편을 이용하려면 가장 가까운 대구국제공항을 이용해야 하고, 장거리 국제선을 이용하려면 인천국제공항으로 가야 한다.

문화·관광 편집

교육 기관 편집

  
  
  

출신자 편집

자매 도시 편집

각주 편집

  1.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2.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3.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4.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
  5.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6. 법률 제393호 읍·면설치와행정구역및면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56년 7월 8일)
  7. 법률 제1172호 서울특별시·도·군·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62년 11월 21일)
  8.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제정 1979년 4월 7일)
  9.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봉화(271)”. 대한민국 기상청. 2021년 3월 25일에 확인함. 
  10. “순위값 - 구역별조회 봉화(271)”. 대한민국 기상청. 2021년 10월 2일에 확인함. 
  11. “5만 지질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2. “三斤里 地質圖幅說明書 (삼근리 지질도폭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3년. 
  13. “春陽 地質圖幅說明書 (춘양 지질도폭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3년. 
  14. Suzuki, Kazuhiro; Adachi, Mamoru (1994년 8월). “Middle Precambrian detrital monazite and zircon from the hida gneiss on Oki-Dogo Island, Japan: their origin and implications for the correlation of basement gneiss of Southwest Japan and Korea”. 《Tectonophysics》 235 (3): 277-292. doi:10.1016/0040-1951(94)90198-8. 
  15. 이용일; 최태진; Yuji Orihashi (2011년 2월). “선캠브리아기 율리층군의 LA-ICP-MS 저어콘 U-Pb 연대 (LA-ICP-MS zircon U-Pb ages of the Precambrian Yuli Group)”. 《대한지질학회47 (1): 81-87. 
  16. “예안 지질도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3년. 
  17. “中平洞 地質圖幅說明書 (중평동 지질도폭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0년. 
  18. 양승영, 윤철수, 김태완 (2003년). 《한국화석도감》. 
  19. 이대성 (1967년 3월). “Geological Study of Janggun Manganese Mine (將軍망간鑛山의 地質과 鑛床)”. 《대한지질학회3 (1): 51-59. 
  20. 이기철; 이승길; 한인호; 최광호; 정덕영 (1999년). “금정광산 주변 토양의 중금속 오염현황 및 그 처리 방안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in soils around the Keum-Jung mine and remediation)”. 《한국토양환경학회》 4 (1): 25-34. 
  21. 통계청, KOSIS 국가통계포털
  22. 예천공항 개항 15년 만에 폐쇄
  23. (경북) 마음도 쉬었다 오는 곳, 봉화 승부역 ① 《Friday》(2005년 6월 29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4. 영주시민신문 (2015년 4월 10일). “띠띠미 마을 산수유 활짝”. 《영주시민신문》. 2017년 11월 2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