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백선

(영월선에서 넘어옴)

태백선(太白線)은 충청북도 제천시제천역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백산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철도 노선이다. 통행방향은 어디서든 좌측통행이다.

태백선
태백선의 위치.
기본 정보
운행 국가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종류간선 철도
상태통제중
기점제천역
(충청북도 제천시)
종점백산역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역 수22
노선 번호315
개통일1955년 12월 31일
소유자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운영자한국철도공사
노선 제원
영업 거리104.1 km
궤간1,435 mm(표준궤)
선로 수2 (제천 - 입석리)
1 (입석리 - 백산)[1]
전철화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60 Hz
신호 방식ATS
노선도

0.0
제천
←중앙선(단양역 방면)
13.7
입석리
현대시멘트 영월선
쌍용양회 영월공장선
17.7
쌍룡
25.9
연당
평창강 (서강)
31.6
청령포신호장
영월화력발전소선
34.7
영월
37.4
탄부신호장
42.3
연하신호장
49.0
석항
52.1
예미
함백선(함백역 방면)
58.7
조동신호장
수리재터널
63.1
자미원신호장
69.8
민둥산
75.8
사북
80.4
고한
89.4
추전
해발 855m
95.4
태백
97.8
문곡
연화제3,2,1터널
태백삼각선
철암천
102.3
동백산
103.5
백산
태백선 석항역 부근 국도 제31호선이 태백선과 교차하는 상동가도건널목

개요

편집

영월에 건설된 화력발전소를 위해 1949년에 착공하여 1955년 12월 31일에 완공된 영월선(또는 영월발전소선)과 영동선에서 황지(현 태백시)일대의 탄광 개발을 위해 1962년에 건설되었던 황지지선을 기반으로 한다. 이후 탄광 개발을 위해 영월선의 연장선으로 건설된 함백선, 정선선, 고한선 등의 선로가 추가건설되면서 점차 두 노선이 근접하게 되고, 이후 추가적인 동서횡단노선의 확충 필요, 교통두절의 예방과 선로용량 증가를 위해 고한 ~ 황지간 연결선을 1973년 10월에 완공하면서 이 각 노선을 통합, 태백선으로 명명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1975년 12월 태백선 전구간을 전철화하였으며, 여객취급 역은 제천역, 쌍룡역, 영월역, 예미역, 민둥산역, 사북역, 고한역, 태백역이다.

연혁

편집
 
태백선의 노선 형성 과정

단선비전철 시절

편집

전철화 시대

편집

역 목록

편집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역간
거리
누적
거리
A I 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제천 Jecheon 堤川 0.0 0.0 중앙선
충북선
충청북도 제천시
입석리 Ipseok-ri 立石里 13.7 13.7
쌍룡 Ssangnyong 雙龍 4.6 18.3 |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연당 Yeondang 淵堂 7.6 25.9 | |
청령포 Cheongnyeongpo 淸泠浦 5.7 31.6 | |
영월 Yeongwol 寧越 3.1 34.7
탄부 Tanbu 炭釜 2.7 37.4 | |
연하 Yeonha 蓮下 4.9 42.3 | |
석항 Seokhang 石項 6.7 49.0 | |
예미 Yemi 禮美 3.1 52.1 | 함백선 정선군
조동 Jodong 鳥洞 6.6 58.7 | | 함백선
자미원 Jamiwon 紫味院 4.4 63.1 | |
민둥산 Mindungsan 民東山 6.7 69.8 정선선
사북 Sabuk 舍北 6.0 75.8 |
고한 Gohan 古汗 4.6 80.4 | |
추전 Chujeon 杻田 9.0 89.4 | | | 태백시
태백 Taebaek 太白 6.0 95.4
문곡 Mungok 文曲 3.0 98.4 | | |
(태백삼각) 4.5 102.9 | 태백삼각선
백산 Baeksan 栢山 1.2 104.1 | | 영동선

노선 정보

편집
  • 노선 거리 : 104.1 km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전 구간)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전철화 구간 : 전 구간 (교류 25,000V 60Hz)
  • 복선구간 : 제천 ~ 입석리
  • 단선구간 : 입석리 ~ 백산
  • 보안 장치 : 자동폐색, ATS

지선 노선

편집

태백선에는 총 3개의 지선 철도가 있다.

번호 노선 명칭 기점 종점 연장(km) 비고
31501 함백선 예미역 조동역 9.6
31502 정선선 민둥산역 구절리역 45.9
31503 태백삼각선 문곡역(태백선) 동백산역(영동선) 0.8

함백선

편집

함백선예미역함백역을 경유하여 조동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1501이다.

영월선의 연장 노선인 함백선으로 처음에 건설이 이루어졌으며, 이후 정선선이 건설되면서 예미 ~ 함백 구간은 정선선 지선 형태로 변경되었으며, 1977년 함백 ~ 조동 구간에 루프 터널을 건설하여 부족한 태백선 용량 확충에 기여하였다.

