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천시

경상북도의 시
(영천에서 넘어옴)

영천시(永川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남동부에 있는 이다.

영천시
영천시청사
영천시청사
영천시의 위치
영천시의 위치
현황
국가 대한민국 대한민국
면적 920.29 km2
세대 53,904 가구(2021[1])
인구 101,888 명(2021[2])
인구 밀도 111 명/km2
1개
10개
행정동 5개
법정동 30개
국회의원 이만희(국민의힘, 영천시·청도군)
시청
시장 최기문(무소속)
소재지 경상북도 영천시 시청로 28 (문외동 27)
웹사이트 http://www.yc.go.kr/
상징
시목 은행나무
시화 장미
시조 비둘기
영천시내 일원을 중심으로 흐르는 지류인 금호강의 모습

역사 편집

  • 삼한시대 부족국가 골벌소국(骨伐小國)이 형성되었다.
  • 신라시대 절야화군(切也火郡)으로 칭하였다.
  • 757년 (신라 경덕왕 16년) 임고군(臨皐郡)으로 개칭하고, 양주(현 양산시)에 속했다. 영현으로 도동현(道同縣), 임천현(臨川縣), 장진현(長鎭縣), 신령현(新寧縣), 맹백현(黽白縣)을 관할하였다.
  • 925년 (신라 경애왕 2년) 고울부(高鬱府)로 개칭하고, 도동현, 임천현, 맹백현, 이지현(梨旨縣)을 관할하였다.
  • 940년 (고려 태조 23년) 도동현·임천현을 병합하고 영주군으로 개칭하였다.
  • 995년 (고려 성종 14년) 자사(刺史)를 두었다.
  • 1018년 (고려 현종 9년) 경주대도호부(현 경주시)의 속현으로 병합되었다.
  • 1172년 (고려 명종 2년) 감무(監務)를 두면서 독립하였다.
  • 1383년 (고려 우왕 9년) 영주(永州)로 승격하고, 지주사(知州事)를 두었다.
  • 1414년 (조선 태종 14년) 영천군(永川郡)으로 개칭하고, 지군사(知郡事)를 두었다.
  • 1467년 (조선 세조 12년) 군수를 두었다.
  • 1522년 (조선 중종 17년) 영천현(永川縣)으로 강등되었다.
  • 1533년 (조선 중종 28년) 영천군으로 환원되었다.
  • 1895년 6월 23일 (조선 고종 32년 음력 윤 5월 1일) 대구부 영천군으로 개편되었다.[3]
  • 1896년 (건양 원년) 8월 4일 경상북도 영천군으로 개편되었다.[4]
  • 1900년 이후의 행정 구역 개편은 영천시의 행정 구역#역사를 참조

지리 편집

위치 편집

영천시는 서울에서 동남쪽으로 350 km 지점에 위치하고, 경상북도의 동남부에 자리잡고 있으며, 동쪽은 경주시포항시, 서쪽은 경산시대구광역시, 남쪽은 청도군, 북쪽은 청송군군위군이 접하고 있는 경북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도시이다.[5]

영천시의 면적은 920.29 km2경상북도의 4.8%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중 임야 69%, 경지 18%, 기타 13%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선과 대구선 철도가 동서로 뻗쳐 있고 경부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등이 통과하고 있는 4통 5달의 교통 요충지이다. 태백산맥의 지류인 보현산과 서쪽으로 팔공산, 동쪽으로 운주산이 둘러싸고 있으며, 남천(자호천, 고경천)과 북천(신녕천, 고현천)이 합류하여 금호강 상류를 형성하고 있다.[6]

