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화군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좌표: 북위 36° 53′ 35″ 동경 128° 43′ 57″ / 북위 36.8931128° 동경 128.732575°

봉화군(奉化郡)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북부에 있는 군이다. 군청 소재지는 봉화읍이고, 행정구역은 1읍 9면이다. 영화인 《워낭소리》의 무대이기도 하다. 봉화 산수유 마을, 춘양목(春陽木)과 송이버섯으로 유명하다.
![]() 청량산 | ||
![]() 봉화군의 위치 | ||
현황 | ||
---|---|---|
국가 | 대한민국 | |
면적 | 1,200.99 km2 | |
세대 | 16,908 가구 (2020[1]) | |
총인구 | 31,494 명 (2020[2]) | |
인구밀도 | 26 명/km2 | |
읍 | 1개 | |
면 | 9개 | |
군수 | 엄태항(무소속) | |
국회의원 | 박형수(국민의힘, 영주시·영양군·봉화군·울진군) | |
군청 | ||
소재지 | 봉화읍 봉화로 1111 (내성리 537) | |
홈페이지 | http://www.bonghwa.go.kr/ | |
상징 | ||
군목 | 춘양목 | |
군화 | 산목련 | |
군조 | 산까치 |
역사편집
《대동여지도》
- 1895년 음력 윤5월 1일 안동부 봉화군으로 개편하였다.[3]
- 1896년 8월 4일 경상북도 봉화군으로 개편하였다. 이 때 안동군 내성면, 춘양면, 재산면, 소천면을 봉화군에 편입하였다.[4]
- 1914년 4월 1일 순흥군 화천면, 수민단면, 수식면을 편입하고 9면으로 개편하였다.[5]
도령 제2호
도령 제2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봉화군 상동면(上東面) 춘양면 일부 와단면(臥丹面), 중춘양면(中春陽面) 법전면 일원 동면(東面), 상남면(下南面), 하남면(下南面) 명호면 일원 서면(西面), 임지면(林只面) 상운면 일원 군내면(郡內面), 북면(北面) 봉성면 일원 순흥군 수식면(水息面) 물야면 일부 화천면(花川面), 수민단면(壽民舟面) 내성면 일부
- 1916년 군청을 춘양면에서 내성면 (현 봉화읍)으로 이전하였다.
- 1956년 7월 8일 내성면을 봉화면으로 개칭하였다.[6]
- 1963년 1월 1일 춘양면 일부를 강원도 영월군 상동면에 편입하였다.[7]
대통령령 제6542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봉화군 법전면 소로리 춘양면 일부 봉화군 상운면 내림리, 두월리 영주군 이산면 일부
- 1979년 5월 1일 봉화면을 봉화읍으로 승격하였다.[8] (1읍 8면)
- 1983년 2월 15일 명호면 신라리를 상운면으로 편입하고, 석포출장소를 석포면으로 승격하였다. (1읍 9면)
- 1991년 1월 1일 봉성면 원둔리를 봉양리로 개칭하였다.
- 2002년 11월 6일 봉화읍 포저리를 내성리로 개칭하였다.
- 2004년 1월 12일 군 청사를 봉화읍 내성리 285번지에서 내성리 537번지(봉화읍 봉화로 1111)로 이전하였다.