정선선

편집

태백삼각선

편집

태백선의 교통량

편집

열차 통과량

편집

2023년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태백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열차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

운행구간 선로용량 새마을 무궁화 일반화물 운행총계
제천~입석리 163 2 5 17 24
입석리~쌍용 65 2 5 7 14
쌍용~예미 47 2 5 4 11
예미~민둥산 40 2 5 4 11
민둥산~백산 36 1 5 4 10

이 구간의 열차 운행은 화물열차가 압도적으로 많으며, 이로 인해 선로 용량에 애로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이 구간은 전 구간에 걸쳐 30퍼밀에 이르는 급격한 구배가 산재해 있어 운행 차량의 종류와 견인량수, 운전속도 등이 제한되고 있다.

화물열차의 운행은 주로 석탄과 양회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정기여객열차 운행은 태백선 구간만을 한정하여 운행하는 열차는 전무하며, 청량리, 동해, 아우라지를 기점으로 하는 중앙선 및 영동선, 정선선에서 직통 운행하는 무궁화호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이 노선은 주변 경관이 뛰어나고 관광산업 진흥이 활발하여, 기간 및 행사관계로 인한 임시 관광열차 투입이 종종 이루어지고 있다.

이용객 변동

편집

다음 자료는 2000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통계 내용을 모은 것이다.

구분 이용 인원수 (명) 각주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비둘기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3]
통일(통근) 55,534 52,169 43,144 39,596 10,913 1 0 144 0 0 0 0 0 0 0 0
무궁화 683,873 738,199 663,739 697,192 696,913 665,384 611,943 682,783 643,468 547,657 569,572 568,603 592,893 633,827 610,342 539,927
새마을 68,490 89,974 77,654 70,188 77,551 81,878 58,955 510 6,726 6,208 2,063 360 3,785 52,913 29,031 22,519
건설 2,463 5,569 5,761 3,864 각 종별 열차 이용객에 포함됨
정기권 2,848 2,901 1,428 1,181
합계 813,208 888,812 791,726 812,021 785,377 747,263 670,898 683,437 650,194 553,865 571,635 568,963 596,678 686,740 639,373 562,446

미래

편집

현재 양회등 벌크 화물 수송량 증대차원으로 제천 ~ 입석리 구간에 한해 복선전철화가 완료되었으나, 노선 전체에 대한 추가적인 개량 가능성은 구상 정도에 그치고 있다.[14]

강원 남부지역 인구의 과소화로 인해서 여객영업기반은 악화일로를 걷고 있는 실정이다. 이 구간의 열차는 정부의 공공철도 운행보상금 제도(PSO)의 지원 대상이다. 이례적으로 ITX-마음 왕복 1회 편성된 이유도 연선 지자체에서 5년간 코레일에 손실비용부담금 지급하기로 합의했기 때문이다.[15] 앞으로도 준고속열차가 계속 운행될지는 미지수이다.

외부 링크

편집

각주

편집
  1. 단, 함백선 병행 구간(예미~조동)이 복선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2. [1]
  3. 철도청 고시 제207호 (1966년 1월 13일)
  4. 철도청 고시 제208호 (1966년 1월 13일)
  5. 철도청 고시 제305호 (1967년 1월 13일)
  6. 이양 기자 (1974년 6월 20일). “태백 준영도 단숨에 「고속철마」전철…제천-고한 간 개통”. 《중앙일보》. 
  7. 대한민국 관보 제12939호 (1995년 2월 14일), 32p
  8. 당시 정차역은 청량리에서 제천까지는 중앙선과, 동해에서 강릉까지는 바다열차와 각각 동일하고 제천에서 동해까지는 영월역, 민둥산역, 사북역, 고한역, 태백역, 도계역에 정차했었다.
  9. 왕성상 기자 (2013년 11월 14일). “태백선 쌍용역∼제천역 복선전철 개통”. 《아시아경제》. 
  10.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2019년 4월 17일.
  11. 이형수 기자 (2020년 8월 3일). “태백선 전 구간, 영동선·충북선 일부구간 운행 중지”. 《충북일보》. 
  12. “ITX-마음, 오늘부터 태백·영동선 운행”. 《KBS강원》. 2023년 9월 1일. 
  13. 코레일 > 정부3.0 정보공개 > 자료실 > 통계자료실
  14. 박상희 기자 (2020년 11월 24일). ““고속열차도 속도 못 내”…‘선형 개량’필요”. 《KBS 9시뉴스(강릉)》. 
  15. 지환 기자 (2023년 8월 31일). “폐광지 운행하는 신형열차 '마음'...십시일반 돈 걷는 지자체”. 《YT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