기후 편집

영천시의 기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최고 기온 기록 °C (°F) 15.7
(60.3)
23.6
(74.5)
26.6
(79.9)
32.0
(89.6)
36.3
(97.3)
37.3
(99.1)
39.4
(102.9)
39.6
(103.3)
36.6
(97.9)
30.5
(86.9)
26.1
(79.0)
19.4
(66.9)
39.6
(103.3)
평균 최고 기온 °C (°F) 5.5
(41.9)
8.3
(46.9)
13.6
(56.5)
19.9
(67.8)
24.9
(76.8)
27.6
(81.7)
29.9
(85.8)
30.5
(86.9)
26.2
(79.2)
21.5
(70.7)
14.6
(58.3)
7.5
(45.5)
19.2
(66.6)
일 평균 기온 °C (°F) −0.5
(31.1)
1.7
(35.1)
6.6
(43.9)
12.7
(54.9)
17.8
(64.0)
21.7
(71.1)
25.0
(77.0)
25.3
(77.5)
20.4
(68.7)
14.1
(57.4)
7.3
(45.1)
1.1
(34.0)
12.8
(55.0)
평균 최저 기온 °C (°F) −5.9
(21.4)
−4.2
(24.4)
0.0
(32.0)
5.3
(41.5)
10.8
(51.4)
16.3
(61.3)
21.0
(69.8)
21.2
(70.2)
15.5
(59.9)
7.9
(46.2)
1.1
(34.0)
−4.4
(24.1)
7.1
(44.8)
최저 기온 기록 °C (°F) −20.5
(−4.9)
−16.0
(3.2)
−10.2
(13.6)
−5.9
(21.4)
1.1
(34.0)
5.5
(41.9)
11.5
(52.7)
11.7
(53.1)
4.5
(40.1)
−4.0
(24.8)
−9.8
(14.4)
−14.6
(5.7)
−20.5
(−4.9)
평균 강수량 mm (인치) 22.1
(0.87)
26.0
(1.02)
50.0
(1.97)
76.4
(3.01)
85.8
(3.38)
126.0
(4.96)
229.8
(9.05)
233.2
(9.18)
137.6
(5.42)
48.6
(1.91)
31.6
(1.24)
18.8
(0.74)
1,085.9
(42.75)
평균 강수일수 (≥ 0.1 mm) 4.6 5.1 7.1 7.6 8.7 9.5 13.6 13.1 8.9 4.7 5.0 4.4 92.3
평균 상대 습도 (%) 56.8 56.2 57.0 56.1 60.3 67.7 74.7 75.0 74.2 68.9 65.0 59.9 64.3
평균 월간 일조시간 166.2 184.3 211.1 220.4 234.3 191.2 163.4 180.0 162.0 191.6 155.7 153.2 2,213.4
출처: 대한민국 기상청 (평균값: 1991년~2020년, 극값: 1972년~현재)[7][8]

지질 편집

중생대에 형성된 경상 분지 한가운데에 위치한 영천시는 지질의 대부분이 퇴적암 지층인 경상 누층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부 팔공산과 북부 보현산 일부 지역에 중생대에 관입한 화강암이 분포한다.[9]

경상 누층군 하양층군 편집

경상 누층군 하양층군경상 누층군의 중부 층군으로, 화성 쇄설물을 함유하고, 대구, 영천지역을 중심으로 남북으로 분포하며, 대구-영천-경주 지역에서 하부에서부터 칠곡층, 신라역암층, 대구층, 함안층(대구층 하부), 반야월층(대구층 상부), 진동층, 자인층(대구층 최상부+건천리층), 채약산 분암층, 건천리층, 화산층으로, 구미-군위-의성 지역에서 일직층, 후평동층, 점곡층, 사곡층, 춘산층 등으로 구성된다. 이중 영천시에는 하양층군의 상부 지층인 대구층, 채약산 분암층, 건천리층, 점곡층, 함안층(대구층 하부), 반야월층(대구층 상부), 춘산층이 분포한다.[9]

신령도폭(1980)에 제시된 경상 누층군 지층 대비표[10]
지역 영양 소분지 의성 소분지 유천 소분지
도폭 도계동, 평해, 영양 의성, 구산동 신령 (1980) 대구, 영천, 경주 (1928) 진동, 의령
화성암 산성 및 염기성 맥암 산성 및 중성 맥암 산성 및 염기성 맥암
- 석영몬조니암
(화강)섬록암
화강암류 불국사 화강암 (화강)섬록암
산성 화산암
중성 및 염기성
화산암
아화산암류 주사산 분암층 주산안산암질암
하양층군 신양동층 화산층 건천리층 진동층
춘산층 반야월층 대구층 반야월층
도계동층 사곡층 함안층 함안층 함안층
기계도폭(1975)에 제시된 경상 누층군 지층 대비표[11]
왜관, 대구, 영천, 경주
(1929, 立岩巖)
마산도폭 (1963) 경산도폭 (1971) 한국의 지질계통확립을 위한 조사연구
(1973, R-73-51)
25만분의 1 지질도 범례
(1973, 국립지질광물연구소)
경상분지전역 (1975, 장기홍) 기계도폭 (1975)
산성맥암
분암
석영반암
화강암
섬록암