역대 군수편집
봉화군의 군수를 선출하는 선거에 대해서는 봉화군수 선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봉화군수 목록
대수 | 군수 | 임기 |
---|---|---|
초대 | 최도훈 | 1945년 10월 1일 ~ 1946년 3월 31일 |
2대 | 최순교 | 1946년 4월 1일 ~ 1947년 5월 31일 |
3대 | 장치권 | 1947년 6월 1일 ~ 1948년 3월 31일 |
4대 | 황태연 | 1948년 4월 1일 ~ 1949년 10월 6일 |
5대 | 조철기 | 1949년 10월 7일 ~ 1950년 5월 4일 |
6대 | 정관용 | 1950년 5월 5일 ~ 1950년 9월 20일 |
7대 | 오세헌 | 1950년 9월 21일 ~ 1951년 3월 17일 |
8대 | 이중삼 | 1951년 3월 18일 ~ 1952년 1월 13일 |
9대 | 서상시 | 1952년 2월 1일 ~ 1952년 10월 31일 |
10대 | 고광엽 | 1952년 12월 16일 ~ 1953년 9월 20일 |
11대 | 류시수 | 1953년 9월 21일 ~ 1957년 1월 17일 |
12대 | 안영호 | 1957년 1월 18일 ~ 1960년 5월 14일 |
13대 | 박흥갑 | 1960년 5월 15일 ~ 1960년 10월 27일 |
14대 | 이창석 | 1960년 10월 28일 ~ 1961년 7월 21일 |
15대 | 최진태 | 1961년 7월 22일 ~ 1961년 11월 09일 |
16대 | 이태수 | 1961년 11월 10일 ~ 1962년 12월 21일 |
17대 | 김병원 | 1963년 1월 1일 ~ 1965년 3월 26일 |
18대 | 김정주 | 1965년 3월 27일 ~ 1967년 11월 14일 |
19대 | 이창호 | 1967년 11월 15일 ~ 1970년 3월 2일 |
20대 | 김정록 | 1970년 3월 3일 ~ 1971년 8월 20일 |
21대 | 신경균 | 1971년 8월 21일 ~ 1973년 11월 2일 |
22대 | 권명흠 | 1973년 11월 3일 ~ 1976년 4월 2일 |
23대 | 고정환 | 1976년 4월 3일 ~ 1978년 3월 3일 |
24대 | 박순태 | 1978년 3월 4일 ~ 1979년 5월 13일 |
25대 | 조갑희 | 1979년 5월 14일 ~ 1981년 6월 30일 |
26대 | 김호동 | 1981년 7월 6일 ~ 1982년 9월 17일 |
27대 | 최제동 | 1982년 9월 18일 ~ 1985년 3월 24일 |
28대 | 남봉우 | 1985년 3월 25일 ~ 1986년 3월 7일 |
29대 | 이상해 | 1986년 3월 8일 ~ 1986년 5월 29일 |
30대 | 권혁대 | 1986년 6월 9일 ~ 1988년 2월 16일 |
31대 | 박희삼 | 1988년 2월 17일 ~ 1988년 6월 10일 |
32대 | 최희욱 | 1988년 6월 11일 ~ 1989년 12월 26일 |
33대 | 박정훈 | 1989년 12월 27일 ~ 1990년 8월 28일 |
34대 | 이강웅 | 1990년 8월 29일 ~ 1991년 7월 15일 |
35대 | 홍복근 | 1991년 7월 16일 ~ 1992년 7월 2일 |
36대 | 구태서 | 1992년 7월 3일 ~ 1994년 1월 2일 |
37대 | 박승호 | 1994년 1월 3일 ~ 1994년 12월 31일 |
38대 | 최윤영 | 1995년 1월 1일 ~ 1995년 6월 30일 |
39, 40대 | 엄태항 | 1995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41대 | 류인희 |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
X | 김희문 | 당선 무효 |
권한대행 | 김제호 | 2006년 7월 1일 ~ 2006년 7월 25일 |
권한대행 | 권오철 | 2006년 7월 26일 ~ 2007년 4월 25일 |
42대 | 엄태항 | 2007년 4월 26일 ~ 2010년 6월 30일 |
43대 | 박노욱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44대 | 박노욱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45대 | 엄태항 | 2018년 7월 1일 ~ |
지리편집
기후편집
봉화군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년 |
평균 최고 기온 °C (°F) | 3.2 (37.8) |
6.0 (42.8) |
10.9 (51.6) |
18.4 (65.1) |
23.1 (73.6) |
26.4 (79.5) |
28.0 (82.4) |
28.6 (83.5) |
24.7 (76.5) |
19.7 (67.5) |
12.2 (54.0) |
5.6 (42.1) |
17.2 (63.0) |
일 평균 기온 °C (°F) | −3.9 (25.0) |
−1.5 (29.3) |
3.4 (38.1) |
9.9 (49.8) |
15.2 (59.4) |
19.4 (66.9) |
22.6 (72.7) |
22.8 (73.0) |
17.8 (64.0) |
10.9 (51.6) |
4.0 (39.2) |
−1.9 (28.6) |
9.9 (49.8) |
평균 최저 기온 °C (°F) | −10.3 (13.5) |
−8.2 (17.2) |
−3.2 (26.2) |
1.8 (35.2) |
7.6 (45.7) |
13.2 (55.8) |
18.3 (64.9) |
18.2 (64.8) |
12.4 (54.3) |
4.0 (39.2) |
−2.6 (27.3) |
−8.3 (17.1) |
3.6 (38.5) |
평균 강수량 mm (인치) | 21.1 (0.83) |
28.4 (1.12) |
53.1 (2.09) |
75.3 (2.96) |
105.7 (4.16) |
157.4 (6.20) |
296.5 (11.67) |
242.0 (9.53) |
148.7 (5.85) |
36.5 (1.44) |
34.6 (1.36) |
18.6 (0.73) |
1,217.9 (47.95)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6.0 | 5.7 | 7.5 | 7.5 | 8.7 | 10.5 | 15.2 | 13.7 | 9.2 | 5.1 | 5.7 | 5.1 | 99.9 |
평균 상대 습도 (%) | 65.4 | 64.0 | 63.7 | 59.6 | 65.4 | 70.9 | 78.3 | 77.8 | 76.3 | 73.2 | 69.8 | 67.3 | 69.3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182.4 | 179.3 | 198.4 | 223.5 | 229.6 | 197.2 | 145.8 | 163.6 | 158.2 | 189.0 | 172.1 | 180.4 | 2,223.6 |
출처: 대한민국 기상청[9] |
행정 구역편집
봉화군의 행정 구역은 1읍 9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봉화군의 면적은 1,201.46 km²이며, 인구는 2017년 7월 1일 기준으로 16,552세대 33,385명이고 그 중 31.7%가 봉화읍에 거주한다.