염기성 맥암
석영반암, 규장반암
장석반암(斑巖)
흑운모화강암
각섬석화강암
마산암
섬록암



산성/중성맥암
규장암류
석영몬조나이트
화강반암류
섬록암






불국사
화성암군
마산암류
반암류, 기타
불국사화강암
중섬/염기성 심성암류
산성/중성 화산암류






중성암맥
화강반암
흑운모화강암
각섬석화강암
섬록암






주사산 분암층

주산
안산암질층


관입석영안산암질
각력암
유동안산암질각력암
안산암질암


자양산층











유천층군 조립안산암
석영안산암
화산각력암
유문암
각력상(狀)응회암









팔룡산응회암 자양산층 상부


건천리층 진동층 자인층


건천리층





진동아층군


결층



채약산분암층 함안층상부 채약산화산암층
대구층 함안 안산암 반야월층 송내동부층

대구층
함안층 하부 함안층 반야월부층 하부 의령아층군
학봉분암층 - 함안부층 -
신라역암층 학봉화산암층
칠곡층

팔달역암층
동명층 칠곡층


상부


칠곡아층군
하산동층 동명층 신동층군
연화동층 하산동층 하부
연화동층
  • 대구층(Kt/Ksd/Dt; Kyeongsang supergroup hayang group Taegu/Daegu formation, Taikyu formation, 大邱層 (たいきゅうそう))은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그 동부인 영천시, 경주시 등지에 넓게 분포하는 지층이다.[9] 이 지층은 1928년 대구, 영천, 경주도폭에서 정의 되었으며 다테이와 이와오(立岩巖)는 1929년 경주도폭과 영천도폭에서 채약산 분암층을 기준으로 그 상·하위의 지층을 각각 건천리층과 대구층으로 구분하였다. 영천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이 지층은 주로 이암과 셰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알코스질 사암이 협재된다. 암석의 색은 주로 붉은색을 띠며(reddish) 곳에 따라 어두운(blackish) 색을 띤다. 두께는 2,000 m에 달하며 남동쪽으로 약간 기울어 있다. 연흔과 건열이 흔하게 나타나며 흑색 셰일은 드물게 유기물(organic remains)을 포함한다.[12][9] 1975년 장기홍은 대구층의 하부는 함안층에, 상부는 반야월층에 대비하였다. 대구층의 퇴적 시기를 결정하는 절대 연령 분석은 이루어진 바는 없지만 이와 대비되는 함안층의 지질시대는 암층서상 상위와 하위에 위치한 지층의 연대를 분석한 결과를 고려할 때, 백악기 후기인 알비안(Albian; 약 1억~1억 천만년 전)에 해당될 것이다.[13]
    • 기계 지질도폭(1975)에 의하면 영천시 북동부―자양면 남부와 임고면, 고경면 북부―에 분포하는 본 지층은 암회색, 녹회색, 암흑색 및 자색(赭色) 셰일 및 사질 셰일, 회색의 세립 사암과 이암 그리고 화성암 접촉부에서 변성 작용을 받고 혼펠스화 된 셰일로 구분되는데, 주요 구성 암석은 셰일 및 사질 셰일과 혼펠스화된 셰일이다. 바로 밑의 영천도폭(1928)에서는 채약산 분암층을 기준으로 상, 하위 지층을 각각 건천리층과 대구층으로 구분하였으나, 본 지역에서는 건천리층을 설정할 수 있는 중간의 화산암층이 발견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경상 누층군의 상부는 퇴적기 중간 화산 활동의 영향을 받고 화산 분출물이 협재되거나, 퇴적물 중에 화산 기원의 물질이 다량으로 포함되어 구성이 조악해진 부분이 자주 발달하는 경향이 있으나 본 퇴적암 지층에는 그러한 현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사질(沙質)암이 드물고 셰일 위주인 본 지층은 비교적 정온(靜穩)한 퇴적 환경에서 형성되었으며, 퇴적 후 융기와 상당 기간의 침식 작용을 거쳤다가 주사산 화산 활동과 불국사 조산운동의 화강암 관입 작용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임고면 일대 지역에서는 임고면 금대리, 사리를 지나는 임고천을 경계로 그 북쪽의 자양면 지역에서는 습곡 구조를, 남쪽의 지역에서는 단사(單斜) 구조를 이루며, 고경면 삼포리를 통과하는 북동 주향의 삼포 단층 부근에서는 교란된 지층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금대리 북쪽, 자양면 영천호 동쪽에 동-서 방향으로 발달하는 습곡 구조는 노항리, 신방리 북쪽 능선과 남쪽 능선에 각각 능선과 일치하게 발달하는 배사, 향사 구조로 구성된다. 이중 북쪽의 향사는 삼귀동(三龜洞) 향사, 남쪽의 배사는 노항동(魯巷洞) 배사로 명명되어 있다. 습곡 날개 부분의 경사는 10~20°내외로서 완사(緩斜) 습곡이다. 기계도폭 남부, 임고면 효리-고경면 상덕리-삼포리에 이르는 지역에서는 층리 구조가 서에서 동으로 가면서 주향이 북동 60~80°→동-서→북서 50~80°인 활형[弓形]으로 변하며 경사는 남쪽으로 10°인 단사 구조를 보인다. 이러한 지층 구조는 노항동 배사부에서 하부층을 노출케 하고 이 배사부를 사이에 두고 북쪽과 남쪽 지역에 같은 층준의 상부층 암상(巖相)을 분포하게 하였다. 하부층의 암상은 주로 암회색과 암흑색의 셰일 및 사질 셰일이며 층리가 없는 암흑색의 이암이 부분적으로 발달한다. 하부층의 분포지는 임고면 수성리, 삼포리에 국한된다. 상부층의 분포는 삼귀동 향사부의 산 능선과 금대리를 지나는 경계 하천의 남쪽 일대로, 주로 녹회색 셰일과 호층상(互層狀)의 암회색 셰일로 구성되고 하부층으로 점이하면서 암회색 셰일이 증가한다.[11]
    • 대구층 하부에 해당하는 함안층(Kha/Ksh/Ksha; Kyeongsang supergroup hayang group Haman formation, 咸安層)은 노고산 환상단층의 남측을 따라 화남면 월곡리에서 귀호리, 신녕면 왕산리, 부산리에 이르기까지 분포한다. 함안층의 하부는 노고산 환상단층에 의해 절단되어 영천시 내에는 분포하지 않는다. 본 지층은 반야월층의 하부에 나타나 그의 두께로 보아 함안층으로 인정되었으며 사곡층과 춘산층의 하부를 함유한 적색층에 대비된다. 그리고 영양 소분지의 도계동층에 대비된다. 본 지층의 상부에서는 녹회색층과 호층(互層)을 이루며 녹회색층이 우세한 반야월층으로 점이된다. 본 지층은 주로 산화(酸化)형 적색층으로 되어 있음이 특징이며 실트스톤과 셰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지층의 상부에는 연속성이 불량한 재운반된 응회질 사암을 협재하기도 한다. 신녕면 남서부에서는 팔공산 화강암체의 관입에 의해 본 지층은 접촉 변성 작용을 받아 혼펠스로 변질되었다. 이들은 치밀 견고하며 세립의 적철석으로 재결정되어 흔히 암흑색 내지 암회색을 띠나 희미한 적색의 흔적을 남기기도 한다. 영천시에는 함안층의 하부가 분포하지 않으므로 본 지층의 총 두께는 알 수 없으나 화남동-신령 단층 상에서는 1,300 m 로 나타나 최소한 그 이상에 달할 것으로 생각된다.[10]