읍면 | 한자 | 세대 | 인구 | 면적 | 행정지도 |
---|---|---|---|---|---|
봉화읍 | 奉化邑 | 4,722 | 10,596 | 74.32 | |
물야면 | 物野面 | 1,694 | 3,359 | 109.27 | |
봉성면 | 鳳城面 | 1,105 | 2,255 | 66.69 | |
법전면 | 法田面 | 1,138 | 2,175 | 70.21 | |
춘양면 | 春陽面 | 2,365 | 4,588 | 167.30 | |
소천면 | 小川面 | 1,325 | 2,336 | 264.44 | |
석포면 | 石浦面 | 1,070 | 2,213 | 150.16 | |
재산면 | 才山面 | 904 | 1,663 | 126.05 | |
명호면 | 明湖面 | 1,222 | 2,333 | 114.49 | |
상운면 | 祥雲面 | 1,007 | 1,867 | 58.53 |
인구편집
- 봉화군(에 해당하는 지역)의 연도별 인구 추이[10]
연도 | 총인구 | |
---|---|---|
1960년 | 106,861명 | |
1966년 | 119,644명 | |
1970년 | 115,038명 | |
1975년 | 114,606명 | |
1980년 | 97,513명 | |
1985년 | 78,557명 | |
1990년 | 58,168명 | |
1995년 | 42,968명 | |
2000년 | 38,238명 | |
2005년 | 32,413명 | |
2010년 | 31,242명 | |
2013년 | 33,894명 | |
2017년 | 33,358명 |
|
교통편집
철도편집
한국철도공사 영동선 강릉, 안동, 부산(부전역), 대구(동대구역), 으로 가는 많은 열차가 운행되는 철도의 요충지이다.
서산↔️울진 동서횡단철도(예정)
국도 · 고속도로편집
국도 제36호선이 동서로 봉화를 관통한다. 남북으로 국도 제31호선, 국도 제35호선이 지난다.
국가지원지방도편집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 이 있다.
고속버스 · 시외버스편집
항공편집
대구국제공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봉화군에는 공항이 입지하고 있지 않으며 2004년까지는 인근의 예천공항을 통해 김포나 제주와 연결되었으나, 현재는 폐쇄된 상태이다.[11] 국내선 및 중국 · 동남아시아행 항공편을 이용하려면 가장 가까운 대구국제공항을 이용해야 하고, 장거리 국제선을 이용하려면 인천국제공항으로 가야 한다.
문화·관광편집
교육 기관편집
|
|
|
|
|
|
출신자편집
분류:봉화군 출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자매 도시편집
각주편집
- ↑ “2020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 ↑ “2020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 ↑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 ↑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
-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 ↑ 법률 제393호 읍·면설치와행정구역및면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56년 7월 8일)
- ↑ 법률 제1172호 서울특별시·도·군·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62년 11월 21일)
- ↑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제정 1979년 4월 7일)
- ↑ “평년값자료(1981-2010) 봉화(271)”. 대한민국 기상청. 2011년 5월 2일에 확인함.
- ↑ 통계청, KOSIS 국가통계포털
- ↑ 예천공항 개항 15년 만에 폐쇄
- ↑ (경북) 마음도 쉬었다 오는 곳, 봉화 승부역 ① 《Friday》(2005년 6월 29일)
- ↑ 영주시민신문 (2015년 4월 10일). “띠띠미 마을 산수유 활짝”. 《영주시민신문》. 2017년 11월 2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 봉화군청 (공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