    • 대구층 상부에 해당하는 반야월층(Ksbw; Kyeongsang supergroup hayang group banyawol formation, 半夜月層)은 봉림산-용암산을 잇는 노고산 환상단층 바깥쪽에서 함안층과 점이적이고 정합적인 관계를 가지며 영천시 중부 지역에 넓게 분포한다. 노고산 환상단층 안쪽에서는 향사 습곡 구조에 의하여 환상단층을 따라 소규모 분포한다. 환상 단층 안쪽에서 본 층은 화산층과 점이적 관계를 갖고 정합으로 접하나 양자간의 명확한 경계를 설정하기 곤란하다. 본 지층은 주로 녹회색 내지 암회색 셰일과 실트스톤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께 1 m 이하, 보통 20 cm 내외의 담수성 석회암층을 협재한다. 하위의 함안층과의 경계부에서는 적색층과 호층대를 이루고 있어 본 지층의 하부에는 적색 셰일 및 실트스톤이 협재되어 있다. 청통면 남서부 팔공산 지역과 화북면 북동부 보현산 주변 지역에서는 화강암의 관입에 의한 열변성작용에 의하여 혼펠스로 형성되었으며 그 접촉대의 너비는 약 5 km 에 달하는 곳도 있다. 변성도가 높은 화북면 북동부 화강암과의 접촉 지역에서는 암회색 내지 암흑색의 치밀한 바탕 속에 변정(變晶)의 장석이 생겨 안산암과 유사한 외관을 갖기도 한다. 이들 혼펠스는 풍화와 침식에 대한 저항력이 강해 매우 험준한 고산 지형을 형성한다. 본 지층은 노고산 환상단층 바깥쪽과 신녕면에서 하위에 있는 함안층과 접하여 그 하한은 알 수 없으며 노고산 환상단층 안쪽에서는 하부가 단층에 의해 절단되고 상한만이 나타나므로 본 지층의 정확한 두께를 알기는 곤란하다. 그러나 1,500 m 이상에 달할 것으로 생각된다.[10]
  • 화산층(Ksws; Kyeongsang supergroup hwasan formation, 華山層)은 군위군 삼국유사면 괴산리와 영천시 신녕면 가천리의 경계에 위치한 화산[華山]을 중심으로, 그 주변을 환형[環形]으로 둘러싸는 노고산 환상(環狀)단층 안쪽에 반원형으로 분포하는 지층이다. 모두가 혼펠스로 변성되어 풍화, 침식에 대한 저항력이 강해 고산 지형을 이룬다. 본 지층은 주로 암회색 내지 흑색 혼펠스로 되어 있으며 매우 치밀하고 엽리가 발달되어 있다. 엽리는 엷은 색과 어두운 색의 띠가 대상(帶狀) 구조를 이룬다. 군위군 고로면 화수동 부근 국도 제28호선 도로상에 노출된 담수성 석회암층에는 담수성 석회조(石灰藻) 화석이 발견된다. 본 지층은 하위에 있는 반야월층과 점이적이고 정합적인 관계가 있고 흑색이고 엽리가 매우 발달되어 있어 유천 소분지에서의 자인층(건천리층)에 대비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지층은 상한이 존재하지 않아 전체 두께를 알 수 없으나 800 m 이상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혼펠스로 변질된 본 암의 현미경 하에서의 관찰은 반야월층의 것과 유사하다.[10]

중생대 화성암류 편집

경상 누층군 유천층군과 화강암류를 포함하는 중생대 화성암류는 영천시 북동부 보현산(1126.5 m)과 기룡산(965.5 m), 신녕면 북부 화산(827.1 m)과 남서부 팔공산(1192.3 m) 주변, 영천시 남부 경산시, 청도군과의 경계 지역에 소규모 분포한다.[10]

  • 주사산 화산암류(朱砂山火山巖類)는 영천호 주변을 제외한 자양면의 대부분 지역과 임고면의 동부 포항시와의 경계 지역에 분포하며 화산각력암(Kvb)과 치밀안산암(Kdan), 석영안산암(Kqm), 조립안산암(Kcan)이 영천시 내에 분포한다.[11]
    • 화산각력암은 자양면 일대에 넓게 분포하며 풍화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여 높고 험준한 산지를 형성한다. 자양면 남부에서 대구층과 접하고 접촉 관계는 부정합적으로 대구층이 퇴적 후 융기해 침식을 받고 있다가 본 암석이 분출해 대구층 위를 덮은 것으로 보인다. 두 암체의 산출 상태 역시 산체(山體)의 하부는 대구층이 상부는 화산각력암이 점유하고 있어 부정합적 피복을 표시하고 있다. 이 암체의 분출은 본 지역의 화산 활동 과정에서 가장 폭발적이고 격렬한 시기에 이루어졌을 것이다. 따라서 이 각력암은 대부분이 폭발적인 분출 각력암 내지 유동(流動) 각력암이며 관입 각력암은 드물다. 관입 각력암의 양상을 가장 잘 볼 수 있는 곳은 자양면 용산리와 용화리 부근의 하안(河岸)이다.[11]
    • 조립안산암(Kcan)은 임고면 수성리와 자양면 삼귀리 일부 지역에 국지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이 지역에서는 소규모의 암주상(巖柱狀) 또는 맥상(脈狀)으로 대구층을 관입하고 있으며 관입당한 곳 주변에서는 화강암류보다는 약하나 다소 혼펠스화 되어 있다. 본 암석은 열수변질작용을 특징적으로 받고 있어 입상(粒狀) 안산암의 형태이다. 변질 이전의 암상(巖相)은 백악기 화산암류에서 볼 수 있는 반심성관입(半深成貫入) 안산암질암이다. 본 암석은 암녹색, 암갈색 및 담녹색을 띠고, 타 화산암류에 비해 비교적 조립질이며 그의 풍화토는 적갈색을 보인다. 풍화면에서도 사장석 반정(斑晶)이 쉽게 용식되어 곰보 같은 외양을 보이기도 한다. 본 암석에는 휘석, 각섬석 등의 유색 광물이 반정으로 또는 기질(基質) 중에 나타나며 이들로부터 기원한 녹니석녹렴석 등의 녹색 광물이 분포하여 암상에 있어 녹색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 현미경 관찰에 의하면 모두가 반상(斑狀) 조직을 갖는다. 반정(斑晶)은 자형(自形) 내지 반자형의 거정(巨晶)인 사장석과 이보다 적은 각섬석휘석류이며 사장석 외에 자철광립(粒)들이 발달한다. 본 암석에선 거의가 입상(粒狀) 안산암 작용(propylitition)을 받고 있다.[11]
  • 유문석영안산암(Krd)은 보현산의 정상부 능선을 따라 소규모 분포하는 암석이다. 담(淡)적갈색 내지 담황회색을 띠며 유상(流狀) 구조를 잘 나타낸다.[10]
  • 반려암(Kga)은 화북면 죽전리 소재 방가산(694.1 m) 북측 산사면을 따라 타원형으로 소규모(1.5 km2) 분포하는 반려암이다. 남쪽, 화북면 자천리에서는 경상 누층군 반야월층을 관입하고 있으나 북쪽에서는 화강암류(Kgr)에 의해 관입당했다. 관입 접촉대의 화강암류 내에서는 반려암의 포획물이 발견되었다. 본 암석은 조립질 등립상(等粒狀)으로 암녹색을 띤다. 주요 구성 광물은 사장석, 휘석, 흑운모이다. 이 반려암은 산출 상태와 광물 조성으로 보아 경상 분지 내에 소규모로 분포하고 있는 다른 반려암과 동일 화성 활동시에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10]
  • 화강암류(Kgr) 또는 흑운모 화강암(Kbgr; biotite granite)은 불국사 화강암에 속하는 화강암이며 자양면 보현리, 화북면 정각리와 보현호 주변, 화북면 죽전리와 상송리, 봉림산(698.1 m) 주변과 고경면 오룡리에 분포한다. 이 화강암류는 가음 단층의 지질학적 약대(弱帶)를 따라 관입하였으며 이후에도 단층의 활동이 계속되었으므로 단층에 의해 화강암은 변위되어 있다. 이 암석은 최대 폭 5 km 에 이르는 접촉대를 이루어 많은 퇴적암을 혼펠스로 변성시켰으며 조립질 등립상 조직을 보여준다. 주요 구성 광물은 석영, 사장석, 정장석, 각섬석, 흑운모이고 부 구성 광물은 자형(自形)의 인회석백운모, 모나자이트, 저어콘, 적철석, 갈철석, 티탄철석(신령도폭) 또는 각섬석, 자철석, 인회석(기계도폭) 등이 있다.[10][11]
  • 화강섬록반암(Kgdp; granite diorite porphyry, 花崗閃綠斑巖)은 고경면 삼포리의 일부 지역에 소규모 분포한다. 본 암석은 세립의 완정질(完晶質) 바탕에 유백색 장석과 주상(柱狀)의 섬록암 반정이 발달한 반상 조직을 갖고 전체적으로 담녹회색을 띤다. 주요 구성 광물은 사장석, 정장석, 석영, 각섬석흑운모 등이며 부 구성 광물은 자철석, 저어콘인회석 등이다. 변질 광물로선 견운모, 고령토, 녹니석 및 갈철석 등이다.[11]

지하자원과 광산 편집

영천시 내에는 안산암, 화강암 등이 관입하여 생겨난 열수광화대(熱水鑛化帶)가 여러 곳 존재한다. 대표적인 예로 자양면 보현리와 포항시 죽장면 일광리를 잇는 폭 400 m, 연장 4 km의 보현동 광화대, 자양면 용산리와 충효리 간의 폭 300 m, 연장 3 km, 북동향의 용산동 광화대 등이 있다.

  • 배이터광산 : 임고면 수성리 남동측 계곡 또는 천장산(696.3 m) 동쪽 1 km 지점에 위치하며 노두에서 볼 때 북동 50°주향, 폭 20~30 cm의 유화(硫化) 광맥들이 확인된다. 석영에 수반되는 주 광물은 황동석이고, 황철석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금, 은, 동을 채굴한 광산이다.[11]
  • 삼계광산 : 고경면 삼포리에 위치하며 광체는 혼펠스화된 셰일 중에 배태된 북동 40° 주향의 함금(含金)석영맥이다.[11]
  • 삼성광산, 대원광산 : 고경면 오룡리와 삼포리 부근인 삼성산(591.5 m) 북서쪽 능선부에 위치한다. 두 광산은 동일 광상의 동일 암맥들을 연장부에서 각각 개발하고 있는데 북쪽이 삼성광산, 남쪽이 대원광산에 해당한다. 광상(鑛床)은 혼펠스화된 셰일 및 사질 셰일 암체 중에 발달한 파쇄대를 충전한 여러 조의 평행한 함금(含金) 유화(硫化) 광맥들로 이루어진다. 광산의 채굴 대상 광물은 이다. 유화 광맥에 수반되는 광물은 황동석, 방연석(方鉛石), 황철석 및 유비철석(硫砒鐵石) 등의 금속 광상을 비롯하여 석영, 방해석 등의 광물들이다.[11]

단층 편집

  • 신령 단층 : 가음 단층 문서 참조.
  • 고노산 환상(環狀)단층 : 화북면 자천리의 봉림산(698.1 m) 부근에서 신녕면 연정리 소재 노고산(557 m)과 신녕면 화남리를 지나 군위군 의흥면 원산리로 이어지는 반환형(半環形)의 단층이다.[10]
  • 삼포 단층(三浦斷層) : 고경면 삼포리를 중심으로 북동 40°방향으로 발달하는 수직 단층으로 삼포리에서 임고면 수성리를 지나 포항시 기계면 봉계리로 이어진다. 이 단층선을 경계로 동쪽에 분포하는 대구층의 층리는 북동 20~30°주향에 북서 10~30°의 경사를 보이지만 단층 서쪽의 대구층은 북서 50~70°주향에 남서 20~38 또는 남서 5~10°의 상이한 경사를 보인다.[11]
  • 자양천 단층 : 영천호 주변, 자양천(자호천)을 따라 북동 30°주향으로 발달하는 단층이다. 북동쪽으로 자양면 용산리 부근까지는 추적되지만 그 이상의 연장은 확인할 수 없다. 이 단층의 확인은 371 m 고지 연변의 계곡 밑바닥에서 발달된 전단대(shear zone)와 퇴적암체에서의 층리 변화 및 암상의 변화에 의한 것이다. 전술한 삼귀동 향사, 노항동 배사 습곡 구조는 이 단층으로 인해 더 이상 서쪽으로 연장되지 않고 단절되며 단층 서쪽 대구층의 지층 구조는 동부와 달리 교란되어 있다. 암상(巖相)도 서쪽 지괴에서는 하부층에서 볼 수 있는 자색 셰일층이 발달한다.[11]


행정 구역 편집

영천시의 행정구역은 1읍 10면, 5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천시의 면적은 920.29 km2로 경상북도의 4.8%를 차지하고 있다.[14] 인구는 2012년 12월말 기준으로 45,328세대 103,969명이다.[15]

 
영천시의 행정구역
읍면동 한자 세대 인구 면적
금호읍 琴湖邑 5,936 12,465 51.55
청통면 淸通面 2,154 4,753 67.26
신녕면 新寧面 2,194 4,599 81.09
화산면 花山面 1,653 3,597 53.48
화북면 華北面 1,150 2,323 87.26
화남면 華南面 1,640 3,310 79.34
자양면 紫陽面 648 1,235 89.44
임고면 臨皐面 2,051 4,394 88.15
고경면 古鏡面 2,862 6,561 120.57
북안면 北安面 2,349 4,918 71.19
대창면 大昌面 1,594 3,464 50.93
동부동 東部洞 10,391 27,521 10.76
중앙동 中央洞 3,952 10,040 20.44
서부동 西部洞 2,630 5,801 16.64
완산동 完山洞 2,246 4,870 5.07
남부동 南部洞 1,878 4,118 27.17

인구 편집

대구와 포항, 경주 도시권 발달로 인하여 감소되었기에 2000년대 후반부터 10만명으로 떨어졌다. 영천 지역 주민들이 대구 쪽으로 많이 전출되고 있지만 2016년에는 경주 지진이 발생되면서 경주, 포항 일원으로부터 전입한 인구가 다시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 영천시(에 해당하는 지역)의 연도별 인구 추이[16]
연도 총인구  
1975년 184,497명      
1980년 157,859명       
1985년 139,999명    
1990년 120,565명   
1995년 113,511명     
2000년 111,392명    
2005년 104,012명    
2010년 95,256명     
2015년 97,669명      
2017년 100,255명  

문화·관광 편집

보현산 천문대는 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에 있는 보현산 정상에 건설된 천문대이다. 한국천문연구원 산하의 천문학 연구 기관으로서, 한국에서 가장 큰 1.8m 반사망원경 및 태양 플레어 망원경 등 다수의 천체 관측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 수난이대, 나룻터 이야기로써 전쟁으로 인한 민중의 수난사를 서술한 소설가 하근찬 작가가 경상북도 영천시가 고향이다.

조선 3대 시가인으로 꼽히는 노계 박인로 선생의 위패를 모신 곳으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68호로 지정된 박노계집 판목이 보관되어 있다.

영천시가 임고면 황강리 73ha의 소나무 숲에 56억원을 들여 조성한 곳으로서, 숲속에서 쉬며 승마도 즐길 수 있다.[17]

군사 편집

교육 기관 편집

  
  
  
  
  
  • 특수학교
  

라디오방송 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CH 1번: FM 88.5 MHz - AFN EAGLE FM(팔공산)
  • CH 2번: FM 89.1 MHz - 성서공동체FM(팔공산)
  • CH 3번: FM 89.7 MHz - KBS 대구FM
  • CH 4번: FM 91.9 MHz - 대구극동방송
  • CH 5번: FM 93.1 MHz - cpbc 대구가톨릭평화방송
  • CH 6번: FM 94.5 MHz - 대구불교방송
  • CH 7번: FM 95.3 MHz - 대구MBC FM4U
  • CH 8번: FM 96.5 MHz - 대구MBC 표준FM
  • CH 9번: FM 98.3 MHz - 대구원음방송
  • CH 10번: FM 99.3 MHz - TBC드림FM
  • CH 11번: FM 101.3 MHz - KBS대구 제1라디오
  • CH 12번: FM 102.3 MHz - KBS대구 제2라디오
  • CH 13번: FM 103.1 MHz - 대구CBS
  • CH 14번: FM 103.9 MHz - TBN 대구교통방송
  • CH 15번: FM 105.1 MHz - EBS FM(팔공산)
  • CH 16번: FM 107.5 MHz - 국악방송(팔공산)

교통 편집

 
영천에서 운행하고 있는 시내버스로, 해당 노선 번호는 750-1번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해당 차량은 대차 직전에 운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철도 편집

도로 편집

시외버스 편집

시내버스 편집

정치 · 행정 편집

역대 시장 편집

2023년 기준으로 영천시장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당선된 최기문이다.

역대 국회의원 편집

현재 영천시의 국회의원은 이만희이다.

영천시청 편집

자매 도시 편집

각주 편집

  1.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2.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3. 칙령 제98호 지방제도의개정에관한안건
  4. 칙령 제36호 지방제도와관제개정에관한안건
  5. 영천시의 위치와 기후 Archived 2016년 3월 5일 - 웨이백 머신, 2011년 7월 28일 확인
  6. 영천시의 행정 구역 Archived 2016년 3월 5일 - 웨이백 머신, 2011년 7월 28일 확인
  7.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영천(281)”. 대한민국 기상청. 2021년 3월 25일에 확인함. 
  8. “순위값 - 구역별조회 영천(281)”. 대한민국 기상청. 2021년 10월 2일에 확인함. 
  9. “5만 지질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0. “新寧 地質圖幅說明書 (신령 지질도폭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80년. 
  11. “杞溪 地質圖幅說明書 (기계 지질도폭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3년. 
  12. “朝鮮地質圖 第4輯 - 慶州, 永川, 大邱 及 倭館圖幅”. 조선총독부지질조사소. 1928년. 
  13. 박정규 (2021년). “경북 경산시 하양읍에 분포하는 백악기 함안층과 반야월층의 생흔화석층 : 산상, 생흔화석상 및 고환경적 의미”. 부경대학교. 
  14. “영천시의 행정 구역”. 2016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28일에 확인함. 
  15. 영천시의 인구[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16. 통계청, KOSIS 국가통계포털
  17. 송의호 기자 (2009년 6월 11일). “승마 즐기고 야영·물놀이 … 운주산 휴양림 오늘 개장”. 중앙일보사. 2015년 4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6월 1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